목차
1.개요
2.학생 군사교육의 정의와 목적
3.북한의 학생 군사교육
1) 유치원
2) 중.고등 낮은 반
3) 고등중학교 높은반
4. 결론
2.학생 군사교육의 정의와 목적
3.북한의 학생 군사교육
1) 유치원
2) 중.고등 낮은 반
3) 고등중학교 높은반
4. 결론
본문내용
9세) 및
고등중학교 1∼4학년 (10∼13세) 학생
교육 및 훈련
ㅇ 소년단 야영훈련소교육으로 매년
하절기(4∼10월) 1 회 15일간씩
소년단 야영훈련소에 입소, 준국사집체
훈련 실시
ㅇ 정치학습 24시간
ㅇ 체력단련 54시간
ㅇ 독도법 8시간
ㅇ 구급법 8시간
ㅇ 제식훈련 8시간
ㅇ 기타 등산·해양체육·헤엄치기·뱃놀이 등 실시
기 타
군사훈련 및 1일 1시간 이상의 국방체육 실시
ⅲ)고등중학교 높은반에서의 군사교육
이때부터 학생들은 준군사조직인 ‘붉은청년근위대’에 가입해 1년에 1주일 정도 훈련소에 들어가 군사훈련을 받는다. 여학생도 남학생과 차이가 없다. 평상시 학교에서 수업과목으로 군사훈련을 따로 하지는 않는다. 첫해 훈련부터 학생들은 사격, 대열훈련(사열이나 분열 훈련),AK자동보총 (소총)분해 결합,산악 행군 등 웬만한 기본 교육을 마스터한다. 3년간의 붉은청년근위대 과정을 마치고,대학생이 되면 대학 교도대로 넘어간다. 일반 교도대는 10년 이상복무한 제대군인(45살 이하)들로 조직된것으로 대학 교도대와는 다르다.
고등중학교 높은반
구 분
내 용
목 적
ㅇ김일성 혁명전사 양상
ㅇ정규병력의 후비대 기능
편 성
ㅇ〈붉은 청년 근위대〉
남녀고등중학교 (14∼15세)
중대∼대대
시 간
ㅇ총 576시간(2년간)
입영집체훈련 : 연 168시간(2년간 336시 간)
학습 및 훈련
ㅇ정치학습 67시간(40%)
혁명사, 김일성로작 등
ㅇ전술학 50시간(30%)
제식훈련·경계·야영·전술
ㅇ화기학 34시간(20%)
화기조작·실탄사격
ㅇ기타 17시간(10%)
화생방·체육 등
계 168시간(1년간)
※입영집체훈련(168시간)
·훈련조 : 기당 400∼500명
시기 : 방학중(8월)
·장소 : 시·도 근위대 훈련소
·교관 : 현역군관
·장비 : AK소총 (전원지급)
·복장 : 근위대복장 착용
지 휘 체 계
※대학교와 동일
병 력
790,000 (남41만, 여39만)
기 타
ㅇ여학생도 남학생과 대동소이
구급법·간호학
산악행군 등에 중점
3년간의 붉은청년근위대 과정을 마치고,대학생이 되면 대학 교도대로 넘어간다. 일반 교도대는 10년 이상복무한 제대군인(45살 이하)들로 조직된것으로 대학 교도대와는 다르다.
첫해 훈련부터 학생들은 사격, 대열훈련(사열이나 분열 훈련),AK자동보총 (소총)분해 결합,산악 행군 등 웬만한 기본 교육을 마스터한다.
3년간의 붉은청년근위대 과정을 마치고,대학생이 되면 대학 교도대로 넘어간다. 일반 교도대는 10년 이상복무한 제대군인(45살 이하)들로 조직된것으로 대학 교도대와는 다르다.
대학생들은 2학년과 3학년 기간 중 여름 교도와 겨울 교도로 나눠 모두 6개월간 군부대에 들어가 훈련을 받는다.군복을 입고 정규군과 똑같은 훈련을 받는다.이 과정을 이수하지 못하면 졸업장을 받지 못한다.평양의 대학생들은 평양시 근교의 고사포부대에 들어가 훈련을 받는다.제대군인 출신 대학생도 예외없이 들어가야 한다.
군사훈련 중 일과는 오전 5시30분에 기상해(겨울은 6시)달리기를 하고 사열식을 한다. 식사 후에는 독서회 등을 갖고 군사훈련에 들어가 보통 저녁 6시까지 계속된다. 실내학습 때는 무기 분해와 결합,고사포에 대한 실무학습 등을 진행한다. 교도대 훈련은 고사포 사격까지 끝낼 정도로 수준이 높다.완전무장으로 하루 60리(24 ㎞)를 걷는 행군도 포함된다. 북한에서 일반 군부대는 하루80~100리,특수부대는 140리를 행군해야 한다.
훈련 마지막 날 시험을 치뤄 통과해야한다. 6개월의 군사교육을 끝낸 대학생에게는 인민군 소위 계급이 부여되며,유사시에는 이들이 실제 소위 계급장을 달고 현역으로 투입된다.
고등중학교 1∼4학년 (10∼13세) 학생
교육 및 훈련
ㅇ 소년단 야영훈련소교육으로 매년
하절기(4∼10월) 1 회 15일간씩
소년단 야영훈련소에 입소, 준국사집체
훈련 실시
ㅇ 정치학습 24시간
ㅇ 체력단련 54시간
ㅇ 독도법 8시간
ㅇ 구급법 8시간
ㅇ 제식훈련 8시간
ㅇ 기타 등산·해양체육·헤엄치기·뱃놀이 등 실시
기 타
군사훈련 및 1일 1시간 이상의 국방체육 실시
ⅲ)고등중학교 높은반에서의 군사교육
이때부터 학생들은 준군사조직인 ‘붉은청년근위대’에 가입해 1년에 1주일 정도 훈련소에 들어가 군사훈련을 받는다. 여학생도 남학생과 차이가 없다. 평상시 학교에서 수업과목으로 군사훈련을 따로 하지는 않는다. 첫해 훈련부터 학생들은 사격, 대열훈련(사열이나 분열 훈련),AK자동보총 (소총)분해 결합,산악 행군 등 웬만한 기본 교육을 마스터한다. 3년간의 붉은청년근위대 과정을 마치고,대학생이 되면 대학 교도대로 넘어간다. 일반 교도대는 10년 이상복무한 제대군인(45살 이하)들로 조직된것으로 대학 교도대와는 다르다.
고등중학교 높은반
구 분
내 용
목 적
ㅇ김일성 혁명전사 양상
ㅇ정규병력의 후비대 기능
편 성
ㅇ〈붉은 청년 근위대〉
남녀고등중학교 (14∼15세)
중대∼대대
시 간
ㅇ총 576시간(2년간)
입영집체훈련 : 연 168시간(2년간 336시 간)
학습 및 훈련
ㅇ정치학습 67시간(40%)
혁명사, 김일성로작 등
ㅇ전술학 50시간(30%)
제식훈련·경계·야영·전술
ㅇ화기학 34시간(20%)
화기조작·실탄사격
ㅇ기타 17시간(10%)
화생방·체육 등
계 168시간(1년간)
※입영집체훈련(168시간)
·훈련조 : 기당 400∼500명
시기 : 방학중(8월)
·장소 : 시·도 근위대 훈련소
·교관 : 현역군관
·장비 : AK소총 (전원지급)
·복장 : 근위대복장 착용
지 휘 체 계
※대학교와 동일
병 력
790,000 (남41만, 여39만)
기 타
ㅇ여학생도 남학생과 대동소이
구급법·간호학
산악행군 등에 중점
3년간의 붉은청년근위대 과정을 마치고,대학생이 되면 대학 교도대로 넘어간다. 일반 교도대는 10년 이상복무한 제대군인(45살 이하)들로 조직된것으로 대학 교도대와는 다르다.
첫해 훈련부터 학생들은 사격, 대열훈련(사열이나 분열 훈련),AK자동보총 (소총)분해 결합,산악 행군 등 웬만한 기본 교육을 마스터한다.
3년간의 붉은청년근위대 과정을 마치고,대학생이 되면 대학 교도대로 넘어간다. 일반 교도대는 10년 이상복무한 제대군인(45살 이하)들로 조직된것으로 대학 교도대와는 다르다.
대학생들은 2학년과 3학년 기간 중 여름 교도와 겨울 교도로 나눠 모두 6개월간 군부대에 들어가 훈련을 받는다.군복을 입고 정규군과 똑같은 훈련을 받는다.이 과정을 이수하지 못하면 졸업장을 받지 못한다.평양의 대학생들은 평양시 근교의 고사포부대에 들어가 훈련을 받는다.제대군인 출신 대학생도 예외없이 들어가야 한다.
군사훈련 중 일과는 오전 5시30분에 기상해(겨울은 6시)달리기를 하고 사열식을 한다. 식사 후에는 독서회 등을 갖고 군사훈련에 들어가 보통 저녁 6시까지 계속된다. 실내학습 때는 무기 분해와 결합,고사포에 대한 실무학습 등을 진행한다. 교도대 훈련은 고사포 사격까지 끝낼 정도로 수준이 높다.완전무장으로 하루 60리(24 ㎞)를 걷는 행군도 포함된다. 북한에서 일반 군부대는 하루80~100리,특수부대는 140리를 행군해야 한다.
훈련 마지막 날 시험을 치뤄 통과해야한다. 6개월의 군사교육을 끝낸 대학생에게는 인민군 소위 계급이 부여되며,유사시에는 이들이 실제 소위 계급장을 달고 현역으로 투입된다.
추천자료
광인일기 감상문
중소기업의 마케팅 믹스 전략(사례)
중소기업의 국제 마케팅 믹스 전략 (대구 지역 - 쉬메릭, 청석)
세계를 바꾸는 파업을 읽고
중국과대만:양안 관계
경영의 창조자들을 읽고 - 경영학 거장들의 패러다임
부조리한 세상의 이방인 Albert Camus
[경영혁신][경영혁신기법][정보기술활용]경영혁신의 의의와 유형, 경영혁신기법의 등장배경, ...
[정보고속도로]정보고속도로(초고속정보통신망)의 개념과 정보고속도로(초고속정보통신망)의 ...
[제주대학교]전쟁과 평화 족보
대구지역 중소기업의 국제마케팅 믹스전략
몽골 나담축제 (Mongolia Naadam Festival)
노동의 종말
간도참변과 자유시 참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