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정의
- 원인
- 진단
- 2차성징이 동반되지 않은 무월경
- 2차성징이 동반되고 해부학적 이상에 의한 무월경
- 원인
- 진단
- 2차성징이 동반되지 않은 무월경
- 2차성징이 동반되고 해부학적 이상에 의한 무월경
본문내용
몬치
4) 여성호르몬 상태
5) 뇌하수체와 시상하부의 검사가 필수적이다.
* 치료
1. 일반적 치료
해부학적 이상이 없는 무월경 환자의 치료는 그 원인에 따라 다양하다. 가능하면 잠재적 질병을 먼저 치료하여야 한다. 임신이 의심되지 않는 환자는 계속적인 치료 방침에 대하여 의사와 상담하여야 한다. 갑상선 질환이 의심되면 갑상선호르몬, 방사성 요오드, 항갑상선제제 등이 적절히 투여되어야 하고 고유즙분비호르몬 혈증이 발견되면 현재의 약물요법을 중단하거나 bromocriptine 치료, 혹은 때에 따라 큰 뇌하수체 종양의 절제 등의 치료를 할 수 있다. 난소기능부전으로 무월경이 되었을 때에는 심장질환, 골다공증의 방지를 위하여 호르몬 보충요법이 필요하다. Y cell line이 있을 때에는 성선 절제가 필요하다.
범뇌하수체 기능부전증이 있는 환자에게는 여러 가지 호르몬의 보충이 필요하다. 성선자극호르몬의 결핍이 있으므로 여성호르몬 치료를 해야 하고,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결핍이 있으므로 coriticosteroid 치료를 해야 하며 갑상선자극호르몬의 결핍으로 인한 갑상선호르몬의 투여가 필요하다.
시상하부 기능의 이상으로 인한 무월경의 치료는 그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1) 호르몬을 분비하는 난소 종양은 절제한다.
(2) 비만, 영양실조, 만성질환, 쿠싱증후군, 말단 비대증은 각각의 원인에 대하여 적절 히 치료하여야 한다.
(3) 상상임신과 스트레스로 인한 무월경은 정신과적 치료를 시행한다.
(4)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무월경은 활동의 제한과 적절한 체중 증가로 회복 될 수 있 다.
(5) 신경성 식욕부진은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심한 경우에는 입원해야 하는 경우 도 있다.
(6) 만성 무배란이나 다낭성 난소증후군은 환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서 치료가 달라진 다. 다모증이나 불임보다는 무월경을 고치고자 하는 환자는 medroxyprogesterone acetate의 주기적 투여로 자궁내막의 증식을 막는다. 이런 치료 방침은 여성호르 몬의 상태가 적당한 경우에만 해당되며 여성호르몬이 낮은 환자에게는 소퇴성 출혈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런 환자의 주기적인 월경을 위하여는 여성호르몬 보충 요법이 첨가되어야 한다. 주기적인 프로제스틴의 치료중에 배란이 일어날 수 있으 며 따라서 환자에게 임신의 가능성이 있음을 주지시키고 피임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7) 만약 만성적인 무월경이 선천성 부신증식증으로 인한 경우에는 corticosteroid의 투여(취침시 dexamethasone 0.5㎎)로 정상 되먹이기 기전을 회복하여 정상적인 월경과 배란을 하게 되기도 한다.
2. 다모증
만성적 무배란으로 인하여 희소월경이나 무월경을 가지는 환자는 다모증이 생길 수 있다. 남성호르몬 분비 종양과 선천성 부신증식증을 제외한 후에, 다모증에 대한 치료를 시작한다.
(1) 경구피임약은 난소의 남성호르몬 분비를 감소시키고 성호르몬 결합단백을 증가시 켜 혈중 유리 남성호르몬을 감소시킨다.
(2) Spironolactone은 남성호르몬을 감소시키고 남성호르몬과 수용체에서 경합 한다.
그러나 소변량이 줄거나 불규칙적인 질출혈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3) Cyproterone acetate(항남성호르몬)은 주로 유럽에서 쓰이며 미국에서는 흔히 성선 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 효능제와 estrogen-progesterone보조치료를 함으로서 오래 동안 성선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 효능제를 쓸 수 있고 골다공증을 방지 할 수 있다.
3. 배란유도
무월경, 희소월경, 만성적 무월경을 보이는 환자의 대부분은 불임 때문에 치료를 필요로 한다. 배란유도 치료는 이런 환자에게 최선의 치료가 되며 치료전 충분한 상담이 필요하다.
Clomiphene citrate는 그 안전성과 경제성, 투여의 용이성 때문에 배란유도의 첫 번째 선택 약으로 쓰인다. Clomiphene citrate는 여성호르몬과 난포자극호르몬, 유즙분비호르몬이 정상인 환자에게 주로 적응이 되며 이미 여성호르몬치가 낮은 저성선자극호르몬성 환자에게는 적응이 되지 않는다. 다낭성 난소증후군같이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가 부적절한 환자 역시 Clomiphene citrate가 적응이 된다.
성선자극호르몬이 낮고, 에스트로젠이 결핍된 환자나 Clomiphene citrate로 배란이나 임신이 실패한 환자는 hMG의 적응이 되며, 이것으로 좀더 높은 임신율을 기대할 수 있다.
성선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를 이용한 배란유도는 여성호르몬과 성선자극호르몬이 낮은 만성 무배란 환자에게 효과적이다. 치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는 난소와 뇌하수체가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난소나 뇌하수체의 기능 부전 환자는 성선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치료에 반응하지 않는다. 좀 더 효과적이기 위해서 성선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을 펌프로 정맥이나 피하에 박동적으로 투여하기도 한다.
추천 참고서 및 문헌들
1. 구 병삼. 임상 부인과 내분비학. 고려의학, 1996:159-194.
2. 부인과학. 제 3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475-506.
3. 이 병석. 산부인과 외래진료의 최신지견. 연세대학교, 1997:51-66.
4. 이 진용. 불임증치료의 최신동향. 서울대학교병원, 1995:21-36.
5. Berek JS, Adashi EY, Hillard PA. Novak's Gynecology. 12th ed. Baltimore, Wiliams & Wilkins, 1996:809-832.
6. Speroff L, Glass RH, Kase NG. Clinical Gynecoloogic Endocrinology and Infertility, 5th ed. Baltimore, Williams
Wilkins, 1994:401-456.
7. Ryan KJ, Berkowitz RS, Barbieri RL. Kistner's Gynecology, 6th ed. St. Louis, Mosby-Year Book Inc., 1995:30-41.
(1998,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연수강좌 : 고려의대 산부인과, 김선행 교수 제공)
4) 여성호르몬 상태
5) 뇌하수체와 시상하부의 검사가 필수적이다.
* 치료
1. 일반적 치료
해부학적 이상이 없는 무월경 환자의 치료는 그 원인에 따라 다양하다. 가능하면 잠재적 질병을 먼저 치료하여야 한다. 임신이 의심되지 않는 환자는 계속적인 치료 방침에 대하여 의사와 상담하여야 한다. 갑상선 질환이 의심되면 갑상선호르몬, 방사성 요오드, 항갑상선제제 등이 적절히 투여되어야 하고 고유즙분비호르몬 혈증이 발견되면 현재의 약물요법을 중단하거나 bromocriptine 치료, 혹은 때에 따라 큰 뇌하수체 종양의 절제 등의 치료를 할 수 있다. 난소기능부전으로 무월경이 되었을 때에는 심장질환, 골다공증의 방지를 위하여 호르몬 보충요법이 필요하다. Y cell line이 있을 때에는 성선 절제가 필요하다.
범뇌하수체 기능부전증이 있는 환자에게는 여러 가지 호르몬의 보충이 필요하다. 성선자극호르몬의 결핍이 있으므로 여성호르몬 치료를 해야 하고,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결핍이 있으므로 coriticosteroid 치료를 해야 하며 갑상선자극호르몬의 결핍으로 인한 갑상선호르몬의 투여가 필요하다.
시상하부 기능의 이상으로 인한 무월경의 치료는 그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1) 호르몬을 분비하는 난소 종양은 절제한다.
(2) 비만, 영양실조, 만성질환, 쿠싱증후군, 말단 비대증은 각각의 원인에 대하여 적절 히 치료하여야 한다.
(3) 상상임신과 스트레스로 인한 무월경은 정신과적 치료를 시행한다.
(4)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무월경은 활동의 제한과 적절한 체중 증가로 회복 될 수 있 다.
(5) 신경성 식욕부진은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심한 경우에는 입원해야 하는 경우 도 있다.
(6) 만성 무배란이나 다낭성 난소증후군은 환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서 치료가 달라진 다. 다모증이나 불임보다는 무월경을 고치고자 하는 환자는 medroxyprogesterone acetate의 주기적 투여로 자궁내막의 증식을 막는다. 이런 치료 방침은 여성호르 몬의 상태가 적당한 경우에만 해당되며 여성호르몬이 낮은 환자에게는 소퇴성 출혈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런 환자의 주기적인 월경을 위하여는 여성호르몬 보충 요법이 첨가되어야 한다. 주기적인 프로제스틴의 치료중에 배란이 일어날 수 있으 며 따라서 환자에게 임신의 가능성이 있음을 주지시키고 피임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7) 만약 만성적인 무월경이 선천성 부신증식증으로 인한 경우에는 corticosteroid의 투여(취침시 dexamethasone 0.5㎎)로 정상 되먹이기 기전을 회복하여 정상적인 월경과 배란을 하게 되기도 한다.
2. 다모증
만성적 무배란으로 인하여 희소월경이나 무월경을 가지는 환자는 다모증이 생길 수 있다. 남성호르몬 분비 종양과 선천성 부신증식증을 제외한 후에, 다모증에 대한 치료를 시작한다.
(1) 경구피임약은 난소의 남성호르몬 분비를 감소시키고 성호르몬 결합단백을 증가시 켜 혈중 유리 남성호르몬을 감소시킨다.
(2) Spironolactone은 남성호르몬을 감소시키고 남성호르몬과 수용체에서 경합 한다.
그러나 소변량이 줄거나 불규칙적인 질출혈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3) Cyproterone acetate(항남성호르몬)은 주로 유럽에서 쓰이며 미국에서는 흔히 성선 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 효능제와 estrogen-progesterone보조치료를 함으로서 오래 동안 성선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 효능제를 쓸 수 있고 골다공증을 방지 할 수 있다.
3. 배란유도
무월경, 희소월경, 만성적 무월경을 보이는 환자의 대부분은 불임 때문에 치료를 필요로 한다. 배란유도 치료는 이런 환자에게 최선의 치료가 되며 치료전 충분한 상담이 필요하다.
Clomiphene citrate는 그 안전성과 경제성, 투여의 용이성 때문에 배란유도의 첫 번째 선택 약으로 쓰인다. Clomiphene citrate는 여성호르몬과 난포자극호르몬, 유즙분비호르몬이 정상인 환자에게 주로 적응이 되며 이미 여성호르몬치가 낮은 저성선자극호르몬성 환자에게는 적응이 되지 않는다. 다낭성 난소증후군같이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가 부적절한 환자 역시 Clomiphene citrate가 적응이 된다.
성선자극호르몬이 낮고, 에스트로젠이 결핍된 환자나 Clomiphene citrate로 배란이나 임신이 실패한 환자는 hMG의 적응이 되며, 이것으로 좀더 높은 임신율을 기대할 수 있다.
성선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를 이용한 배란유도는 여성호르몬과 성선자극호르몬이 낮은 만성 무배란 환자에게 효과적이다. 치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는 난소와 뇌하수체가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난소나 뇌하수체의 기능 부전 환자는 성선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치료에 반응하지 않는다. 좀 더 효과적이기 위해서 성선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을 펌프로 정맥이나 피하에 박동적으로 투여하기도 한다.
추천 참고서 및 문헌들
1. 구 병삼. 임상 부인과 내분비학. 고려의학, 1996:159-194.
2. 부인과학. 제 3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475-506.
3. 이 병석. 산부인과 외래진료의 최신지견. 연세대학교, 1997:51-66.
4. 이 진용. 불임증치료의 최신동향. 서울대학교병원, 1995:21-36.
5. Berek JS, Adashi EY, Hillard PA. Novak's Gynecology. 12th ed. Baltimore, Wiliams & Wilkins, 1996:809-832.
6. Speroff L, Glass RH, Kase NG. Clinical Gynecoloogic Endocrinology and Infertility, 5th ed. Baltimore, Williams
Wilkins, 1994:401-456.
7. Ryan KJ, Berkowitz RS, Barbieri RL. Kistner's Gynecology, 6th ed. St. Louis, Mosby-Year Book Inc., 1995:30-41.
(1998,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연수강좌 : 고려의대 산부인과, 김선행 교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