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서비스의 개념과 정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전자메일

2. 유스넷

3. 메일링리스트

4. 텔넷

5. FTP

6. 아키

7. 고퍼

8. WWW
- 정의와 특징
- 동작 방식
- 클라이언트/서버
- Hypertext/ Hypermedia구조
- URL을 사용한 고유 주소 표시
- Connectionless방식 통신
- GUI환경 제공
- 각종 서비스를 통합

본문내용

m, Netscape.com, Yahoo.com등이 어려운 IP어드레스 대신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도메인네임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도메인네임의 관리는 InterNIC(Internet Network Information Center)에서 일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도메인네임은 전세계에 하나만 존재하는 천상천하 유아독존인 이름이다.
도메인네임(Domain Name)에서 확장자
도메인네임에서는 해당 도메인을 가지고 있는 조직이나 기관의 특징을 구분하기 위해 별도의 확장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확장자 구분 USA 미국외 국가 국별 확장자
Edu 대학/교육기관 Ac
한국 : kr
일본 : jp
영국 : uk
호주 : au
독일 : de
캐나다 : ca
ISO에 기초를 둔 국가코드
Com 영리조직 Co
Gov 정부기관 Go
Net 네트워크관리단체 Nm
mil 군 관련조직
org 특별기관
기타기관 Or
연구소 Re
Int 국제기관
예) internetmarketing.com, whitehouse.gov, yahoo.co.kr, yahoo.com
DNS의 역할
DNS는 도메인네임과 IP어드레스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모든 컴퓨터는 IP어드레스를 통신상의 주소로 인식하기 때문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도메인네임은 이와 맞는 IP어드레스로 변화되어야 한다. 우리가 Yahoo.com이라는 도메인네임을 타이핑하면 DNS에서는 이 도메인네임의 IP어드레스로 찾아 IP어드레스를 컴퓨터에 알려준다. 즉, 우리들은 도메인네임을 사용하나 컴퓨터들은 IP어드레스를 사용하므로 이 양자에서 가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DNS이다.
DNS에서는 Lulurara.co.kr의 IP어드레스는 112.118.214.132이다라고 해석하여 컴퓨터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 Connectionless방식 통신
WWW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지닌다. 그러나 일반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와는 달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선로를 결정하지 않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 이에 응답하는 동안만 가상적으로 연결하는 Connectionless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많은 사람들의 동시에 서비스를 가능케 해
언뜻 보면 Connectionless 방식이 별로 좋지 않을 것 같지만 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사이트를 이용하게 될 경우에는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하루에 약1억5천만 Page View를 기록하고 있는 Yahoo의 예를 잠시 생각해보자.
만일 야후에 접속하는 모든 웹사용자가 야후의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야후의 시스템은 그 많은 사용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아마 세상에서 가장 큰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시스템의 수용한계에 이른 상태에서 새로운 사람이 야후에 접속하려면 기존의 사람의 접속이 끝나야만 겨우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많은 사용자들이 접속을 끊지 않은 상태에서 일을 하거나 외출을 하였다고 가정해보자. 이 얼마나 끔찍한 일인가. 야후시스템에서 일방적으로 접속을 끊지 않는 한 다른 사람은 접속할 수 없는 상태가 계속될 테니까.
이렇게 볼 때 Connectionless 방식은 전세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웹사이트에게는 행운이라 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한 커뮤니케이션에 제약
그러나 한편으로 인터넷에서 비즈니스를 전개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극복해야 할 과제를 제기한다.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에서 연속적인 고객의 주문시 발생되는 여러 아이템의 합산문제나 One-to-one 마케팅에서의 사용자와 인터액티브한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하는데 있어 어려움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많은 사이트에서 쿠키를 이용하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프러이버시 침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브라우저에서 쿠키를 거부할 수 있어 완벽한 해결책이 되지는 못하고 있다.
- GUI환경 제공
WWW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란 사용자가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방법으로 과거에는 주로 특정명령을 화면상에서 타이핑하여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CUI(Characteristic User Interface)환경이 지배적이었다. WWW이전의 서비스들인 Gopher, FTP, Telnet 등이 CUI환경에서 작동되었으나 WWW은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하이퍼미디어 문서의 그림이나 아이콘등을 클릭함으로써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GUI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편리한 사용으로 사용자의 폭발적 증가에 기여
특히 인터넷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사용자가 엄청나게 증가함에 따라 WWW과 OS의 환경을 통합하여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려고 하는 WUI(Web User Interface)가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이 GUI혹은 WUI환경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보다 쉽게 WWW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와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사실상 WWW의 확산을 촉발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 각종 서비스를 통합
WWW에서는 인터넷의 모든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WWW은 다른 종류의 서비스와 다른 규약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기는 하나 WWW을 쉽게 사용하기 위한 브라우저가 발전하면서 이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들을 통합시켰다고 할 수 있다.
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를 통합
하지만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브라우저를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웹서비스로 인식하고 있어 이들이 통합되어 있다고 느낀다. 즉 웹브라우저에서 필요한 프로토콜을 지정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어 이들이 통합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브라우저에 의하여 통합적으로 활용 가능한 인터넷 서비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Gopher에서 제공하는 모든 것
Anonymous FTP에서 제공하는 모든 것
Archie 서비스
X.500과 whois의 전체 서비스
Usenet의 모든 것
Telnet을 통한 모든 것
HTML 문서로 되어 있는 모든 문서

키워드

인터넷,   서비스,   전자메일,   텔넷,   유스넷,   GUI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06.28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4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