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없음...
본문내용
.1㎡)의 13배에 달한다. 그리고 도심곳곳에 바리귀공원, 이구아수 자연공원 등 크고 작은 각종 공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와 같이 녹지와 공원면적을 확보하게 된 것은 대규모 토지조성사업 등을 시행할 경우, 일정 면적을 시에 기부하도록 하고, 시정부는 기부된 토지를 자연적 지형조건 등을 고려하여 적극적으로 공원으로 조성함으로써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산업단지를 조성할 때에도 우선 일정면적의 녹지공간을 확충하게 하고, 공단주변지역에 있는 원시림, 강변지역 등을 그대로 존치시키고, 건설 과정에서도 국제적으로 인증된 환경보전관리지침에 의해 인·허가를 하고 있는 덕분이다. 이밖에도 야외극장을 투명유리로 건립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게 한다든지, 철거된 전주폐자재를 이용하여 개방대학의 건축자재로 활용하는 등 각종 건축물의 설계에서부터 환경을 기본적으로 고려하도록 하고 있다. 쓰레기처리 및 재활용정책에 있어서도 세계 도시의 모범이 되고 있다. 1989년부터 시민 녹색운동을 통해 재활용을 70%로 끌어올림으로써 세계에서 제일 높은 수준을 자랑하고 있다. 우리 나라와 서울시의 쓰레기 재활용율이 각각 23.7%와 29.5%인 것에 비교해 볼 때 3배 이상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쿠리티바시에서는 이러한 철저한 쓰레기 재활용 프로그램을 통해 ‘쓰레기는 쓰레기가 아니다’라고 하는 말이 나올 정도이고, 하루 평균 150톤의 폐지를 수거·재활용함으로써 약 하루 1천2백그루, 1989년에서 1995년 사이에 약 350만 그루에 해당하는 나무를 살리고 있다는 안내판을 시내 곳곳에 설치해 이러한 활동을 더욱 고무시키고 있다.■
추천자료
환경계획기법을 활용한 생태도시계획 사례
도시와 숲/ 환경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환경공생형(생태도시)도시의 사례를 통한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사업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의 배경과 내용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상 총회 의결과 관련한 쟁점 정리 [조합 설립]
현대자동차 브라질 진출 (브라질 국가경쟁력, 브라질 자동차산업 환경분석, 브라질 자동차산...
[영아발달] 도시와 시골의 환경적 요인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설명하고 그에 ...
환경문제에 대응해온 도시 - 도시의 변화 과정 & 전원도시 : 환경문제 대응 초기 개념 &a...
도시재정비사업,재개발, 재건축, 주거환경사업,도시재정비사업의 개선방향
숲과삶_개발제한구역 제도의 의미를 설명하고, 향후 도시의 자연환경 보전을 위해 개발제한구...
(숲과삶 B형) [숲과삶 B형 2017] 개발제한구역 제도의 의미를 설명하고, 향후 도시의 자연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