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2. 김인서의 단군신화 이해
2. 윤성범의 단군신화의 삼위일체론적 해석과 효의 신학
3. 김광식의 단군신화의 사람됨의 존재론적 해석
4. 유동식의 단군신화의 삼태극적 해석과 풍류신학
5. 박종천의 단군신화의 상생신학적 해석과 웅녀의 신학
6. 결론 : 단군신화의 천지인의 조화의 원리의 해석학적 수용
참고문헌 .
2. 김인서의 단군신화 이해
2. 윤성범의 단군신화의 삼위일체론적 해석과 효의 신학
3. 김광식의 단군신화의 사람됨의 존재론적 해석
4. 유동식의 단군신화의 삼태극적 해석과 풍류신학
5. 박종천의 단군신화의 상생신학적 해석과 웅녀의 신학
6. 결론 : 단군신화의 천지인의 조화의 원리의 해석학적 수용
참고문헌 .
본문내용
여성 차별(sexism), 서구 문화 중심의 문화적 차별은 모두 위계적인 시원적인 사상에서 비롯된 소외현상인 것이다. 그리고 일의적 논리의 독단은 폭력과 대응폭력의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다. 그러므로 비이원론적 비실체론으로 대립적 갈등을 해소하고, 비시원적 순환론으로 차별과 소외를 극복하고, 다중적 논리로서 일의적 논리적 독단에서 벗어 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지향하는 비시원적인 천지인의 조화의 삼태극적 사상이 요청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한국문화의 구성원리인 삼태극적인 삼신신앙과 삼재론의 원리가 가장 잘 드러난 것이 단군신화인 것이다.
참고문헌 .
강돈구(1999), "단군신화의 민속적 및 철학·사상 분야의 연구", 윤이흠 외, 「檀君- 그 이해와 자료」,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김경재(1983), 「한국문화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김경재(1997), 「해석학과 종교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김광식(1977), 「선교와 토착화-언행일치의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김광식(1995), "分析綜合과 調和展開 사이에 선 神學의 課題", 「組織神學論叢」, 1호.
김상일(1988), 「한밝문명론」, 서울: 지식산업사.
김성민(1995), "단군신화와 인격의 변화", 「기독교사상」 10월, 66-99.
김인서(1952), "檀君論", 「신앙생활」 11-3 : 「김인서저작전집」, 5권(1971), 393-394.
김정숙(1997), "북한에서의 단군연구", 「단군- 그 이해와 자료」 윤이흠 외 편,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51-289.
김태곤(1968), "무속상으로 본 단군신화", 「신학과세계」, 40호.
박기민(1982), "단군신화(檀君神話)와 현대적(現代的) 해석(解釋)", 「현대종교」, 111-113권(9-11월).
박봉랑(1963.10), "성서는 기독교 계시의 유일한 쏘스",「사상계」, 235-247.
박봉랑(1963.7), "기독교 토착화와 단군신화", 「사상계」, 73-184.
박성수(1990), "단군조선은 역사인가 신화인가", 「교회와한국사회」 6권, 24-26.
박영규(1999), "한국적 신학형성과 단군신화 연구", 단군학회 편 자료집(1999), 「한국종교와 단군인식」.
박종천(1990), "단군신화의 상생이념에 대한 신학", 「기독교사상」 7월호, 104-124, 8월호 108-124.
박종천(1991), "성령론 : 웅녀(熊女)의 신학", 「상생신학」, 서울:한국신학연구소.
박종천(1991), 「상생의 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박효생(1986), "단군신화에 대한 교회사적 조명", 「기독교교육, 220권, 67-
방석종(1999) "단군의 신격화와 비신화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단군상대책위원회편, 「단군상문제공청회자료집」,
양태진(1997), "북한의 단군론 제기, 그 저의가 무엇인가?", 「북한」, 304(97.4): 194-203.
우실하(1999), 「전통문화의 구성원리」, 서울: 소나무.
유동식(1975), 「한국 무교의 역사와 구조」, 서울: 연세대출판부.
유동식(1988), 「풍류신학으로의 여로」, 서울: 전망사.
유동식(1997), 「풍류도와 한국종교사상」,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윤성범(1963.10), "단군신화는 'VESTIGIUM TRINITATIS'이다" 「기독교사상」.
윤성범(1972), 「한국적 신학-성의 해석학」, 서울: 선명문화사.
윤성범(1977), "기독교와 한국윤리", 「신학과 세계」, 1977. 가을, 2.
윤성범(1993.5), "환인, 환웅, 환검은 곧 하나님이다.", 「사상계」.
이광희(1994), "십계명과 단군계율의 비교연구" 목원대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동주(1985), "단군신화의 종교적 배경과 그 신관에 대하여", 「신학정론」, 제3권2호, 357-363
이만열(1999.8), "단군상 건립과 기독교의 대음", 「살림」.
이만열(2000.10), "단군상 문제와 기독교의 대응", 「목회와 신학」.
이보민(1992), "단군신화와 신학이 만날 수 있는가", 「목회와신학」 37권(7월), 107-113.
이상현(1994), "한국적 신론의 가능성:단군신화에 대한 신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감신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선복(1997), "최근의 '단군릉' 문제" 「한국사시민강좌」 21(97.8) : 43-57.
이형구 편(1999), 「단군과 고조선」, 서울: 살림터.
이흥환(1995), "신황에서 현시로 돌아온 '북한 단군', 「시사저널」, 303(1995.8): 16-21.
임채욱(1998), "남북한의 단군인식과 통일문화형성", 「극동문제」, 237(1998.11): 91-106.
장병일(1961.12), "단군신화에 대한 신학적 이해-창조설화의 토착화 소고", 「기독교사상」, 70-77.
전경연(1963), "소위 전이해와 단군신화" 「기독교사상」. 8-9월호, 22-29.
정영훈(1994), "한국사 속에서의 '단군민족주의'와 북한의 '단군공세', 「북한학보」,18(1994.10): 221-247.
조기수(1994), "주체사상론이 수정되고 있다; 미로의 주체사상에 단군신화 접목", 「민족정론」, 12(94.7) : 89-98.
최몽룡(1997), "북한의 단군릉 발굴과 그 문제점", 같은 책, 290-289.
최소영(1990), "단군신화에 나타난 웅녀의 역할", 「한몸」, 7호권, 86-102.
허호익(1998), 「성서의 앞선 생각」,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허호익(1999), "김광식의 해석학적 토착화론과 언행일치의 신학" 김광식교수회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편, 「해석학과 토착화」, 서울: 한들, 477-509.
허호익(1999), "단군신화의 환인 환웅 웅녀의 고의 연구", 「신학과 문화」, 제8집: 153-178.
허호익(2000), "단군신화의 단군 왕검의 고의 연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7집 343-371.
Whitehead, A. N. (1991), 「과정과 실재- 유기체적 세계관의 구상」, 오영환 역, 서울: 민음사.
Moltmann, J.(1986), 「창조 안에 계시는 하나님」,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참고문헌 .
강돈구(1999), "단군신화의 민속적 및 철학·사상 분야의 연구", 윤이흠 외, 「檀君- 그 이해와 자료」,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김경재(1983), 「한국문화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김경재(1997), 「해석학과 종교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김광식(1977), 「선교와 토착화-언행일치의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김광식(1995), "分析綜合과 調和展開 사이에 선 神學의 課題", 「組織神學論叢」, 1호.
김상일(1988), 「한밝문명론」, 서울: 지식산업사.
김성민(1995), "단군신화와 인격의 변화", 「기독교사상」 10월, 66-99.
김인서(1952), "檀君論", 「신앙생활」 11-3 : 「김인서저작전집」, 5권(1971), 393-394.
김정숙(1997), "북한에서의 단군연구", 「단군- 그 이해와 자료」 윤이흠 외 편,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51-289.
김태곤(1968), "무속상으로 본 단군신화", 「신학과세계」, 40호.
박기민(1982), "단군신화(檀君神話)와 현대적(現代的) 해석(解釋)", 「현대종교」, 111-113권(9-11월).
박봉랑(1963.10), "성서는 기독교 계시의 유일한 쏘스",「사상계」, 235-247.
박봉랑(1963.7), "기독교 토착화와 단군신화", 「사상계」, 73-184.
박성수(1990), "단군조선은 역사인가 신화인가", 「교회와한국사회」 6권, 24-26.
박영규(1999), "한국적 신학형성과 단군신화 연구", 단군학회 편 자료집(1999), 「한국종교와 단군인식」.
박종천(1990), "단군신화의 상생이념에 대한 신학", 「기독교사상」 7월호, 104-124, 8월호 108-124.
박종천(1991), "성령론 : 웅녀(熊女)의 신학", 「상생신학」, 서울:한국신학연구소.
박종천(1991), 「상생의 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박효생(1986), "단군신화에 대한 교회사적 조명", 「기독교교육, 220권, 67-
방석종(1999) "단군의 신격화와 비신화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단군상대책위원회편, 「단군상문제공청회자료집」,
양태진(1997), "북한의 단군론 제기, 그 저의가 무엇인가?", 「북한」, 304(97.4): 194-203.
우실하(1999), 「전통문화의 구성원리」, 서울: 소나무.
유동식(1975), 「한국 무교의 역사와 구조」, 서울: 연세대출판부.
유동식(1988), 「풍류신학으로의 여로」, 서울: 전망사.
유동식(1997), 「풍류도와 한국종교사상」,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윤성범(1963.10), "단군신화는 'VESTIGIUM TRINITATIS'이다" 「기독교사상」.
윤성범(1972), 「한국적 신학-성의 해석학」, 서울: 선명문화사.
윤성범(1977), "기독교와 한국윤리", 「신학과 세계」, 1977. 가을, 2.
윤성범(1993.5), "환인, 환웅, 환검은 곧 하나님이다.", 「사상계」.
이광희(1994), "십계명과 단군계율의 비교연구" 목원대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동주(1985), "단군신화의 종교적 배경과 그 신관에 대하여", 「신학정론」, 제3권2호, 357-363
이만열(1999.8), "단군상 건립과 기독교의 대음", 「살림」.
이만열(2000.10), "단군상 문제와 기독교의 대응", 「목회와 신학」.
이보민(1992), "단군신화와 신학이 만날 수 있는가", 「목회와신학」 37권(7월), 107-113.
이상현(1994), "한국적 신론의 가능성:단군신화에 대한 신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감신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선복(1997), "최근의 '단군릉' 문제" 「한국사시민강좌」 21(97.8) : 43-57.
이형구 편(1999), 「단군과 고조선」, 서울: 살림터.
이흥환(1995), "신황에서 현시로 돌아온 '북한 단군', 「시사저널」, 303(1995.8): 16-21.
임채욱(1998), "남북한의 단군인식과 통일문화형성", 「극동문제」, 237(1998.11): 91-106.
장병일(1961.12), "단군신화에 대한 신학적 이해-창조설화의 토착화 소고", 「기독교사상」, 70-77.
전경연(1963), "소위 전이해와 단군신화" 「기독교사상」. 8-9월호, 22-29.
정영훈(1994), "한국사 속에서의 '단군민족주의'와 북한의 '단군공세', 「북한학보」,18(1994.10): 221-247.
조기수(1994), "주체사상론이 수정되고 있다; 미로의 주체사상에 단군신화 접목", 「민족정론」, 12(94.7) : 89-98.
최몽룡(1997), "북한의 단군릉 발굴과 그 문제점", 같은 책, 290-289.
최소영(1990), "단군신화에 나타난 웅녀의 역할", 「한몸」, 7호권, 86-102.
허호익(1998), 「성서의 앞선 생각」,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허호익(1999), "김광식의 해석학적 토착화론과 언행일치의 신학" 김광식교수회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편, 「해석학과 토착화」, 서울: 한들, 477-509.
허호익(1999), "단군신화의 환인 환웅 웅녀의 고의 연구", 「신학과 문화」, 제8집: 153-178.
허호익(2000), "단군신화의 단군 왕검의 고의 연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7집 343-371.
Whitehead, A. N. (1991), 「과정과 실재- 유기체적 세계관의 구상」, 오영환 역, 서울: 민음사.
Moltmann, J.(1986), 「창조 안에 계시는 하나님」,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추천자료
(한국신화)신화란 무엇인가?
고조선사에 대한 인식변천-단군과 기자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세계 신화를 비교하여 본 한국의 신화
그리스 신화와 한국 건국 신화 - 그 속에 나타난 여성의식 연구
신화와 고대국가의 형성 - 건국신화를 중심으로 살펴본 고대국가의 형성
[신화][일본 신화][이집트 신화][인도 신화][중국 신화][한국 신화][신화 사례]일본의 신화, ...
그리스 로마 신화 (신화적 상상력과 그예를 통한 현대사회에서의 그리스로마신화의 발견)
신시 * 단군조선사 연구 (한국문화사)
우리나라신화와 서양신화의 비교 report (홍익인간의 이해 단국대)
[건국신화][서사구조][전승체계][건국신화 상징][건국신화 신관]건국신화의 의미, 건국신화의...
<전통 신화의 서사구조 및 현대 신화의 양상과 구조>
[구비 문학의 이론과 실제] 동양의 신화(神話) - 한국의 신화, 중국의 신화, 인도의 신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