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진건(玄鎭健)의 무영탑(無影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요점 정리

2. 내용 연구

3. 이해와 감상

4. 심화 자료

5. `무영탑`의 줄거리

본문내용

둔 비평 작업을 많이 하였다. 현재 일본 구마모토 가꾸에 대학(態本學園大學) 동아세아학과(東亞細亞學科) 교수. 저서로 <한국 현대 비평사>, <우리 시대의 작가와 모순의 미학>, <우리의 삶과 문학>, <시상(詩想)과 목소리> 등이 있다.
'무영탑'의 줄거리
신라 경덕왕 때 초파일 밤, 다보탑을 2년 만에 완성하고 이제 석가탑을 세우고 있는 불국사에 왕이 행차를 하였다. 일행은 다보탑을 보고 감탄하였다. 특히 일행에 끼어 온 이손의 딸 구슬아기는 극도의 감격을 느꼈다. 왕 앞에 나온 석공 아사달을 보고는 한눈에 반해 버렸다. 그는 백제 사람으로, 고향에는 결혼한 지 1년 만에 헤어져 이미 3년이 지난 아사녀가 있었다. 아사녀는 추근거리는 아사달의 연적이었던 팽개를 피해 서라벌에 왔으나 남편을 만날 수 없었다. 다만 석가탑이 완성되면 영지에 비칠 것이라는 말만 믿고 영지 가에서 나날을 보내다 영지에 빠져 죽는다. 탑이 완성되자, 아내의 참변을 들은 아사달은 슬피 운다. 구슬아기는 아사달과 달아나자고 애원하다 국법을 어긴 죄로 죽음을 당한다. 아사달은 영지 가의 바위에 아내와 구슬아기의 영상을 합하여 아름다운 여인상을 조각한 뒤, 영지에 빠져 죽는다.

키워드

현진건,   무영탑,   빙허,   경덕왕,   춘원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06.30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6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