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비평-현진건(고향.운수좋은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현진건의 소설사적 업적

2. 현진건 문학의 특징

3. 운수 좋은 날
1) 핵심정리
2) 작품 해설
3) 작품 이해
(1)“운수 좋은 날”의 구성상 특징
(2)“운수 좋은 날”의 작품 기법
(3) 작품의 의의

4. 고향
1) 작품 해제
2) 작품 해설
3) 작품 이해
(1)“고향”의 문체와 표현
(2)“고향”의 단점 및 의의
(3) 인물의 상징성
4) 현진건 소설의 반어적 구조

본문내용

다.
영탄조의 서술 : '그'에 대해 '나'가 갖는 동정적 태도는 서술자로서의 객관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그'에 대한 논평자, 해석자의 위치로 변화한다. 이런 점에서 현진건의 서술적 미숙성이 지적된다.
사투리를 통한 사실적 표현 : '그'의 사투리는 극심한 고생으로 무디어져 버린 감정을 드러내는 데도 효과적일 뿐 아니라 인물의 신분이나 현장감을 살리기 위한 수단으로도 작용한다.
""고향"의 단점 및 의의
단점: 1. 단편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두드러진 인물이나 극적인 사건제시가 없다.
2. 작품구성이 치밀하지 못하고 작중서술자가 객관성 없이 감상에 치우쳐 주관적 기 술을 하고 있다
의의 : 구체적인 외양묘사. 대화에 의한 생동감 있는 사건 전개, 점진적인 심리묘사
노래를 통한 주제의 집약적 표현, 그리고 사실적인 언어구사(사투리)등을 통해 단편 소설로는 그리기 힘든 한 시대의 상황을 극명하게 제시하고 있다.
인물의 상징성
그: 일제의 수탈에 피폐해진 한국의 농촌과 농민의 전형,
고향을 잃고 방랑하는 우리민족의 전형
궐녀: 식민지하 비참한 한국여성의 전형, 일제에게 짓밟인 우리 국토(고향)
현진건 소설의 반어적 구조
현진건은 치밀하고 섬세한 사실주의적 묘사, 짜임새 있는 구성과 반전의 수법 사용 등 근대 단편 소설의 모형을 확립하고, 사실주의적 단편 문학을 개척하여 '한국의 모파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현진건 소설의 구조적 특성은 반어성(irony)에서 찾을 수 있다. irony란 겉으로 드러난 말과 실증적 의미 사이에 커다란 틈이 생겨 있는 것을 말하며, 원래의 의미와 반대가 되는 말을 하여, 그 의미를 보다 강하게 전달하는 방법으로 말의 irony와 상황의 irony가 있다.
현진건은 사실주의적 작가였으나 현실이나 사회의 단순한 현실만을 찍어내기를 거부하고, irony의 틀 속에서 1920년대라는 당시 사회나 인간성이 모순된 복합형태를 irony를 빌어 수평적으로 해부하였다. 이처럼 전후에 있어서의 모순의 대치를 통해 현실의 총체를 병렬하는 수법은 현진건 소설의 미학임과 동시에 그의 현실에 대한 강한 충직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의 소설의 반어는 상황적 반어가 주를 이루며, 크게 희극적 irony와 비극적 irony로 나뉘어진다.
「운수 좋은 날」의 경우 전체 구조가 반어로 되어 있다. 「운수 좋은 날」이란 표현의 이면에 숨어 있는 의미는 현실 속의 빈한과 불행을 역설적으로 표현하여 작품 전체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비극적 irony이다.
희극적 irony의 작품으로는 「피아노」를 들 수 있다. 이른바 이상적 가정을 꿈꾸는 속물주의 부부가 정작 이상적 가정의 필수품인 피아노를 사고도 둘 다 칠 줄 모른다는 이야기다. 특히 마지막 부분의 '잘 치십니다 그려'가 담는 tone은 「B사감과 러브레터」의 '에그 불쌍해라'와 같이 매우 효과적이다. 이런 칭찬과 비난의 반어성은 위선자나 가진 자 등의 속물 근성에 대한 신랄한 풍자이다.
이러한 반어적 기법은 전영택의 「화수분」이나 채만식의 「태평천하」에서도 볼 수 있다.r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1.29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5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