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진건의 소설 '고향'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진건의 소설 '고향'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현진건의 작품 세계
2. 이해와 감상
3. <고향>의 줄거리

Ⅱ. 본론
1. 현진건 소설의 리얼리즘
2. <고향>의 배경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년대의 역사적 사건을 도외시하고 배경이 함축하고 있는 은유와 상징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작가와 독자 사이는 언어의 재현성이 비록 자의적이고 모호하기까지 하지만 화자와 청자 사이의 의사소통이 순조롭게 진행되기 위해서 사전적 의미를 공동으로 소유해야 하는 것처럼 공유된 언어목록을 기초로 해서 관계가 이루어진다. 「고향」의 배경은 20년대 식민지라는 역사적 현실 앞에서 역사성 사회성을 함축한다. 그러므로 「고향」은 식민지하에서 보편적 성격을 띤 공간으로 한반도 전체를 상징적으로 의미한다.
그/그녀의 고향 상실은 역사적 사건과 무관하지 않은 급격한 사회변동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그녀의 고향 상실은 타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귀향은 타의에 의해서보다는 자의에 의해서 선택된다. 그/그녀가 돌아와 본 고향은 무참하게 파헤쳐진 해골처럼 드러난 아무도 살지 않는, 살았던 흔적조차도 찾기 어려운 동리의 모습으로 변해있다. 그는 정착할 수 없는, 농사를 지을 수 없는 고향으로 인하여 여정에 마침표를 찍지 못하고 다시 고향을 떠나게 된다. 그의 반복되는 고향 떠나기는 회복이 불가능한 고향의 상실을 의미한다. 그/그녀의 여로가 목적지, 고향에 안주하기 못하는 것은 삶의 터전으로서의 존재의 근원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식민지하의 현실적 공간은 인간을 위협하고 불안하게 하는 강박관념적인 공간일 뿐 아니라 설 자리를 찾지 못하고 끊임없이 이끌려가야만 하는 여로로서의 미로이기도 하다. 이런 그/그녀의 모습은 개인의 삶 그리고 여정으로 한정할 수 없다. 그/그녀가 직면한 현실은 “개인의 것이 아니라 바로 궁민화되고 회귀할 곳 없어 실향화한, 즉 삶의 기반을 상실한 식민지하의 한국인 전체의 초상이란 점에서 중요한 의미”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 홍성사, 1979, p.236
가 있다.
배경을 재현한 은유적 표현으로서 보조관념은 “꼭 무덤을 파서 해골을 헐어 젖혀 놓은 것”이며, 원관념은 “음산하고 비참한 조선의 얼굴”이다. 보조관념은 초점 화자에 의해서 귀향하여 고향을 둘러보고 담론화한 것이며, 원관념은 그의 이야기를 듣는 수화자인 동시에 서술자인 ‘나’의 해석으로써 개인적 현상을 역사적 사회적 현실로 파급하여 인식하는 태도가 날카롭게 반영된 담론이다. 「고향」의 서술자 ‘나’의 담론은 작가 개인이 20-30년대 한민족의 삶을 위협하던 사회 전반의 통제와 구속 그리고 가혹한 수탈을 조망하고 은유적이던 반어적이든 간에 사회와의 대립을 통한 내재화의 단계를 발전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고향」의 서술자 ‘나’의 담론은 전형화된 배경으로서의 역사성 사회성은 단순한 존재론적 근거를 확인하는 지리적 지형이 아니라 개인적 실존적 고뇌를 사회적 보편적 고뇌로 치환하고자 하는 은유적 담론이다. 그나 여인이 타인을 대상으로 자신의 경험을 고백하는 행위는 그 자체로 자신에 대한 새로운 인식 과정, 個我意識이다.
작중 인물의 현실로서의 사회적 역사적(시 공간적)배경은 “음산하고 비참한 조선의 얼굴”이라는 20년대의 현실을 전형적으로 날카롭게 지각하도록 한다. 이런 연유로 현진건은 탁월한 사실주의 작가로 불리게 된다.
Ⅳ. 참고문헌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3.
현길언, 「현진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5.
신동욱, 「현진건의 소설과 그 시대인식」, 새문사, 1981.
유기룡, 「빙허 현진건의 생애」, 향토문학연구, 제2호, pp.49-75, 1999.
장병희, 「현진건 단편소설 연구」, 어문학논총, 7권, pp.109-144, 1988.
장량수, 「현진건 단편 고향의 항일문학적 성격」, 한국문학논총, 제15집, pp.299-322, 1994.

키워드

현진건,   고향,   소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2.26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96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