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의 여러가지 관점과 각각의 특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가족 개념의 이해
2. 이론적 관점
3. 새로운 가족상

본문내용

간의 합의를 도출하기가 더 힘들어졌다는 의미로도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가족 내에서도 개인이기주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2) 민주적인 가족으로의 발전 가능성
가족간의 관계를 원만하게 하기 위해 보다 민주적이고 평등한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가족 내에서 의무적으로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의 적성을 고려한 역할을 중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발적인 관계를 존중함으로써 진정한 애정을 바탕으로 보다 원만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3) 성평등한 가족으로의 전환
이는 민주적인 가족과도 일맥상통한다. 여성과 남성이라는 신체적 또는 생물학적 성을 기준으로 문화적으로 정형화된 역할 부여가 아니라, 각자가 희망하는 일에 대한 자발적인 선택권과 함께, 가장 하기 싫어하는 일 조차도 가족 구성원들이 나누어서 함으로써 '기쁨과 슬픔을 공유'하고, '희망과 부담을 나눠가짐'으로써 '의무와 권리를 공유'하는 가족공동체로서의 참 모습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4) 가족과 사회의 통합을 기대하면서
(1) 정부 차원
정부 차원에서는 개별 가족이 건강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책을 개발하고 물질적인 지원과 대책 마련에 주력하여야 한다.
(2) 사회 부문
가족생활이 조직을 위해서 희생되지 않도록 학교나 기업 등 사회 부문들은 개인의 사적 영역을 존중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할 필요가 있다.
(3) 지역사회 차원
도시 가족의 고립성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이웃과의 관계를 공고히 함과 동시에 지역사회에 가족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의 마련이 시급하다.
이상과 같은 노력에 준하여 새로운 가족에 대한 기대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지금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가족이기주의'의 문제를 탈피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가족의 발전과 사회의 발전을 함께 생각하지 않고는 장기적 의미에서의 가족의 발전도 기대하기 힘들다.
가족성원들이 민주적인 방식으로 열린 공간을 마련함과 동시에, 정부 차원에서의 복지정책이 병행되고, 가족문제를 전담할 전문기구들이 생겨나고, 가족이 지역사회와의 통합을 시도할 때, 현재 한국의 가족이 당면한 많은 문제들에 대한 해결이 보다 수월해 질 것이다. 또한 가족이 안고 있는 많은 부담과 갈등이 감소되고 가족성원들이 보다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 지리라 생각된다.
【용어 설명】
젠더: 사회적으로 인지된 성의 개념.
남성다움과 여성다움과 같이 문화적으로 형성된 성의 개념
가부장제: 남성우월주의 이데올로기
【생각해 보기】
1. 본인에게 가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을 정리해 보자.
2. 이 장에서는 가족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살펴보았다. 각 입장이 한국 가족을 성명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점과 그렇지 못한 점에 대해 토론해 보자.
【참고 문헌】
손승영, 1998, "한국의 가족제도," 곽삼근 외 『일상의 여성학』, 박영사, 제6장.
박숙자·손승영·조명덕·조은, 1995, 『가족과 성의 사회학』, 사회비평사.

키워드

가족,   가정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7.04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7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