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의 역사 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컴퓨터의 역사
계산기이전시대
1400년대
1671년대
1890년대
1894년대
.
.
.
.
컴퓨터의 분류

본문내용

조작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주로 미사일 탄도 계산이나 원자 에너지 계산 등의 분야에 사용되었다.
◎에드삭 (EDSAC) :1949년 영국의 모리스와 윌키스가 개발한 것으로 2진법을 적용한 세계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 방식의 전자계산기이다. 어셈블리어를 사용 하였으며 컴퓨터의 5대 기능을 모두 갖추었다.
◎유니박- 1(UNVAC-1) :1951년 모클리와 에커드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상업용 전자계산기로 국세 조사 업무에 주로 사용되다. ◎에드박(EDVAC) :1951년 미국의 폰 노이만이 프로그램 내장방식을 이용해 만든 전자계산기로 이진연산방식을 사용하였다.
◎전자 계산기
*최초의 전자계산기 - ENIAC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 방식 계산기 - EDSAC
*최초의 상업용 계산기 - UNIVAC - 1
◎UNIVAC-1 : 1950년에 제작되었으나 1951년에 Remington-rand 사가 이를 인수하여 미국 통계국에 설치
◎프로그램 내장 방식 : 에드삭 이전의 계산기는 외부 프로그램 방식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내장 방식(Stored Program) :미국의 수학자인 폰 노이만(J. Von Neumann)이 제창하였으며 프로그램을 컴퓨터 내부의 기억 장치에 저장해두고 사용하는 방식으로 오늘날 디지털 컴퓨터의 중요한 기본 원리가 되었다.
◎1세대 :하드웨어 개발 치중, 진공관
◎2세대 :고급언어, 트랜지스터
◎3세대 :OMR, OCR, MICR, 집접 회로
◎4세대 :마이크로프로세서, 고밀도 집적 회로
◎5세대 :인공 지능, 전문가 시스템, 퍼지 이론, 초고밀도 접적 회로
◎세대별 기억소자
*진공관→트랜지스터→집적회로(IC)→고밀도 집적회로(LSI)→초고밀도 집적회로(VLSI)
◎처리속도 순서 : 밀(ms)→마(ms)→나(ns)→피(ps)→페(fs)→아(as)
*ms(milli second) : 10-3sec 1/1,000
*㎲(micro second) : 10-6sec 1/1,000,000
*ns(nano second) : 10-9sec 1/1,000,000,000
*ps(pico second) : 10-12sec 1/1,000,000,000,000
*fs(femto second) : 10-15sec 1/1,000,000,000,000,000
*as(atto second) : 10-18sec 1/1,000,000,000,000,000,000
컴퓨터의 분류
◎취급 데이터에 따른 분류
*디지털 컴퓨터(Digital Computer)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범용컴퓨터로 입력되는 자료를 문자, 숫자와 같은 코드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컴퓨터이다. 이산적인(비연속적인) 자료를 사용하여 사칙 연산이나 논리연산을 주로 수행하는 컴퓨터임.
*아날로그 컴퓨터(Analog Computer) :온도, 습도, 전압, 전류 등 연속적인 물리량을 데이터로 하여 처리하는 컴퓨터로 처리된 결과는 주로 곡선, 그래프의 형태로 출력된다. 코드 변환 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처리 속도는 빠르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는 않고 특수 목적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하이브리드 컴퓨터(Hybrid Computer) :디지털 컴퓨터와 아날로그 컴퓨터의 장점을 혼합한 특수 목적용의 컴퓨터로 아날로그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아날로그 컴퓨터의 장점인 신속한 처리와 저렴한 가격, 디지털 컴퓨터의 장점인 정확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Analog/Digital변환기와 Digital/Analog 변환기가 내장되어 있다.
◎처리 능력에 따른 분류
*슈퍼 컴퓨터(Super Computer) :처리 능력이 가장 뛰어난 컴퓨터로 초대형 컴퓨터라고도 하며 인공 위성 제어, 기상 관측, 시뮬레이션 등 고도의 계산 능력이 필요한 분야에 주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기종으로는 ILLIAC, CRAY, STAR-100, ETA-10 등이 있으며 기종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 백만 명 이상이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메인 프레임(Main Frame) :슈퍼 컴퓨터보다 성능은 떨어지지만 고속 연산이 가능하고 대용량의 기억 장치를 가지고 있어 대형 컴퓨터라 한다. 주로 은행이나 대기업, 공공기관 등 업무량이 많은 곳에서 사용한다. 대표적인 기종으로 IBM의IBM 4381, IBM 9300, CDC의 CYBER 180-990 등이 있다.
*미니 컴퓨터(Mini computer) :메인 프레임보다 성능은 떨어지지만 마이크로 컴퓨터보다 속도가 빠르며 기억 용량도 크다. 여러 개의 CPU를 가지고 있으며 다수의 단말기를 연결하여 동시에 여러 명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기종으로 DEC의 MICRO VAX, CDC의 MV4000, 삼성의 SSM-32 등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Micro computer)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라 하며 여러 가지 일을 수행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의 컴퓨터이다. 요즘은 처리 능력이 크게 향상되어 사용 범위가 보다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BM 호환 계열과 그래픽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매킨토시 계열이 있다.
①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책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컴퓨터로 탁상용 컴퓨터라 한다.
②랩톱 컴퓨터(LapTop) :무릎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컴퓨터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③노트북 컴퓨터(Notebook)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컴퓨터로 적외선 포트가 내장되어 무선 통신도 가능하다.
④팜톱 컴퓨터(Palmtop)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초소형 컴퓨터로 개인용 정보 단말기인 PDA도 이에 속한다.
⑤워크스테이션 :고성능의 마이크로컴퓨터로 빠른 계산 속도와 대용량의 기억 장치를 가지고 있어 웹 서버, 그래픽 분야, 영화 산업 등에 주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1∼3개의 CPU를 장작할 수 있으며 병력 처리가 가능하다. 주로 RISC 계열의 CPU가 사용된다.
◎처리 용량 및 속도 순서 : 슈퍼 컴퓨터>메인 프레임>미니 컴퓨터>마이크로컴퓨터
◎마이크로컴퓨터의 크기 순서(작다→크다) : 팜톱→노트북→랩톱→데스크톱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07.05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8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