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 이후 노동시장구조의 변화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머리말

제2장 자료의 구성

제3장 경제위기 이후 실업구조의 변화

제4장 경제위기 이후 취업구조의 변화 : 불안정취업층을 중심으로

제5장 맺음말

본문내용

직은 상용직에 비해 노동이동이 활발하고, 실직상태로 이동한 비중도 높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경제위기 이후 더욱 심화되었다. 또한 경제위기 이전에는 실업에서 취업으로 이동한 경우 상용직으로 취업한 비중이 상당히 높았지만 경제위기 이후에는 일용직으로 취업하는 비중이 크게 높아졌다.
셋째, 근속이나 취업기간을 보면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으로 갈수록 해당 기간이 짧아지고, 경제위기 이후 그 격차가 더 크게 확대되었다. 또한 경제활동인구조사 주기인 1개월보다 짧은 기간내에 재취업하는 비중이 임시직이나 일용직보다 상용직에서 더 높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한편 임시직과 일용직, 특히 일용직의 경우 실업상태가 아니라 비경제활동상태를 거쳐서 이동하는 규모가 매우 크다는 점도 발견하였다.
넷째, 여성의 경우 양적인 측면에서 남자보다 불안정취업층의 비중이 높을 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더 불안정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남녀별 불안정성의 차이는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축소되었는데 이는 남자가 여자보다 더 크게 악화되어 하향평준화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불안정취업층의 노동이동과 노동시장 특성에 대해 기본적인 특징만을 살펴보았다. 앞으로 패널로 연결하는 기간을 연장하고, 연령이나 교육 등 다른 변수들을 고려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취업형태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노동이동 및 노동시장 특성이 무엇에 기인하는지, 단기적인 변화와 장기적인 추세는 어떻게 연관되어 있고 장기적인 추세는 무엇에 기인하는지 등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대일(1997), 「실업 장기화의 효과 분석」, 『KDI정책연구』, 한국개발연구원
김장호(1998), 『여성실업의 구조와 행태 - 이행확률 추정을 통한 유량분석』, 한국노동연구원
김태홍(1994), 『시간제 및 임시직 고용현황과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시간제고용대책회의(1995), 『시간제노동의 실태와 정책방향』, 시간제고용대책회의
신동균(1999a), 『실업의 장기화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______(1999b), 『1998년 노동력 이동동향』, 한국노동연구원
윤진호(1994), 『한국의 불안정노동자』, 인하대학교출판부
이병희(1998), 「선진국의 노동시장구조와 노동시장제도」, 『산업노동연구』 제3권 제2호, 한국산업노동학회
______(1999a), 「실업구조의 변화 - 고실업과 장기실업」, 『동향과 전망』, 한국사회과학연구소
______(1999b), 「반복실업과 실업의 장기화」, 미발표논문
정인수(1997), 『취업형태 다양화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최경수(1997), 『단시간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______(1999), 「경제위기 기간의 고용구조 변화」, 미발표논문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 각년도
황덕순(1999), 「불안정취업층의 노동시장 특성」, 미발표논문
Abraham, K. G.(1990), "Restructuring the Employment Relationship:The Growth of Market Mediated Work Arrangement," in Abraham, K.G. and R. B. Mckersie eds. New Developments in the Labour Market:Toward a New Institutional Paradigm
Akerlof, G. A. and B. M. Main(1980), "Unemployment Spells and Unemployment Experienc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70 no. 5
Barkume, A. J. and F. W. Horvath(1995), "Using gross flows to explore movements in the labor force," Monthly Labor Review, April
Benoit-Guilbot, O. and D. Gallie(1994), Long-term Unemployment, Pinter Publishers, London
Carr , F. J.(1998), "Temporary and Contracted Work in the United States:Policy Issues and Innovative Responses", OECD Working Papers, Vol. 6. No. 87, OECD.
Eatwell, J.(1997), "Effective Demand and Disguised Unemployment," Michie, J. and J. G. Smith, Employment and Economic Performance : Jobs, Inflation, and Growth, Oxford University Press
Grubb, D. and W. Wells(1995), "Employment Regulation and Patterns of Work in EC Countries", OECD Economic Studies, No. 21, Winter, 1993.
Lemaitre, G., P. Marianna, and A. Bastelaer(1999),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Part-time Work", OECD Economic Studies, No. 29. 1997. Ⅱ.
OECD(1985), "Moving In and Out of Unemployment : The Incidence and Patterns of Recurrent Unemployment in Selected OECD Countries," Employment Outlook
OECD(1987), "Recent Labour Market Trends", Employment Outlook.
OECD(1993), "Labour Market Prospects and Recent Developments", Employment Outlook
OECD(1999), Employment Outlook
OECD(1999), "Current Statistics on Labour Dynamics," DEELSA/ELSA/WP7(99)3
  • 가격3,3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9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