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구조조정 : 재벌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말

II. 재벌 구조조정의 세 차원

III. 구조조정의 전개

IV. 재벌 구조조정의 쟁점

V. 맺음말

본문내용

주권이 강화되고 회계의 투명성이 진전되었다. 외국자본의 유입으로 주식시장을 통한 감시.견제도 강화되었다. 그리고 재벌체제의 대외적 측면에서는 부당내부거래의 단속이 강화되고 채무보증이 해소되었다. 계열사수와 영위업종수도 다소 줄어들었다. 벤처기업이 새롭게 발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재벌 구조조정의 한계 또한 분명하다. 부실한 일부 대기업의 처리가 아직도 매듭지어지지 않고 있고, 빅딜은 거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부채 면에서도 적정규모에 도달했다고 할 수 없다. 이자보상비율이 1 이하인 기업이 대기업 전체의 30-40%에 이르고, 이자가 낮아졌는데도 금융비용부담률이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부실기업 처리는 미진한 편이다.
재벌체제의 대내적 개혁을 위해 도입한 사외이사제도는 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적대적 M&A에 의한 시장규율도 작동하지 않고 있다. 집중투표제도 법령상으로는 도입되었으나 실질적으로는 배제되고 있다. 소유구조 면에서는 개혁은커녕 오히려 후퇴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출자총액제한제도의 유명무실화라든가 금융계열사의 의결권제한 완화등이 그러한 예이다. 따라서 재벌의 투명성과 책임성은 다소 개선되었으나 전문성의 개선은 답보상태인 것이다
재벌체제의 대외적 측면에서는 변칙적인 채무보증이 드러나고 있다. 향후 순수지주회사의 허용조건이 완화됨으로써 선단경영이 강화될 위험성도 존재한다. 그리고 재벌간의 어지러운 재편과정에서 삼성의 국민경제 지배력이 돌출적으로 증대되었다. 정부는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의 분리를 입으로는 외치면서 실제로는 은행에 대한 재벌의 지배력확장을 허용해가고 있다. 정계.관계.언론계.학계.법조계에 대한 재벌의 지배력도 크게 위축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요컨대 재벌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부실처리는 미진하며, 황제경영과 선단문어발경영은 다소 약화되긴 했으나 지능화된 형태로 존속되고 있는 것이다. 재벌이 투명성, 책임성, 전문성을 갖춘 선진 대기업으로 환골탈태되기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고도 먼 상태이다. 이처럼 재벌의 구조조정이 어정쩡한 상태로 일단락된 데에는 여러 요인이 있다. 정부의 개혁의지가 시간이 지날수록 퇴색되어 갔으며, 개혁주도세력이 제대로 결집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또 정부는 철저한 구조조정보다는 구조조정 충격의 최소화에 더 역점을 두었고, 그리하여 개혁의 액셀러레이터와 브레이크를 동시에 밟았다. 재벌개혁의 핵심인 소유지배구조의 개혁에 좀더 힘을 쏟지 않았던 것도 개혁부진의 중요한 요인이었다.
물론 재벌체제의 지양이 단번에 달성되기는 용이하지 않다. 재벌체제라는 것이 그 동안 나름대로의 존재근거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어쨌든 외환위기 이후 시장의 논리, IMF와 IBRD의 압력, 그리고 국민들의 요구로 부분적이나마 재벌의 구조조정은 달성되었다. 문제는 구조조정과정에서 이루어진 각 경제주체들의 압축적 학습정도이다. 즉 구조조정에 필요한 지식.정보와 이해관계조정 및 개혁추진 능력을 어느 만큼 확대.심화시켰는가가 관건이다. 여기에 재벌과 한국경제의 미래가 달려 있는 셈이다.
< 참고문헌 >
강철규 외. 1991. 『재벌 : 성장의 주역인가 탐욕의 화신인가』. 비봉.
경제정책조정회의. 2002.1. 「2001년 4대부문 구조개혁 실적」
공정거래위원회. 2001.8.7. 「2001년 대규모기업집단 주식소유현황 분석」.
공정거래위원회. 2001. 9. 『2001 국정감사 요구자료(II)』.
김기원. 2000. 「재벌개혁을 둘러싼 쟁점」. 『구조조정의 정치경제학과 21세기 한국경제』. 풀빛.
김기원. 2001. 「재벌체제의 발전과 모순」. 『동향과 전망』 가을호. 박영률출판사.
김태동 외. 1998.2. 「국민의 정부 경제정책」
금융감독원. 2001.4.17. 「2000년도 12월 결산 외부감사 대상법인 감사의견 현황」.
금융감독원. 2001.4.25. 「기업경영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산업자원부. 2001.12.28. 「우리 나라 외국인직접투자 및 해외직접투자의 비교분석」
산업자원부. 2001. 『산업자원백서』.
성소미. 2001. 『한국의 벤처 : 평가와 전망』. 비봉.
유승민. 1998. 「관치경제에서 시장경제로의 전환」. 한국생산성본부 발표문.
유승민. 2000. 『재벌, 과연 위기의 주범인가』. 비봉.
육승환 외. 「기업재무구조조정(Workout)의 성공조건」. 한국은행 특별연구실.
이성규. 2001.3. 「기업구조조정의 성과와 CRV 추진방향」. 『금융경제연구』 118호. 한국은행.
박상일 외. 2001.1. 「外資 경영의 빛과 그늘」, 삼성경제연구소.
박상수. 2001.5.16., 「외환위기 이후 대기업집단의 10가지 경영행태 변화」, 『LG주간경제』, LG 경제연구원.
장지상. 2001.10. 「기업지배구조 개혁의 성과와 향후과제」. 한국산업조직학회 발표문.
장하성. 2000.12. 「경제위기 이후의 기업구조조정의 효과에 관한 분석」, 한국재무학회 발표문.
전국경제인연합회FKI. 2001.5.30., 「기업구조조정 '5+3' 원칙 실천현황과 향후 추진계획」
조영철. 1998. 「국가후퇴와 한국 경제발전모델의 전환」. 『위기, 그리고 대전환』. 당대.
최승노. 2001. 「2001년 한국의 대규모기업집단」. 자유기업원.
한국개발연구원. 2001.12. 『시장구조 조사공표』.
한국경제연구원. 2000.12. 「재벌구조와 재벌정책」.
한국은행. 2001.12.20. 「2001년 1∼9월중 기업경영분석결과」
Lee, Young Ki and Youngjae Lim. " In Search of Korea's New Corporate Governance System," An Agenda for Economic Reform in Korea. edited by Kenneth L. Judd and Young Ki Lee. Hoover Press & KDI.
Mako, William P. 2001.5. "Corporate Restructuring and Reform : Lessons from Korea," Conference on the Korean Crisis and Recovery, IMF & KIEP.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9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