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재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재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재벌의 정의
Ⅱ. 한국재벌의 발전과정&단계별결과
Ⅲ. 재벌의 문제점
Ⅳ. 재벌의 올바른길
Ⅴ. 참고자료

본문내용

뇌물을 요구 받았는데 주지 않았다. 그래서 우리는 망했다"고 주장했다.
조씨는 삼호를 인수한 D사는 그후 1996년 법원판결에서 전두환에게 정치자금을 제공한 혐의로 징역 2년6월을 선고받았다며 전두환 신군부와 D사간 정경유착에 의한 삼호그룹 탈취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D사 관계자는 "너무 오래된 일이어서 알 수 없다"며 즉답을 회피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안씨는 이같은 보도 내용을 전한 뒤, "이같은 사실이 한 연방의원을 통해 소개된 이래 하원에는 이를 논의한 15건 정도의 기록이 있다"며 "앞으로 하나하나 알아보겠다"고 밝혔다.
신군부에 삼호그룹 공중분해 주장은 현재 삼호건설 등을 인수한 D사는 현재 국내 굴지의 건설그룹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적잖은 후폭풍을 몰고올 전망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뷰스엔 뉴스 2009년 11월 17일
무분별한 사업증식
우리나라 재벌의 다각화 정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우리나라 산업의 구조를 보더라도 알수가 있다. 재벌그룹의 손이 미치지 않는 곳을 찾아보기 어려울정도이다.
지금까지의 확장은 경제적 수익성을 추구하기보다는 매출액규모, 업계 순위 등에 매달리거나 아니면 다른 의도에서 나타난 결과였으며, 바로 그러한 점에서 '무분별'했음이 외환위기로 나타났으며 대규모의 구조조정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드러났다.
재벌이 주력 업종에 전문화한다면 경기 상황에 따른 파산의 위험이 높아진다. 그러나 여러 업종에 진입하여 계열을 이루어 이른바 '산업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그러한 위험을 상당부분 감소시킬 수 있다. 내부거래를 통해 흑자 기업이 적자 기업의 손실을 직접 보전해 주는 방식으로 한계 기업의 퇴출이 방지될 수 있다. 사업다각화를 이루게 되면 이러한 방법으로 경기 상황에 관계없이 모든 계열사를 유지함으로써 파산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계속적인 기업활동을 영위해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증식은 기존 시장에 진입되있는 기업이있음에도 또다시 다른 기업이 들어오므로 과잉 중복 투자를 야기 시키기도한다
최근 MB 정부 출범 이후 지난 2년 만에 전체 증가분(299개)의 63.5%인 190사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포토뉴스 2010년 4월 1일
Ⅳ.재벌의 올바른길
한국인들에게 삼성그룹과 이건희 회장은 애증(愛憎)의 대상이지만, 발렌베리 가문과 마르쿠스 발렌베리 회장은 스웨덴 국민의 폭넓은 존경과 사랑을 받고 있다. 발렌베리가의 비결은 무엇인가. 많이 알려진 이야기지만 그것은 한마디로 투명성과 도덕성을 강조하는 경영철학이다. 가문의 재산증식보다는 스웨덴 사회의 보편적 가치를 위한 사업에 투자하는 것이다. 창업자의 증손자 피터 발렌베리의 재산이 199억원에 불과하다는 사실은 이를 반증한다.
발렌베리 소속 기업은 모두 독립경영이 원칙이다. 지주회사를 통해 이 14개 기업들을 지배하고 인베스터를 지배하는 공익재단이 최상위 지주역할을 한다. 인베스터가 자회사로부터 받은 배당이익을 공익재단으로 보내고 재단은 수익금을 스웨덴 과학 기술발전에 지원한다.인베스터를 경영하려면 조건이 있다. 상기한 대로 부모 도움 없이 대학을 마치고 해외 유학과 해군장교 복무를 마친 사촌들 가운데 경쟁을 통해 경영자를 결정한다. 우리나라의 재벌들처럼 경영능력 검증 없이 때가 되면 자녀들에게 경영권을 자동 승계해주는 이상한 대물림은 찾아볼 수 없다. 발렌베리와 삼성의 차이점은 너무나 많다. 삼성과 달리 발렌베리는 기업도 그룹도 아니라는 사실이다. 실제로 발렌베리가 소유한 기업 어디에도 ‘발렌베리’라는 브랜드를 찾아볼 수 없으며 통일된 상징물도 없다. 소유지배 구조에서도 발렌베리는 삼성처럼 복잡한 출자구조가 아니다.
기업이 마치 자기자신의 개인 회사인마냥 오너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사고방식은 이제 고쳐야할 구시대의 유물이다. 하지만 아직도 비자금과 각종 스캔들, 법정을 오가는 회장님의 어두운 표정이 한국 재벌의 이미지로 남아있는 것이 한국재벌의 현실이다. 혈연, 지연, 학연 등 으로 자기들만의 세계를 구축한 한 한국제벌들에게도 이제는 발렌베리가문과 같은 국가와 소비자, 기업의 수평적 공존이 필요한 시점이다.
일요서울 2009년 10월 13일자
Ⅴ. 참고자료
[책 출처]
한국재벌사 - 이한구 2004
해방이후 한국경제의 위기
[신문 출처]
뷰스엔 뉴스 2009년 11월 17일
포토뉴스 2010년 4월 1일
일요서울 2009년 10월 13일자
[블로그]
뜬 구름의 사색노트(네이버 블로그,http://pertinax.blog.me/50118547857)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11.07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45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