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주식시장 및 정치적 시장의 의사결정방식으로서 투표에 관한 비교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시장의 투표

1) 교환방식으로서 투표

2) 시장에서 사표의 완전제거가능성

3) 시장경쟁과 사표기피원리

3. 주식시장의 투표

1) 소액주주의 사표

2) 대주주의 사표

3) 지배주주의 제2사표

4. 정치적 시장의 투표

1) 정치적 시장의 책임/배분구조

2) 1인1표의 존재근거

3) 효율적인 정치적 시장의 존재가능성

4) 유연한 정치적 시장의 존재가능성

5. 맺음말

[부록1] 지역구 국회의원선거의 불합리성

[부록2] 단기이양식 투표제도와 제2사표만 이양하는 투표제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2사표만 이양하는 투표제도를 생각해보자. 이양기준은 전국구 순위를 따른다. 이것은 표를 이양하여주는 당선자의 입장을 반영하고 직능대표의 당선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 될 것이다.
편의상 10명을 뽑는 전국구 선거에서 A, B, C 정당이 각각 7명의 후보를 내세워서 득표결과는 다음과 같다고 하자.
<표2> 각 후보의 득표결과
정당내 순위
1
2
3
4
5
6
7
A
220
348
98
181
113
121
95
B
247
227
176
74
115
65
79
C
129
111
175
321
125
78
51
이양을 받은 표까지 합산하여 당선가능한 득표는 당선자의 수와 반비례할 것이다. 즉 당선자의 수와 당선가능득표는 서로 대응할 것이다. 이 경우 10명의 당선자와 대응하는 당선가능득표는 190표 내외일 것이다. 그러면 일차적으로 190표 이상의 득표를 한 후보자는 당선이 된다. 이들 후보자의 190표를 넘는 초과표는 정당내 전국구 상위순위 후보에게 이양한다. 표를 이양받은 후보자가 190표를 넘을 경우 순위에 따라 다시 이양을 한다. 이러한 이양과정은 이양받은 후보자가 190표 미만일 때까지 계속된다. 그 결과, 표를 이양해주거나 이양 받아서 190표를 가지고 있는 후보자는 당선이 확정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2> 이양과정을 거친 후보자의 보유표
정당내 순위
1
2
3
4
5
6
7
A
190
190
190
190
190
123
95
B
190
190
190
154
115
65
79
C
190
181
175
190
125
78
51
<참고문헌>
김광수(1997),『선거와 선거제도』, 박영사.
민경국(1993),『신정치경제학』, 석정.
______(1993),『헌법경제론』, 강원대 출판부.
안순철(1998),『선거체제비교: 제도적 효과와 정치적 영향』, 법문사.
이용욱(1991),「재산권의 경제학적 함축에 관한 연구」,『사회과학연구 11집 2호』, 영남대 사회과학연구소.
조영철(1997),「시장, 조직, 경제민주주의」, 『사회경제평론 10호』, 한국사회경제학회.
Alchian, A.(1977), Economic Forces at Work, Liberty Press.
______ & Allen W. R.(1977), Exchange and Production: Competition, Coordination and Control, Wadsworth.
______ & ______(1968), University Economics, Wadsworth.
Bowles, S. & Gintis, H.(1987), Democracy and Capitalism: Property, Community and the Contradictions of Modern Social Thought, 차성수·권기돈 역(『민주주의와 자본주의』), 백산서당, 1994.
Cartlier, J.,(1991), Marx's Theory of Value, Exchange and Surplus Value : A suggested reformulation ,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Vol. 15.
Cox, G. W.(1997), Making Votes Count, Cambridge Univ. Press.
Demsetz, H.(1995), The Economics of the Business Firm: Seven Critical Commentaries, Cambridge Univ. Press.
______(1983), "The Structure of Ownership and the Theory of Firm," Journal of Law & Economics vol. 26.
De Vroey, M.(1985), 「마르크스주의 가치이론에 대한 추상노동적 해석 : 하나의 비판적 평가」, 한신경제과학연구소 편(1986).
Downs, A.(1957), An Economic Theory of Democracy, Harper & Brothers.
Easterbrook, F. H. & Fischel, D. R.(1983), "Voting in Corporate Law," Journal of Law & Economics vol. 19.
Holcombe, R. G.(1994), The Economic Foundations of Government, Macmillan.
Liphart, A(1994), Electoral System and Party System: A Study of twenty-seven Democracies, 1945-1990, 서주관 역(『선거제도와 정당제』), 삼지원, 1997.
Mill, J. S.(1861), Considerations on Representative Government, Harper and Row, 1963.
Mueller, D. M.(1989), Public Choice II (A revised edition of Public Choice), Cambridge Univ. Press.
Pejovichi, S.(1990), The Economics of Property Right: Toward a Theory of Comparative Systems, Kluwer Academic Publisher.
Riker, W. H.(1962), The Theory of Political Coalitions, Yale Univ. Press.
Samuelson, P. A.(1948), Economics 1st ed., McGraw-Hill.
Schumpeter, J. A.(1942),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역 이상구. 삼성출판사, 1990.
Streit, M.,(1991), Theorie der Wirtschaftspolitik 4 Auflage, Werner-Verlag.
Williamson, O. E.(1983), "Organization Form, Residual Claimant, and Corporate Control," Journal of Law & Economics vol. 19.

키워드

시장,   주식,   정치적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0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