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스주의와 탈근대주의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제3의 가능성

2. 앰허스트학파의 초결정론

3. 해체와 재구성

4. 새로운 자리매김

본문내용

1976, 66-67)이어야만 하는 것이다 -- 즉 귀환점이 없는 출발, 영원한 시작인 것이다.
이와 같이 탈근대적 맑스주의는 근대주의와 탈근대주의의 경직된 이분법을 극복하려고 시도한다. 탈근대적 맑스주의는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는 본질론적 궁지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근대주의는 거대 단일체(즉 다양성 없는 통일성)에 대한 집착으로 특징지어 지는데 반해, 탈근대주의는 다양성의 무조건적 찬양(즉 통일성 없는 다양성)으로 특징 지어진다. 탈근대적 맑스주의는 다양성과 통일성 모두의 중요성을 인정한다. 탈근대적 맑스주의는 '다양성 속의 통일성'을 추구한다. 이 통일성은 고정된 통일성이 아니라 탈중심화된 총체 속에서 '끊임없는 미끄러짐(endless slippage),' '영원한 불확실성'으로서만 존재하는 통일성이다 (Hall 1985, 92). 이 통일성은 모순에 찬 복합체이며 파열적 복합체이다. 이러한 모순에 찬 파열적 통일성은 이름 그대로 항상 새롭게 조율되고 또 재조율 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탈근대적 맑스주의는 탈중심화된 사회총체 속에서 계급을 중심으로 통일성(비록 파열적인 통일성이지만)의 순간을 도출해 내기 위한 끊임없는 조율과 재조율의 과정인 것이다.
참고문헌
맑스 (Marx, K.) 1991. 「포이에르바하에 관한 테제들」,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 제 I권』, 감수 김세균 번역 최인호 외, 185-189. 박종철 출판사.
Althusser, L. 1976. Essays in Self-Criticism. Trans. G. Lock. London: NLB.
_________. 1990. For Marx. Trans. B. Brewster. London/New York:
Althusser, L. and Balibar, E. 1979. Reading Capital. Trans. B. Brewster. London/New York: Verso.
Amariglio, J. 1987. "Marxism against Economic Science: Althusser's Legacy." In Research in Political Economy, ed. P. Zarembka, vol. 10, 159-194. Greenwich, Conn.: JAI Press.
Callari, A. and Ruccio, D. 1996. "Introduction: Postmodern Materialism and the Future of Marxist Theory." In Postmodern Materialism, eds. A. Callari and D. Ruccio, 1-48. Hanover: Wesleyan University Press.
Gibson-Graham, J. K. 1995. "A Book of Class Analyses." Mimeo.
__________. 1996. "Althusser and Capitalism: An Encounter in Contradiction." In Callari and Ruccio eds., 212-230.
Gramsci, A. 1971. Selections from the Prison Notebooks. Eds. and trans. Q. Hoare and G. Smith. New York: International Publishers.
Hall, S. 1985. "Signification, Representation, Ideology: Althusser and the Post-Structuralist Debates." Critic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2:2 (June): 91-114.
Lyotard, J-F. 1984. The Postmodern Condition. Trans. G. Bennington and B. Massumi.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Resnick, S. and Wolff, R. 1987. Knowledge and Class: A Marxian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Chicago/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__________. 1992. "Radical Economics: A Tradition of Theoretical Differences." In Radical Economics, eds. B. Roberts and S. Feiner, 15-43.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__________. 1993. "Althusser's Liberation of Marxian Theory." In The Althusserian Legacy, eds. E. A. Kaplan and M. Sprinker, 59-72. New York: Verso.
__________. 1995. "Postmodernism: A Marxist Critique." Mimeo.
Shin, J-Y. 1995. "Althusser's Contribution to a Postmodern Marxism (Overdeterminist) Marxism." Rethinking Marxism 8:2 (Summer): 112-122.
__________. 1997. "The Postmodern Moments in the Marxist Tradition."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Sociology,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t Amherst.
Wolff, R. 1995, "Magritte: A Painter Brushes with Overdetermination." Rethinking Marxism 8:1 (Spring): 27-47.
__________. 1996. "Althusser and Hegel: Making Marxist Explanations Antiessentialist and Dialectical." In Callari and Ruccio eds., 150-163.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0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