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목차
1. 머리말
2. 조선시대 농업 생산관계 연구의 재검토
3. 농장제의 전개과정과 그 평가
4. 병작제의 전개과정과 그 평가
5. 마무리
2. 조선시대 농업 생산관계 연구의 재검토
3. 농장제의 전개과정과 그 평가
4. 병작제의 전개과정과 그 평가
5. 마무리
본문내용
6(0)
1551∼1600
0
3
1
4
<28.6>
7(0)
1601∼1650
0
1
0
1
<7.1>
1(0)
1651∼1700
0
0
0
0
<0.0>
1(0)
1701∼1750
1
0
0
1
<7.1>
2(0)
1751∼1803
0
0
0
0
<0.0>
2(0)
소계
4
<28.6>
9
<64.3>
1
<7.1>
14
<100.0>
26(1)
<주> 1 ( )는 중복기재된 건수임.
. 2 < >는 노동력 문제 소계에 대한 백분율임.
<출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외, 『CD-ROM 국역 조선왕조 실록』, 1995.
<표 13> 병작을 하게된 동기에 관한 내용들
구 분
사적인 이익 추구
관청경비
조달
투입물 절약(종자, 소, 농량)
도지제
실시
병작동기
소계
총건수
1392∼1450
1
0
0
0
1
<7.7>
2(0)
1451∼1500
1
2
0
0
3
<23.1>
5(1)
1501∼1550
0
3
0
0
3
<23.1>
6(0)
1551∼1600
0
1
1
0
2
<15.4>
7(0)
1601∼1650
0
1
0
0
1
<7.7>
1(0)
1651∼1700
0
1
0
0
1
<7.7>
1(0)
1701∼1750
0
1
0
1
2
<15.4>
2(0)
1751∼1803
0
0
0
0
0
<0.0>
2(0)
소 계
2
<15.4>
9
<69.2>
1
<7.7>
1
<7.7>
13
<100.0>
26(1)
<주> 1 ( )는 중복기재된 건수임.
. 2 < >는 병작동기 소계에 대한 백분율임.
<출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외, 『CD-ROM 국역 조선왕조 실록』, 1995.
<표 14> 병작의 추진주체에 관한 내용들
구분
품관
향리, 찰방
부강한
사람
일반백성
국가나 관청
병작추진
주체 소계
총건수
1392∼1450
0
1
0
0
1
<9.1>
2(0)
1451∼1500
2
1
1
0
4
<36.4>
5(1)
1501∼1550
0
0
0
0
0
<0.0>
6(0)
1551∼1600
1
0
0
4
5
<45.5>
7(0)
1601∼1650
0
0
0
0
0
<0.0>
1(0)
1651∼1700
0
0
0
0
0
<0.0>
1(0)
1701∼1750
0
0
0
1
1
<9.1>
2(0)
1751∼1803
0
0
0
0
0
<0.0>
2(0)
소 계
3
<27.3>
2
<18.2>
1
<9.1>
5
<45.5>
11
<100.0>
26(1)
<주> 1 ( )는 중복기재된 건수임.
. 2 < >는 병작추지 주체 소계에 대한 백분율임.
<출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외, 『CD-ROM 국역 조선왕조 실록』, 1995.
<표 15> 병작이 유발한 사회문제에 관한 내용들
구분
군역감소
국공유지 사적으로 병작함
병작강제의 폐해
병작의 지나친
만연
사회문제
소계
계
1392∼1450
0
0
0
0
0
<0.0>
2(0)
1451∼1500
1
0
0
0
1
<8.3>
5(1)
1501∼1550
0
0
3
1
4
<33.3>
6(0)
1551∼1600
0
1
2
0
3
<25.0>
7(0)
1601∼1650
0
0
0
0
0
<0.0>
1(0)
1651∼1700
0
0
0
0
0
<0.0>
1(0)
1701∼1750
0
0
0
1
1
<8.3>
2(0)
1751∼1803
0
1
0
2
3
<25.0>
2(0)
소 계
1
<8.3>
2
<16.7>
5
<41.7>
4
<33.3>
12
<100.0>
26(1)
<주> 1 ( )는 중복기재된 건수임.
. 2 < >는 사회문제 소계에 대한 백분율임.
<출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외, 『CD-ROM 국역 조선왕조 실록』, 1995.
<표 16> 병작을 시행할 수 없었던 사례들
구분
병작하려는 사람이 없음
백성의 도망
병작불능 사례에 관한 소계
총건수
1392∼1450
0
0
0
<0.0>
2(0)
1451∼1500
0
0
0
<0.0>
5(1)
1501∼1550
2
0
2
<66.7>
6(0)
1551∼1600
0
1
1
<33.3>
7(0)
1601∼1650
0
0
0
<0.0>
1(0)
1651∼1700
0
0
0
<0.0>
1(0)
1701∼1750
0
0
0
<0.0>
2(0)
1751∼1803
0
0
0
<0.0>
2(0)
2
<66.7>
1
<33.3>
3
<100.0>
26(1)
<주> 1 ( )는 중복기재된 건수임.
. 2 < >는 병작불능 사례에 관한 소계에 대한 백분율임.
<출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외, 『CD-ROM 국역 조선왕조 실록』, 1995.
1996年度 經濟史學會 月例發表會 一覽
일련번호
제 목
발 표 자
96-1
Transition, Transition Debate and the Criticism Challenging the Universality of Marx's Transition Theory through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박영희(외국어대서남아연구소)
96-2
英國의 프로토 工業化
車明洙(영남대)
96-3
中世商業發達의 理論的 模型의 摸索─朝鮮時代 商業의 構造와 特質의 解明을 위한 作業假說─
李憲昶(고려대)
96-4
美國·英國·獨逸의 大恐慌 恢復過程
梁東烋(서울대)
96-5
日本 德川시대의 幕藩권력과 商人組織: 경제정책 수립과 실행에 있어서 상인의 역할을 중심으로
尹炳南(서강대)
96-6
植民地期 舒川水利組合 硏究 Ⅰ─優良組合으로서의 現狀과 要因─
鄭勝振(성대대학원)
96-7
18世紀 地主制의 構造
金建泰(성대대학원)
96-8
南北韓 分斷에 관한 經濟史的 接近―8·15 直後 南北韓 경제관계의 단절과정을 중심으로―
金甫瑛(한국가스공사개발연구원)
96-9
日帝下 고무工業의 展開
朱益鍾(서울시립대 강사)
96-10
韓國 經濟成長의 歷史的 認識: 生産力 性格과 內在的 視角
崔培根(建國大)
96-11
國民總力運動과 農村統制
김영희(숙대 대학원)
96-12
남북전쟁 이전 미국의 競賣체제에 관한 연구--신제도학파의 접근방법으로--
盧宅善(한국외국어대)
96-13
1928年 朝鮮에서의 民族別 勞動力 差別 -土木建築關係 勞動者의 賃金隔差 分解를 中心으로-
金鍾翰(대구사회연구소)
96-14
南朝鮮時代 農業 生産關係의 轉換 - 農莊制와 竝作制 論議를 中心으로 -
李鎬澈(慶北大 農經濟學科)
1551∼1600
0
3
1
4
<28.6>
7(0)
1601∼1650
0
1
0
1
<7.1>
1(0)
1651∼1700
0
0
0
0
<0.0>
1(0)
1701∼1750
1
0
0
1
<7.1>
2(0)
1751∼1803
0
0
0
0
<0.0>
2(0)
소계
4
<28.6>
9
<64.3>
1
<7.1>
14
<100.0>
26(1)
<주> 1 ( )는 중복기재된 건수임.
. 2 < >는 노동력 문제 소계에 대한 백분율임.
<출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외, 『CD-ROM 국역 조선왕조 실록』, 1995.
<표 13> 병작을 하게된 동기에 관한 내용들
구 분
사적인 이익 추구
관청경비
조달
투입물 절약(종자, 소, 농량)
도지제
실시
병작동기
소계
총건수
1392∼1450
1
0
0
0
1
<7.7>
2(0)
1451∼1500
1
2
0
0
3
<23.1>
5(1)
1501∼1550
0
3
0
0
3
<23.1>
6(0)
1551∼1600
0
1
1
0
2
<15.4>
7(0)
1601∼1650
0
1
0
0
1
<7.7>
1(0)
1651∼1700
0
1
0
0
1
<7.7>
1(0)
1701∼1750
0
1
0
1
2
<15.4>
2(0)
1751∼1803
0
0
0
0
0
<0.0>
2(0)
소 계
2
<15.4>
9
<69.2>
1
<7.7>
1
<7.7>
13
<100.0>
26(1)
<주> 1 ( )는 중복기재된 건수임.
. 2 < >는 병작동기 소계에 대한 백분율임.
<출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외, 『CD-ROM 국역 조선왕조 실록』, 1995.
<표 14> 병작의 추진주체에 관한 내용들
구분
품관
향리, 찰방
부강한
사람
일반백성
국가나 관청
병작추진
주체 소계
총건수
1392∼1450
0
1
0
0
1
<9.1>
2(0)
1451∼1500
2
1
1
0
4
<36.4>
5(1)
1501∼1550
0
0
0
0
0
<0.0>
6(0)
1551∼1600
1
0
0
4
5
<45.5>
7(0)
1601∼1650
0
0
0
0
0
<0.0>
1(0)
1651∼1700
0
0
0
0
0
<0.0>
1(0)
1701∼1750
0
0
0
1
1
<9.1>
2(0)
1751∼1803
0
0
0
0
0
<0.0>
2(0)
소 계
3
<27.3>
2
<18.2>
1
<9.1>
5
<45.5>
11
<100.0>
26(1)
<주> 1 ( )는 중복기재된 건수임.
. 2 < >는 병작추지 주체 소계에 대한 백분율임.
<출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외, 『CD-ROM 국역 조선왕조 실록』, 1995.
<표 15> 병작이 유발한 사회문제에 관한 내용들
구분
군역감소
국공유지 사적으로 병작함
병작강제의 폐해
병작의 지나친
만연
사회문제
소계
계
1392∼1450
0
0
0
0
0
<0.0>
2(0)
1451∼1500
1
0
0
0
1
<8.3>
5(1)
1501∼1550
0
0
3
1
4
<33.3>
6(0)
1551∼1600
0
1
2
0
3
<25.0>
7(0)
1601∼1650
0
0
0
0
0
<0.0>
1(0)
1651∼1700
0
0
0
0
0
<0.0>
1(0)
1701∼1750
0
0
0
1
1
<8.3>
2(0)
1751∼1803
0
1
0
2
3
<25.0>
2(0)
소 계
1
<8.3>
2
<16.7>
5
<41.7>
4
<33.3>
12
<100.0>
26(1)
<주> 1 ( )는 중복기재된 건수임.
. 2 < >는 사회문제 소계에 대한 백분율임.
<출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외, 『CD-ROM 국역 조선왕조 실록』, 1995.
<표 16> 병작을 시행할 수 없었던 사례들
구분
병작하려는 사람이 없음
백성의 도망
병작불능 사례에 관한 소계
총건수
1392∼1450
0
0
0
<0.0>
2(0)
1451∼1500
0
0
0
<0.0>
5(1)
1501∼1550
2
0
2
<66.7>
6(0)
1551∼1600
0
1
1
<33.3>
7(0)
1601∼1650
0
0
0
<0.0>
1(0)
1651∼1700
0
0
0
<0.0>
1(0)
1701∼1750
0
0
0
<0.0>
2(0)
1751∼1803
0
0
0
<0.0>
2(0)
2
<66.7>
1
<33.3>
3
<100.0>
26(1)
<주> 1 ( )는 중복기재된 건수임.
. 2 < >는 병작불능 사례에 관한 소계에 대한 백분율임.
<출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외, 『CD-ROM 국역 조선왕조 실록』, 1995.
1996年度 經濟史學會 月例發表會 一覽
일련번호
제 목
발 표 자
96-1
Transition, Transition Debate and the Criticism Challenging the Universality of Marx's Transition Theory through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박영희(외국어대서남아연구소)
96-2
英國의 프로토 工業化
車明洙(영남대)
96-3
中世商業發達의 理論的 模型의 摸索─朝鮮時代 商業의 構造와 特質의 解明을 위한 作業假說─
李憲昶(고려대)
96-4
美國·英國·獨逸의 大恐慌 恢復過程
梁東烋(서울대)
96-5
日本 德川시대의 幕藩권력과 商人組織: 경제정책 수립과 실행에 있어서 상인의 역할을 중심으로
尹炳南(서강대)
96-6
植民地期 舒川水利組合 硏究 Ⅰ─優良組合으로서의 現狀과 要因─
鄭勝振(성대대학원)
96-7
18世紀 地主制의 構造
金建泰(성대대학원)
96-8
南北韓 分斷에 관한 經濟史的 接近―8·15 直後 南北韓 경제관계의 단절과정을 중심으로―
金甫瑛(한국가스공사개발연구원)
96-9
日帝下 고무工業의 展開
朱益鍾(서울시립대 강사)
96-10
韓國 經濟成長의 歷史的 認識: 生産力 性格과 內在的 視角
崔培根(建國大)
96-11
國民總力運動과 農村統制
김영희(숙대 대학원)
96-12
남북전쟁 이전 미국의 競賣체제에 관한 연구--신제도학파의 접근방법으로--
盧宅善(한국외국어대)
96-13
1928年 朝鮮에서의 民族別 勞動力 差別 -土木建築關係 勞動者의 賃金隔差 分解를 中心으로-
金鍾翰(대구사회연구소)
96-14
南朝鮮時代 農業 生産關係의 轉換 - 農莊制와 竝作制 論議를 中心으로 -
李鎬澈(慶北大 農經濟學科)
추천자료
북한의 고전문학사 - 조선시대
[사화]조선시대 4대 사화에 관하여
[역사] [근현대사]조선시대 서원의 성립과 교육적 기능
[교육사상가]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이(성리학), 조선시...
전통가구 - 조선시대 가구 특징에 대한 조사
정부와 시민참여 - 영화 '이장과군수'와 비교한 조선시대 부패와 감찰제
(A+자료) 조선시대 농경중심의 과학기술 및 동서양의 수차의 발달 응용조사와 세종의 수차장...
[시조]고려시대 시조 배열부전, 고려시대 시조 하여가, 고려시대 시조 송인, 조선시대 시조 ...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강호가도, 훈민가 작품분석, 조...
[한국문학연구] <노처녀가Ⅰ>에 나타난 조선시대 여성의식
[건축역사] 조선시대 집 - 조선시대 집의 특징, 지형에 따른 집의 구조, 계층별 집의 특징과 ...
고려와 조선시대의 제도 및 문화 (고려와 조선시대의 제도, 고려시대의 문화, 조선시대의 문...
[조선시대정책결정(政策決定)] 조선시대의 정책결정과정 - 조선시대의 정책결정기구, 투입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