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약물관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항정신병 약물 (antipsychotic drug)

Ⅱ. 항파킨소니즘 약물 (antiparkinsonism)

Ⅲ. 항우울제 (antidepressant)

Ⅳ. 항조증 약물 (antimanic drug)

Ⅴ. 항불안제 (antianxiety drug)

본문내용

심한 허약, 탈수, Na 결핍, 이뇨제 복용 환자
⑤주의사항 : 신장에서 Na의 재흡수를 감소시키고 Na 고갈을 일으킬 수 있음.
⑥부작용 : ㉠중추신경계 : 전간 형태의 소발작, 언어장애, 현기증, 혼수
㉡신경 근육계 : 운동실조, 무도병, 근육무력감
㉢심장혈관계 : 심부전증, 저혈압, 말초순환장애
㉣위장관계 : 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 자율신경계 : 시야몽롱, 구갈
㉥내분비계 : T₃,T₄농도가 낮은 갑상선종, 갑상선 기능저하증
㉦생식비뇨기계 : 알부빈뇨, 감뇨증, 다뇨증, 당뇨
⑦임상간호 : ㉠ Lithium 독성 징후를 관찰, 나타나면 의사 지시를 받을 때까지 투약 중지
㉡수액을 많이 섭취하도록 환자에게 권고하고 땀을 많이 흘리지 않도록 해야 함.
⑧중독치료 : ㉠ 급성중독증상은 구토, 근육쇠약, 무정위운동, 저혈압, 경련, 혼수.
㉡응급 치료 - 위세척, 삼투성이뇨약, aminophylline 투여하여 신장기능을 조절.
4. 항불안약
◈Diazepam(Valium)
1작용: 항불안, 중등도의 항경련, 골격근 이완 효과
2적응증: 불안, 긴장의 치료, 골격근 경련의 완화보조약
급성알코올 중독시 금단증상 치료, 경련성 장애의 치료
3용법 .용량: oral(2. 5mg/정)
6개월이상의 어린- 1일 3∼4회 1∼2.5mg씩, 필요하면 증량
성인- 보통 1일 2∼4회 2∼10mg씩 투여
알코올중독: 처음 24시간동안은 3∼4회 10mg 투여, prn)3∼4회 5mg씩 투여.
parenteral(IM, IV)- 10mg/amp
소아 : *파상풍
3일이상 신생아: 필요시 1∼2mg씩 3∼4시간마다 반복
5세이상 어린이: 필요시 5∼10mg씩 3∼4시간마다 반복
*간질과 심한 경련발작
30일이상 신생아: IV로 5mg될 때까지 2∼5분마다 0.2∼ 0.5mg씩 투여.
5세이상 어린이: 10mg까지 2∼5분마다 1mg씩 투여(IV)
성인 : *정신신경증: 5∼10mg IM, IV, 필요하면 3∼4시간마다 반복
*알코올중독: 10mg을 IV,IM
*내시경 검사시: 10∼20mg Iv
*근육경축: 5∼10mg을 IV or IM
*간질, 경련발작: 5∼10mg 최고 30mg까지 10분간격으로 반복
*수술전: 10mg IM
*cardioversion: 실시 5∼10분전에 5∼15mg IV
4금기: diazepam에 과민성 환자, narrow-angle glaucoma 환자
5주의사항: 갑작스런 투약 중지는 금단증상을 나타낸다.
임신중의 안전성은 확실치 않다.
신장, 간, 심장환자, 노인, 쇠약한 환자의 사용시 주의
우울증 환자 특히 자살할 경향이 있는 환자는 주의
다량 연용하면 정신적, 신체적 약물 의존성이 생긴다.
부작용: 졸림, 피로, 운동실조, 두통, 언어장애, 시야몽롱
드물게 백혈구 감소증, 호중구 감소증
황달, 간질환, 두드러기, 구갈, 변비, 구토
역설적 반응으로 더욱 불안한 상태, 환각
임상간호: 갑자스런 투약 중지로 금단증상(진전, 경련, 근육경축 등이 투약 중지후 1주 일까지 일어날 수 있다.)
장기복용환자는 인후통, 황달 등을 관찰, 의사에게 보고
급속히 정맥주사했거나 가는 정맥에 투여했을 경우 혈전성정맥염 발생가능
5mg을 적어도 1분동안 투여하는 것이 좋다.
중독치료: 과량 복용시 급성 중독 증상은 졸음, 혼수, 반사소실
응급치료는 위세척, 적당한 공기통로 유지, 적절한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수액을 정맥내로 주사하고 혈관수축제 levarterenol, metaraminol 사용.
◈Lorazepam(Antivan)
1적응증: 불안, 긴장, 우울
2용법.용량: oral(0.5, 1mg/정)- 1일 1∼4mg씩 2∼3회 경구투여
3금기: 신장, 심장 질환 환자, 급성 narrow-angle 녹내장 환자
뇌의 기질적 장애가 있는 환자, 중증 근무력증 환자
4부작용: 졸음, 현기증, 두통, 구토, 설사, 변비, 소양감, 발진
5. 항우울약
◈Imipramine(Tofranil)
1작용 : adrenaline효능신경에서 norepinephrine의 재홉수를 방해하여 norepinephrine의 농도를 서서히 증가시킴.
2적응증 : 내인성 우울증, 조울증, 퇴행성 정신병, 6세이상 어린이 유뇨증 치료
3용법.용량 : oral(25mg/정)
소아- 6세 이상된 유뇨증 어린이 1일 25~50mg
청소년- 1일 30~40mg을 분할투여, 최고량 100mg
성인- 75~200mg을 분할투여
노인- 1일 30~40mg을 분할투여, 최고량은 100mg
parenteral(IM, IV)- 25mg/2ml, 성인- 1일 100mg까지 분할투여
4금기: imipramine이나 삼환계 항우울약에 과민성인 환자, MAO억제약을 복용 환자
5주의사항: 심장혈관성 질환, 안내압의 증가, 갑상샘 기능 항진증, 경련성 장애환자
임신중 투여는 확실치 않다.
12세이하 어린이에게 항우울약으로서 사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정신분열증 환자의 정신병 발작시 용량 감소시킴.
부작용: 수족마비, 운동실조, 진전, 추체외로증상, 이명, EEG의 변화
구갈, 사시, 산동, 변비, 배뇨곤란, 피부발진, 광선 과민증
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위염, 혀의 흑변
남성의 여성형유방, 유즙분비과다, 황달, 조홍, 원형탈모증
빈맥, 심부전증, 심근경색, 방실 분리, 심장 발작
무과립 세포증, 호산구증가증, 혈소판 감소증
어지러움, 부위감각소실, 망상, 환각, 불면증, 병세의 악화
임상간호: 환자의 vital sign, 우울의 정도, 자살경향 가능성 주시
치료초기에 보통 기립성 저혈압이 나타나므로 주의하여 관찰
치료 중지는 서서히 해야하며 갑자기 끊어서는 안된다.
야뇨증 어린이는 보통 취침 1시간 전에 복용시킨다.
중독치료: 기본증상은 흥분과 심부전증
급성 중독증상 혼수, 경련, 고혈압, 산동, 심장박동과 전도불규칙(성인 치사 량은 5g, 소아 치사량은 250mg)
응급치료는
a. 저혈압치료는 혈관 수축약보다 정맥내로 수액주입하여 혈압유지
b. 경련에는 단시간형 barbiturate와 diazepam
c. 심부전증에는 neostigmine사용: 성인 1~3mg/1~5min
소아 0.5mg/ 1~5min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07.13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5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