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에 대한 목회상담 ( 사모의 스트레스와 여성친화적 목회상담 )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들어가며.
II. 사모의 스트레스의 원인
III. 사모의 스트레스의 사회적 원인
IV. 사모의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요인
V. 사모에 대한 목회상담의 원리
VI. 나가면서

본문내용

것을 꺼리는 분위기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분위기에 교회의 활동에서 소외되는 임산부 및 여성의 고통은 무시되고 계속 이어진다. 특별히, '사모는 여성으로 보여져서는 안된다'는 금기가 존재하고 있다. 이것에 도전하는 사모는 교회에서 배척을 당하고 그 가정이 교회를 떠나도록 강요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사모의 성적 욕망과 쾌락에 대한 침묵 때문에, 사모의 고통을 해소하려는 노력은 좌절된다. 그러므로, 여성을 위해서, 각 교회는 더 자주 성적 욕망과 쾌락에 대해 논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VI. 나가면서
현재 심한 고통을 겪는 사모가 많이 존재한다. 그 고통은 개인적인 원인 때문이라고 말하기 쉽지 않다. 오히려, 사모라는 지위에 따르는 구조적인 것이다. 주로 사생활의 노출이나 교인들과의 갈등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 교회 내에서 남편의 신분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고민을 한다. 이러한 문제의 배후에는 사모에 대한 역할기대의 갈등과 애매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여성에 대한 차별이라는 가부장적 문화도 존재한다. 그리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능동적인 접근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이해를 근거로 하면, 사모에 대한 목회상담은 여권주의적이거나 여성친화적이 될 수 밖에 없다. 사모를 개인적으로만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체제 그리고 교회체제와의 관련해서 이해한다. 그리고 사회적 구조와 문화, 특별히 가부장적 문화와 관련해서 내담자를 이해한다. 그리고 변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도, 내담자를 암묵적으로 비난하지 않는 적절한 수준의 개인적 책임과 선택을 존중한다. 가족체제나 교회체제의 구조를 변화하려는 노력을 인정하고 격려한다. 그리고 사회적 구조와 문화를 변화하려는 과정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여성을 존중하는 교회교육을 실행함으로써, 그리고 성문제에 대한 침묵을 깨뜨림을 통해서, 그렇게 여성을 차별하는 문화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목회상담이기 때문에, 하나님에 대한 상징이나 형상을 지각하고, 자신의 경험을 수용하는 형상으로 확장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사모에 대한 목회상담은 쉽지 않다. 상담자 스스로가 사모에 대한 편견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 사모의 가정과 교회를 적절하게 분리하지 못하는 것을 당연한 현실로 받아들이고, 사모는 여성이 될 수 없는 것을 당연한 규범으로 생각하는 목회상담가나 목사가 적지 않다. 즉, 교회체제의 구조를 신성불가침으로 받아들이고 변화의 대상으로는 인정하지 않는 태도이다. 그러한 태도를 갖고 있으면, 사모의 고민을 개인적인 문제로만 이해하고 사모의 책임만을 추궁하게 된다. 이러한 태도를 갖고 있으면, 사모의 고통을 해소하는데 제한적이 될 가능성이 높다.
목회상담자 자신이 사모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과정을 겪으면, 사모와의 상담에 효과적이 된다. 사모가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의 경험을 인정하고, 그것을 인정하는 체제와 문화로 변화되도록 안내하고 격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아직도 가부장적 문화가 존재하는 우리 교회의 상황에서, 사모에 대한 여성친화적 목회상담은 상담자도 내담자와 함께 변화하도록 초청하는 상담이다.
(Abstract)
Pastoral Counseling of Pastor's Wife : A Female-Friendly Approach
This paper want to find guidlines for couseling some typical problems experienced by pastor's wife. This surveys the researches on the stressors and stressful responses in pastor's wife. As a result, her stressor includes lack of privacy, interpersonal conflicts, and her husband's job insecurity. Role conflicts and role ambiguities are frequently found in the expectations for her role. They are explained by the patriarchical culture and systems in the church. Her efforts to analyze and confront her problems and to create her support system, are found to be effective.
The approach that the survey supports, is Bohler's female-friendly pastoral care. Its guidelines are explained by the following themes. 1. Listen to her. 2. Expect her inner conflict between care for self and care for others. 3. Expect her hope and resiliency as well as her despair or pain. 4. Balance her personal responsibility with her family or church systems' influences. 5. Take patriarchical social structure and culture into account. 6. Observe and expand her divine images. 7. Recognize and evoke her authority. 8. Consider meeting her family members together as well as meeting her individually. 9. Increase the use of her imagery of herself and others. 10. Be careful not to blame her. 11. Consider the impact on females when education is provided in church. 12. Name sexuality and sexual issues clearly in the local church.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07.13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5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