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아르미니우스의 신지식론
Ⅲ. 중간적 지식론의 사상적 기원
Ⅳ. 아르미니우스의 중간적 지식론과 몰리나의 중간적 지식론의 상관관계
Ⅴ. 결 론
참고문헌
Ⅱ. 아르미니우스의 신지식론
Ⅲ. 중간적 지식론의 사상적 기원
Ⅳ. 아르미니우스의 중간적 지식론과 몰리나의 중간적 지식론의 상관관계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르미니우스가 명확한 인용근거를 제시하지 않았다는 사실과, 당대의 개신교도들 다수가 몰리나의 사상과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았다는 사실에서 그에 대한 답변을 얻을 수 있다. 아르미니우스는 단지 자신이 취한 신한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용 가능한 사상을 인용 없이 사용했을 뿐이었다.
) Dekker, "Was Arminius a Molinist," 350.
그렇다면 아르미니우스는 언제 몰리나의 중간적 지식론을 받아들였을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이 문제에 관해서 확실한 증거를 제시하기는 불가능하지만 데커의 연구에 따르면 아르미니우스가 주니어스와 서신을 교환할 1597년 당시에는 단지 중간적 지식론에 대한 지적 이해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나 1603년 이전의 어느 시기임이 틀림없다고 데커는 결론지었다.
) Ibid., 351.
아르미니우스의 중간적 지식론은 그 이후 개혁주의자들의 일관된 반대에 부딪히게 되었으나, 항론파 (Remonstrants)에 의해서는 계속해서 옹호되었다. 리츨(Ritschl) 같은 대학자도 중간적 지식론은 항론파에서 시작되었다고 하였으며, 그 뿌리가 몰리나에 있다는 사실은 간파하지 못했다.
) Muller, God, Creation and Providence, 164.
Ⅴ. 결 론
이상에서 논의한 대로 아르미니우스의 신학에 있어서 신지식론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대한 것이며, 그 가운데 중간적 지식론은 아르미니우스의 신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필수 불가결한 사상이다. 17세기 개혁주의 신학을 비판하는 학자들 가운데 중세기의 스콜라신학을 사용함으로써 개신교 스콜라주의가 개신교의 영성을 질식시킨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구체적인 예를 들지 않더라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스콜라주의(Scholasticism)를 로마 가톨릭의 신학 내용으로서가 아니라 시중에서 유통되는 신학의 방법론으로서 정의를 내리게 된다면 17세기에도 시중에는 스콜라주의 방법 외에는 유통되는 것이 없었다. 그러므로 아르미니우스도 신학내용에 있어서는 개혁주의 신학을 반대했을지라도, 신학방법에 있어서는 스콜라주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길이 없었다. 아르미니우스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주지주의에서 출발하지만, 예정론이나 신지식론에서는 아퀴나스와는 전혀 달리 제슈이트 학자들인 드리도, 몰리나, 아콰비바의 중간적 지식론을 추종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아르미니우스를 제슈이트와 동일시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아르미니우스는 그의 신학 내용과 방법에서 매우 중요한 핵심적인 부분을 중세기 신학가운데 개혁주의자들이 한목소리로 반대하는 내용에서 솔직한 인용도 없이 차요하였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르미니우스의 신학방법론은 다양한 스콜라주의 방법을 혼합절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17세기의 개혁주의는 개신교 스콜라주의이며 아르미니우스주의 성서주의(biblicism)라는 등식은 아무런 근거없는 공허한 주장이라 하겠다.
한글 시대에 성장한 세대의 문제점은 그 뿌리가 되는 한자의 의미를 모르기 때문에 한글을 읽고 이해하는 듯 하나 사실은 그 깊은 의미를 깨닫지 못한다는 데 있다. 마찬가지로 중세 시대의 역사적, 신학적 유산을 로마 가톨릭의 이단 사상이라고 여겨 배척한다면 종교개혁과 근대기의 신학 내용도 아는 듯 하나 깊이 그 의미를 깨닫는 것이 불가능하다. 중세 스콜라신학의 방법론과 개념구분에 관하여 새로운 시각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Arminius, James. The Works of James Arminius. trans. James Nichols. 3vols. Grand Rapids : Baker Book House, 1986.
Bavinck, Herman. 「개혁주의신론」. 이승구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9.
Copleston, Frederick. A History of Philosophy. Vol. 3 Westminster, MD: The Newman Press, 1959.
Dekker, Eef. "Was Arminius a Molnist." Sixteenth Century Journal. Vol.27. No.2 (1996): 337-352
Hoeksema, Herman. Reformed Dogmatics. Grand Rapids: Reformed Free Publishing Association, 1966.
Hodge, Charles. Systematic Theology. 3 vols. Grand Rapids: Eerdmans, 1993.
Muller, Richard. "Arminius and the Scholastic Tradition." Calvin Theological 24 (1989) : 263-277
. Dictionary of Latin and Greek Theological Terms.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85.
. God, Creation, and Providence in the Thought of Jacob Arminius.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91.
. Post-Reformation Reformed Dogmatics. 2 vols.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87.
. "The Priority of the Intellect in the Soteriology of Jacob Arminius."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55 (1993): 55-72.
The New Schaff-Herzog Encyclopedia. 1977 ed.
Turretin, Francis. Institutes of Elenctic Theology. 3 vols. Phillipsburg, NJ: P&R Publishing, 1992.
Witt, William Gene. "Creation, Redemption, and Grace in the Theology of Jacob Arminius." 2 vols. Ph.D. dissertation. Notre Dame University, 1993.
) Dekker, "Was Arminius a Molinist," 350.
그렇다면 아르미니우스는 언제 몰리나의 중간적 지식론을 받아들였을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이 문제에 관해서 확실한 증거를 제시하기는 불가능하지만 데커의 연구에 따르면 아르미니우스가 주니어스와 서신을 교환할 1597년 당시에는 단지 중간적 지식론에 대한 지적 이해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나 1603년 이전의 어느 시기임이 틀림없다고 데커는 결론지었다.
) Ibid., 351.
아르미니우스의 중간적 지식론은 그 이후 개혁주의자들의 일관된 반대에 부딪히게 되었으나, 항론파 (Remonstrants)에 의해서는 계속해서 옹호되었다. 리츨(Ritschl) 같은 대학자도 중간적 지식론은 항론파에서 시작되었다고 하였으며, 그 뿌리가 몰리나에 있다는 사실은 간파하지 못했다.
) Muller, God, Creation and Providence, 164.
Ⅴ. 결 론
이상에서 논의한 대로 아르미니우스의 신학에 있어서 신지식론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대한 것이며, 그 가운데 중간적 지식론은 아르미니우스의 신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필수 불가결한 사상이다. 17세기 개혁주의 신학을 비판하는 학자들 가운데 중세기의 스콜라신학을 사용함으로써 개신교 스콜라주의가 개신교의 영성을 질식시킨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구체적인 예를 들지 않더라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스콜라주의(Scholasticism)를 로마 가톨릭의 신학 내용으로서가 아니라 시중에서 유통되는 신학의 방법론으로서 정의를 내리게 된다면 17세기에도 시중에는 스콜라주의 방법 외에는 유통되는 것이 없었다. 그러므로 아르미니우스도 신학내용에 있어서는 개혁주의 신학을 반대했을지라도, 신학방법에 있어서는 스콜라주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길이 없었다. 아르미니우스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주지주의에서 출발하지만, 예정론이나 신지식론에서는 아퀴나스와는 전혀 달리 제슈이트 학자들인 드리도, 몰리나, 아콰비바의 중간적 지식론을 추종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아르미니우스를 제슈이트와 동일시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아르미니우스는 그의 신학 내용과 방법에서 매우 중요한 핵심적인 부분을 중세기 신학가운데 개혁주의자들이 한목소리로 반대하는 내용에서 솔직한 인용도 없이 차요하였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르미니우스의 신학방법론은 다양한 스콜라주의 방법을 혼합절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17세기의 개혁주의는 개신교 스콜라주의이며 아르미니우스주의 성서주의(biblicism)라는 등식은 아무런 근거없는 공허한 주장이라 하겠다.
한글 시대에 성장한 세대의 문제점은 그 뿌리가 되는 한자의 의미를 모르기 때문에 한글을 읽고 이해하는 듯 하나 사실은 그 깊은 의미를 깨닫지 못한다는 데 있다. 마찬가지로 중세 시대의 역사적, 신학적 유산을 로마 가톨릭의 이단 사상이라고 여겨 배척한다면 종교개혁과 근대기의 신학 내용도 아는 듯 하나 깊이 그 의미를 깨닫는 것이 불가능하다. 중세 스콜라신학의 방법론과 개념구분에 관하여 새로운 시각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Arminius, James. The Works of James Arminius. trans. James Nichols. 3vols. Grand Rapids : Baker Book House, 1986.
Bavinck, Herman. 「개혁주의신론」. 이승구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9.
Copleston, Frederick. A History of Philosophy. Vol. 3 Westminster, MD: The Newman Press, 1959.
Dekker, Eef. "Was Arminius a Molnist." Sixteenth Century Journal. Vol.27. No.2 (1996): 337-352
Hoeksema, Herman. Reformed Dogmatics. Grand Rapids: Reformed Free Publishing Association, 1966.
Hodge, Charles. Systematic Theology. 3 vols. Grand Rapids: Eerdmans, 1993.
Muller, Richard. "Arminius and the Scholastic Tradition." Calvin Theological 24 (1989) : 263-277
. Dictionary of Latin and Greek Theological Terms.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85.
. God, Creation, and Providence in the Thought of Jacob Arminius.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91.
. Post-Reformation Reformed Dogmatics. 2 vols.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87.
. "The Priority of the Intellect in the Soteriology of Jacob Arminius."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55 (1993): 55-72.
The New Schaff-Herzog Encyclopedia. 1977 ed.
Turretin, Francis. Institutes of Elenctic Theology. 3 vols. Phillipsburg, NJ: P&R Publishing, 1992.
Witt, William Gene. "Creation, Redemption, and Grace in the Theology of Jacob Arminius." 2 vols. Ph.D. dissertation. Notre Dame University,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