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러사태와 우리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금융시스템에 대한 초기 충격
1. 초기 충격과 흡수
2. 충격의 파급․흡수 과정에서 본
우리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Ⅲ. 금융시스템에 대한 후속 영향의 경계

Ⅳ. 맺음말

본문내용

따른 자금수급의 원활성 유지와 주가거품 부재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금융안정을 위협할 소지가 있는 일부 경향도 드러났다. 예컨대 테러충격으로 크게 증폭된 금융시장 내부의 불확실성에 기인하여 金融資産價格의 變動性이 과거 수준을 상회하고 있고, 시장참가자들의 투자행위가 群集性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경계의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주가변동이 외국인주식투자 등을 매개로 여타 금융자산 價格變動으로 신속히 파급되는 경향도 확인되어 정책당국의 주목을 환기시켰다.
9.11 테러공격이 巨視實物部門을 경유하여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時差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는 확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소비 및 투자심리의 위축→경제성장세 둔화(또는 회복세 지연)→가계 및 기업수지 악화의 과정을 통해 금융기관의 信用리스크를 증대시킬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우려가 現實化되는 경우 금융기관의 수익성 및 자본적적성도 저하될 것이다. 그리고 장기간의 低金利 政策基調 유지로 금리상승 위험에 대한 시장참가자들의 敏感度가 높아져 있기 때문에, 정책기조 전환 이전이라도 경기회복 신호에 대해 過敏反應을 보이면서 市場金利가 불안정한 움직임을 나타낼 가능성에 대해서도 경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 심대한 불확실성의 존재는 情報의 非對稱性과 이로 인한 道德解弛 및 逆選擇 문제를 야기한다는 점도 깊이 유념하여야 한다.
테러공격 이후 金融安定과 관련한 이와 같은 상황인식을 전제로 할 때, 우리 金融시스템의 취약성을 개선하고 장기적 영향에 의한 金融機關의 健全性 弱化 危險에 대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향의 정책적 대응을 강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金融시스템 전반의 리스크 민감도가 높아진 상황임을 감안하여, 金融市場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 특히, 금융시장 연계의 핵심적 고리 역할을 하는 株式市場에서의 거품 형성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책주체간 긴밀한 협조를 통해 金融·財政·監督政策의 調和的 運用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는 불확실성 증대로 金融安定과 景氣安定이 동시에 위협받는 상황에서는 단일 정책수단만으로는 정책목표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셋째, 테러사태 이후 발표한 각종 재정·금융대책을 신속히 집행함과 아울러 企業 및 金融 構造調整을 조속히 마무리함으로써 정부정책에 대한 시장의 信賴를 제고하여 불확실성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는 각종 정책의 신뢰도가 떨어져 그 實效性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넷째, 향후 경기상승 국면에서 정책기조 변경에 따른 금리급등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政策變更 時點 및 速度 調節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아울러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리스크관리의 視界(time horizon)를 길게 설정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경기침체에 따른 企業信用危險 증가에 대한 과민반응을 자제하고 신용공여태도 완화기조를 유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信用리스크는 景氣擴張期에 누적되었다가 景氣沈滯期에 현실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미 경기확장기에 누적적으로 발생한 신용리스크는 경기침체기에 貸出審査 强化만을 통해 해소하기는 어려우므로, 경기확장기에 信用리스크를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참고 2> 미국 테러사건 이후 주요 상황 일지
일시
주요 상황 및 조치 내용
2001.9.11
▷ 미국, 세계무역센타·미국방성에 대한 피납 민항기 충돌방식의 테러사건 발생
▷ 뉴욕증권거래소, 테러사건 발생 즉시 주식·채권·선물·옵션시장 중단
▷ 미 연준, 유동성 공급의사 표명
9.11∼12
▷ 세계 각국, 주식거래중단 또는 거래제한 조치 실시
·주식거래중단국가 : 멕시코(4일), 아르헨티나(2일), 대만·태국·말레이시아·터키(1일)
·거래제한(가격제한폭 축소 등)국가 : 일본, 영국, 홍콩, 싱가폴, 대만 등
9.12
▷ 한국은행, 유동성 공급의사 표명
▷ 우리나라 주식시장 3시간 지연 개장, 종합주가지수 사상 최대 하락률(△12.02%) 기록
▷ 원/달러환율 9.7원 하락, 국고채(3년)수익률 13bp하락
9.17
▷ 종합주가지수 연중최저치 기록(468.76)
▷ 미 연준, 정책금리 전격 인하(페더럴펀드목표금리 : 3.5%→3.0%, 재할인율 : 3.0%→2.5%)
▷ 미국, 주식시장(관련파생상품 포함) 거래 재개(NASDAQ △7.1%, Dow Jones △6.8%)
9.19
▷ 한국은행, 콜금리목표 하향조정(4.5%→4.0%), 총액대출한도 증액(9.6조원→11.6조원)
9.17∼20
▷ 주요국 중앙은행, 미국과 공조하에 금리인하 조치 단행
·ECB·캐나다·스웨덴·스위스(9.17, △0.5%포인트), 일본(9.18, △0.15%포인트), 영국(9.18, △0.25%포인트), 덴마크·대만·홍콩(9.18, △0.5%포인트), 한국·뉴질랜드(9.19, △0.5%포인트), 말레이지아(9.20, △0.5%포인트)
10.2
▷ 미 연준, 정책금리 인하(페더럴펀드목표금리 3.0%→2.5%, 재할인율 : 2.5%→2.0%)
10.4
▷ 국고채(3년)수익률 연중 최저치 기록(4.34%)
10.7
▷ 미국, 아프가니스탄 공습 개시
10.11
▷ 한국은행, 콜금리목표 현수준 유지 결정
▷ 국고채(3년)수익률 급등(+32bp)
10.12
▷ 한국은행, 채권시장 안정대책 발표(유동성 공급 확대, 통안증권 발행시기 조정)
10.17
▷ 코스닥지수 테러사건 이전 수준 회복(61.92)
10.24
▷ 종합주가지수 테러사건 이전 수준 회복(541.49)
10.29
▷ 원/달러환율 테러사건 이전 수준 회복(1,294.00)
11.6
▷ 미 연준, 정책금리 인하(페더럴펀드목표금리 2.5%→2.0%, 재할인율 : 2.0%→1.5%)
11.13
▷ 북부동맹군, 아프간 수도 카불 점령
11.22
▷ 11.14∼22일중 국고채(3년)수익률 94bp 급등
11.23
▷ 한국은행, 채권시장 안정대책 발표(통안증권 중도환매 및 국고채 단순매입)
▷ 종합주가지수 연중 최고치 경신(645.18)
11.26
▷ 종합주가지수 급등(+29.38p, +4.55%), 국고채(3년)수익률 하락(△7bp),
원/달러환율 급락(△9.7원)
11.27
▷ 미국, 이라크 남부 방공지휘센터 공습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2.07.19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8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