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자상거래 시장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전자상거래 프레임웤과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1. 전자상거래 프레임웤 연구
2. 전자상거래 성공요인 연구

Ⅲ. 자료의 수집·분석
1. 설문문항의 척도와 분석
2. 자료의 수집
3. 자료 분석
(1) 설문표본의 특성
(2) 전자상거래 경영적 측면의 성공요인 독립성 검정

Ⅳ. 전자상거래 경영측면 성공요인 분석
1. 성공요인의 중요도 분석
(1) 경영전략 분야 성공요인의 중요도
(2) 마케팅 분야 성공요인의 중요도
(3) 구매/물류 분야 성공요인의 중요도
(4) 서비스 분야 성공요인의 중요도

2. 요인별 현재 국내 수준 분석
(1) 경영전략 분야 요인의 현재 국내 수준
(2) 마케팅 분야 요인의 현재 국내 수준
(3) 구매/물류 분야 요인의 현재 국내 수준
(4) 서비스 분야 요인의 현재 국내 수준

3. 요인의 중요성 인식단계 분석
4. 전자상거래 경영적 측면의 주요성공요인의 중요도, 요인의 국내 수준, 요인의 중요 인식단계 종합 분석
5. 전자상거래 경영적 측면의 주요성공요인의 중요도와 요인의 국내 수준 순위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인들의 중요도는 단계적(시기적)으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예를 들어 초기단계에 중요하게 인식되는 요인, 진행단계에 중요하게 인식되는 요인, 활성화단계에 중요하게 인식되는 요인 등 각 단계별(시기적)로 요인의 중요도가 다르게 대두되는 것을 본 연구에서 분석하여 제공하였다. 셋째, 각 요인들의 국내 수준 제공이다.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 각 요인들의 중요도에 따라 추진되는 방법, 투자 금액, 추진기간 등이 상이할 것이다. 이러한 요인들의 중요도와 함께 요인들의 현재 국내의 수준을 미리 인식하면 추진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것이다. 넷째, 성공요인들의 중요도 순위이다. 국가 또는 기업이 조직의 형태에 따라 우선 고려해야 할 요인이 상이 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요인의 순위를 알 수가 있어 전자상거래를 추진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가 경영적 측면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분석결과라는 점에서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전체적인 측면(기술적측면, 경영적측면, 정책적측면, 사회적측면)의 성공요인을 분석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부족한 부분을 추후, 연구자가 지속적인 연구를 하고자 한다면 참고할 내용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가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요인 중 경영적 측면만을 연구하였으므로 그 외의 측면들의 연구는 다루지 못했다. 추후 경영적 측면 뿐만 아니라 기술적 측면, 정책적 측면, 사회적 측면의 요인들도 심층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를 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분야가 매우 빠른 속도로 변하는 분야이므로 급속한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전자상거래 분야의 이론들은 모두 수렴하지 못했다.
셋째, 현재 국내의 전자상거래 분야의 전문가가 매우 적은 관계로 설문조사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는 대부분 전문가 집단을 주축으로 하여 설문을 하였지만 아직도 전문가 집단이 불명확한 것이 현실이다. 추후 연구에는 좀더 전문가 집단을 명확히 정의하여 자료를 수집하면 더욱 질 높은 연구가 되리라 생각한다.
넷째, 본 연구는 전자상거래의 제조업체만을 한정하여 연구하였으므로 추후 유통분야, 판매분야 등 전문적인 분야의 연구를 필요로 한다.
다섯째, 본 연구는 기업과 소비자(Business to Customer : B2C)를 초점으로 연구하였으므로 기업과 기업(Business to Business : B2B), 기업과 정부(Business to Government : B2G)간의 연구를 추가하여 연구하면 각 분야의 경영 활동에 지표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1] 김은홍 외 4명, 경영정보시스템, 다산출판사, 1993년 pp.344-348.
[2] 김창수, "전자상거래 기술분류 프레임웨 개발 및 기술수명주기", 경영학박사학위논문, 1998.12.
[3] 유상윤, "사이버스페이스를 활용한 기업의 마케팅활동", [Marketing Communication Review]. Vol. 1. 금강기획 마케팅전략연구소, December 1995, pp.88-93
[4] 이승우, "인터넷상거래의 현황과 전망", [산업경영], 97년 여름호(97.3호), 한화경제연구원, 1997. 7, pp.2-13.
[5] Beam, Carrie, and Arie Segev, "The Rise of Electronic Commerce : Contributions from Three Factors", Working Paper 96-WP-1015, Fisher Center for Information Technology & Management,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1996.
[6] Crede, Andreas, "Electronic Commerce and the Banking Industry : The Requirement and Opportunities for New Payment System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996.
[7] Kalakota, Ravi, and Andrew B. Whinston, "Frontiers of Electronic Commerce", Addision Wesley Publishing Company, 1996.
[8] Kosiur, David. R., "Understanding Electronic Commerce", Microsoft Press, 1997.
[9] Lally Long,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Prentice_Hall International, 1989년, pp. 282-283.
[10] Nissen, Mark E., "Intelligent Agent: A Technology and Business Application, Analysis" Telecommunications and Distributed Processing, November 30, 1995.
[11] Nissen, Mark E., "Knowledge-Based Reengineering: From Mysterious Art to Learnable Craft",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February 1996.
[12] Zwass, Vladimir, "Electronic Commerce: Structures and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ume 1. No. 1, 1996.
[13] IITF(Information Infrastructure Task Force), "A Framework for Global Electronic Commerce", [http://www.iitf.nist. gov/eleccomm/glo_comm.html], December 11, 1996.
[14]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The Framework for Global Electronic Commerce", [http://iquest.com/∼nmuller/ic.html], 1997.
  • 가격3,3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2.07.19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8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