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시대의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지방자치단체별 생활체육사업의 현황 및 문제점

Ⅲ.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Ⅳ. 결 론

참 고 문 헌

*한글97

본문내용

해결해 주기를 바라는 주민수요가 질적으로 고도화되면서 주민 복지증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7).
따라서 지방자치의 실시로 증대되는 지역주민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생활체육은 지역주민의 복지정책의 일환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생활체육은 개인과 사회를 건전하게 하는 주요 수단일 뿐 아니라 개인과 사회에 활력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지역주민의 체력을 증진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지역사회계발의 원동력이다. 그러므로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체육의 진흥시책과 지역여건 그리고 요구에 부합되는 생활체육 수요에 적극적이고 실질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다.
즉, 지역주민의 복지증진은 생활체육의 역할과 유관하며, 사회복지가 인간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라고 할 때 결국 지방자치단체가 담당해야 할 영역이 되는 것이다. 즉, 생활체육의 생활화를 통하여 개인적 복지와 사회적 복지를 통합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제 3 절 생활체육프로그램의 운영상의 개선방안
경기개발연구원(1996). 지방공공서비스 공급의 광역화에 관한 연구.
김은화(1992). 지방자치에 따른 체육행정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문화관광부(1998a). 지방체육관리지침.
문화관광부(1998b). 체육진흥정책평가회 자료.
문화체육부(1992). 지역사회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모형개발.
문화체육부(1993). 생활체육 홍보 전략수립 및 모형개발.
문화체육부(1996a). 국민생활체육참여율 제고에 따른 요소별 투자비용 산출에 관한 연구.
문화체육부(1996b).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국민건강생활지표 조사연구.
문화체육부(1997). 국민생활체육 참여실태조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6). 한강시민공원 종합관리계획. 연구보고서.
윤남식 외(1994). 지역사회 생활체육 현황조사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 223-234.
최재성·김우성(1996).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생활체육 참여프로그램의 확대방안 연구.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6, 107-122.
한국지방행정연구원(1997). 외국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개혁 사례분석.
한국체육과학연구원(1996). 제2차 국민체육진흥 5개년 계획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황윤석(1995). 지방자치단체 생활체육사업의 진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ABSTRACT
Plans for Improving Sport For All
in the Age of Local Self-Government
Heo, Hyun-Mi ㆍ Ahn, Min-Seok
This study has investigated problems of the sport for all by local self-governing bodies which are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confronting the age of local self-government and plans for improving it. I classifying relevant elements into five - facility, program, leader, public information and finance and analyzing secondary data.
Conclusively speaking, plans for improving sport for all can be presented as followers:
First, considering even distribution of education in every region, gymnastic facilities should be expanded, efficiently managed and maintained.
Second, substance and level of program should b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in realization to local character.
Third, leaders should be reasonably cultivated and arranged as well as instruction and supervision should be intensified and after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urth, media activities should be diversified and contents and time should be intensified in order to make active public information.
Fifth, financial resources through civil investment should be secured to be effectively invested and made use of.
To carry out these plans, most of all, local adminstration lcaders or government officials such as heads of local self-governing bodies or local assembly members should convert there recognition. That is, conform for sport for all business to see whether it is good or not for the community's welfare and understanding of local sport for all are required.
Also, to settle down sport for all substantially in this context, regal regulations to assign gymnastic experts much more than ever in the head line of sport for all administration should be intensified.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07.20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8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