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 론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3 장 분석 및 결과
제 4 장 결론 및 시사점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3 장 분석 및 결과
제 4 장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미료에서는 토마토케첩에서 2.32%의 식이섬유와 0.7.%의 조섬유를 함유하고 있다. 한국의 식이 섬유의 분포는 장류, 곡류, 채소류 등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주목할 점은 장류인 된장과 고추장에 각각 6.20%, 8.20%의 식이 섬유와 3.80%, 3.50%의 조섬유가 함유되어 있다는 점이다. 고추와 마늘에 상당량의 식이 섬유를 보이고 있는데, 붉은 고추, 풋고추에서 각각 식이섬유%, 건물중% 각각 43.0%와 47.61%의 식품함량과 조섬유%, 생물중% 각각 4.20%, 5.60%를 보이고 있다. 마늘과 파에서 높은 식이 섬유 함량을 보이고 있고, 표고버섯에서는 가장 높은 식이 섬유 함량인 생것 48.78%, 말린 것 60.98%의 식품성분 함량을 보이며, 이는 식빵의 식이 함량 대비 13.9배의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 조미료에서는 토마토 케첩만 식이 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식이섬유 2.32%를 가지고 있다.
표 13 ) 외국 조미료의 식이 섬유 함량 비교, 분석
식품명
식이섬유
조섬유
건물중%
생물중%
생물중%
된장
6.20
3.10
3.80
고추장
8.20
4.05
3.50
고추가루
44.37
39.37
23.50
자료)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식품성분표 제5개정판, 1996.
표 14 ) 한국 조미료의 식이 섬유 함량 비교, 분석
식품명
식이섬유
조섬유
건물중%
생물중%
생물중%
토마토 케첩
2.32
0.78
0.70
자료)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식품성분표 제5개정판, 1996.
제 4 장 결론 및 시사점
제 1 절 결론
음식의 섭취는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수적인 조건이며, 음식의 영양섭취가 질병 양상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국민영양상태의 양호로 국가의 경제발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인식하고 있으며, 국가와 개인 동시에 식생활의 중요성이 인지되어 지고 있는 시점에 있다.
영양상태의 우위성은 우수한 식품 재료의 섭취를 통해서 가능하며, 지속적인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영양적 가치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음식의 영양학적 우수성을 문헌연구를 통해서 고찰하고, 식품성분표에 의해 실증 분석을 통해서 식품 영양의 가치를 알아보고자 했으며, 먼저 문헌을 통한 영양학적 우위성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단의 영양적 가치는 기본적인 식단만으로도 균형있는 영양공급이 이루어짐을 알았고, 식단구성의 형태는 다양한 식재료를 섭취함을 보였다.
둘째, 단일식품(갈비탕, 설렁탕, 불고기, 냉면, 비빔밥)의 영양적 가치는 메뉴에 따라 식품성분이 달랐으며, 갈비탕은 1/3 하루 한 끼당 산출했을 때의 열량권장량인 833kcal보다 높은 927kcal로 나타났다. 비빔밤은 야채류, 견과, 난류 등으로 무기질, 비타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김치의 영양적 가치는 다양한 부재료로 인해 영양성분이 증가하여, 인체 유익한 작용을 한다. 김치의 영양성분에 있어서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함을 표를 통해 알았다.
넷째, 쌀의 영양적 가치는 밀과 비교했을 때 질적 우위성을 보였으며, 탄수화물의 급원으로, 한국인의 주식을 담당한다.
다섯째, 조미료의 영양적 가치는 한국음식의 조미료인 소금, 된장, 고추장, 백설탕, 간장, 꿀, 고춧가루 등이며 발효식품이 있어 항암효과, 생리적, 의학적 효과가 있다.
실증분석을 통한 조미료의 영양적 우위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5대 영양소 비교, 분석에서 한국의 조미료 중 된장, 고추장, 간장이 식품 조미료의 역할을 하여 탄수화물·단백질·무기질에 있어서 외국의 조미료보다 영양적 우위를 보이고 있다. 외국의 조미료는 유지류가 상당량 있어 지질의 높은 함량을 보이고 있다.
둘째, 단백질의 영양문제에 좌우되는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외국 조미료에 치즈가 있어 월등한 함량을 보이고 있지만, 한국 조미료의 된장도 많은 필수아미노산 함량을 보이고 있다.
셋째, 지방산·콜레스테롤 함량 비교, 분석에 있어서 선정한 외국의 조미료에서만 지방산·콜레스테롤 함량이 추출되었으며, 한국의 조미료에서는 식품성분표에 기입이 되지 않았다. 치즈와 버터에서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11개 선정 조미료에서 7개의 조미료에서 지방산·콜레스테롤 함량이 추출되었다.
넷째, 식이 섬유 함량의 비교, 분석에 있어서 장류인 된장과 고추장에 각각 6.20%, 8.20%의 식이 섬유와 3.80%, 3.50%의 조섬유가 함유되어 있고, 외국의 조미료는 토마토케첩에서 식이섬유는 2.32%, 조섬유는 0.70% 함유되어 있다.
제 2 절 시사점
식품 주재료가 아닌 조미료에서도 외국의 조미료는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과잉함량을 보이고 있고, 식이 섬유에서는 토마토케첩만이 식이 섬유를 함유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조미료에서는 장류인 간장, 된장, 고추장에서 단백질, 탄수화물, 무기질, 식이 섬유 등에서 많은 함량을 보이고 있고, 고춧가루에서도 비타민과 무기질의 성분이 높게 나왔으며, 지방산·콜레스테롤함량에서는 아무 조미료도 수치가 나오지 않았다.
현대의 질병 양상이 순환기계질환으로, 과다한 지방의 섭취로 인해 고혈압과 비만, 동맥경화증의 질병의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조미료가 많은 부분에 있어서 식생활 건강에 미치지는 않겠지만, 그 양의 축적이 오랜 기간 이루어진다면 질병의 양상을 바뀔 수 있을 것이다.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방향 및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식재료 중 조미료에 국한되어 식품의 대표성을 부여하지 못해 대표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둘째, 실제 실험을 통한 연구 방법이 아닌 일반적인 문헌을 고찰했던 부분이 보편적인 모습에 지나치지 않았나 하는 문제를 제기할 수 있으며, 많은 부분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자료 수집의 한계점에 봉착하였다.
인지, 기호, 의식의 조사연구는 활발히 진행을 보이고 있는 반면 영양학적인 측면을 포괄적으로 조명한 연구는 부진한 상태에 있다. 하부객체인 식재료의 항암효과,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고 있지만, 영양정책을 다루고 국민건강의 기초자료가 될 영양의 일반적인 측면을 연구해야 할 시점에 있다.
외국 조미료에서는 토마토 케첩만 식이 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식이섬유 2.32%를 가지고 있다.
표 13 ) 외국 조미료의 식이 섬유 함량 비교, 분석
식품명
식이섬유
조섬유
건물중%
생물중%
생물중%
된장
6.20
3.10
3.80
고추장
8.20
4.05
3.50
고추가루
44.37
39.37
23.50
자료)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식품성분표 제5개정판, 1996.
표 14 ) 한국 조미료의 식이 섬유 함량 비교, 분석
식품명
식이섬유
조섬유
건물중%
생물중%
생물중%
토마토 케첩
2.32
0.78
0.70
자료)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식품성분표 제5개정판, 1996.
제 4 장 결론 및 시사점
제 1 절 결론
음식의 섭취는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수적인 조건이며, 음식의 영양섭취가 질병 양상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국민영양상태의 양호로 국가의 경제발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인식하고 있으며, 국가와 개인 동시에 식생활의 중요성이 인지되어 지고 있는 시점에 있다.
영양상태의 우위성은 우수한 식품 재료의 섭취를 통해서 가능하며, 지속적인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영양적 가치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음식의 영양학적 우수성을 문헌연구를 통해서 고찰하고, 식품성분표에 의해 실증 분석을 통해서 식품 영양의 가치를 알아보고자 했으며, 먼저 문헌을 통한 영양학적 우위성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단의 영양적 가치는 기본적인 식단만으로도 균형있는 영양공급이 이루어짐을 알았고, 식단구성의 형태는 다양한 식재료를 섭취함을 보였다.
둘째, 단일식품(갈비탕, 설렁탕, 불고기, 냉면, 비빔밥)의 영양적 가치는 메뉴에 따라 식품성분이 달랐으며, 갈비탕은 1/3 하루 한 끼당 산출했을 때의 열량권장량인 833kcal보다 높은 927kcal로 나타났다. 비빔밤은 야채류, 견과, 난류 등으로 무기질, 비타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김치의 영양적 가치는 다양한 부재료로 인해 영양성분이 증가하여, 인체 유익한 작용을 한다. 김치의 영양성분에 있어서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함을 표를 통해 알았다.
넷째, 쌀의 영양적 가치는 밀과 비교했을 때 질적 우위성을 보였으며, 탄수화물의 급원으로, 한국인의 주식을 담당한다.
다섯째, 조미료의 영양적 가치는 한국음식의 조미료인 소금, 된장, 고추장, 백설탕, 간장, 꿀, 고춧가루 등이며 발효식품이 있어 항암효과, 생리적, 의학적 효과가 있다.
실증분석을 통한 조미료의 영양적 우위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5대 영양소 비교, 분석에서 한국의 조미료 중 된장, 고추장, 간장이 식품 조미료의 역할을 하여 탄수화물·단백질·무기질에 있어서 외국의 조미료보다 영양적 우위를 보이고 있다. 외국의 조미료는 유지류가 상당량 있어 지질의 높은 함량을 보이고 있다.
둘째, 단백질의 영양문제에 좌우되는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외국 조미료에 치즈가 있어 월등한 함량을 보이고 있지만, 한국 조미료의 된장도 많은 필수아미노산 함량을 보이고 있다.
셋째, 지방산·콜레스테롤 함량 비교, 분석에 있어서 선정한 외국의 조미료에서만 지방산·콜레스테롤 함량이 추출되었으며, 한국의 조미료에서는 식품성분표에 기입이 되지 않았다. 치즈와 버터에서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11개 선정 조미료에서 7개의 조미료에서 지방산·콜레스테롤 함량이 추출되었다.
넷째, 식이 섬유 함량의 비교, 분석에 있어서 장류인 된장과 고추장에 각각 6.20%, 8.20%의 식이 섬유와 3.80%, 3.50%의 조섬유가 함유되어 있고, 외국의 조미료는 토마토케첩에서 식이섬유는 2.32%, 조섬유는 0.70% 함유되어 있다.
제 2 절 시사점
식품 주재료가 아닌 조미료에서도 외국의 조미료는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과잉함량을 보이고 있고, 식이 섬유에서는 토마토케첩만이 식이 섬유를 함유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조미료에서는 장류인 간장, 된장, 고추장에서 단백질, 탄수화물, 무기질, 식이 섬유 등에서 많은 함량을 보이고 있고, 고춧가루에서도 비타민과 무기질의 성분이 높게 나왔으며, 지방산·콜레스테롤함량에서는 아무 조미료도 수치가 나오지 않았다.
현대의 질병 양상이 순환기계질환으로, 과다한 지방의 섭취로 인해 고혈압과 비만, 동맥경화증의 질병의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조미료가 많은 부분에 있어서 식생활 건강에 미치지는 않겠지만, 그 양의 축적이 오랜 기간 이루어진다면 질병의 양상을 바뀔 수 있을 것이다.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방향 및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식재료 중 조미료에 국한되어 식품의 대표성을 부여하지 못해 대표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둘째, 실제 실험을 통한 연구 방법이 아닌 일반적인 문헌을 고찰했던 부분이 보편적인 모습에 지나치지 않았나 하는 문제를 제기할 수 있으며, 많은 부분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자료 수집의 한계점에 봉착하였다.
인지, 기호, 의식의 조사연구는 활발히 진행을 보이고 있는 반면 영양학적인 측면을 포괄적으로 조명한 연구는 부진한 상태에 있다. 하부객체인 식재료의 항암효과,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고 있지만, 영양정책을 다루고 국민건강의 기초자료가 될 영양의 일반적인 측면을 연구해야 할 시점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