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상관성(1)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교육 과정의 목표와 내용

3. 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상관성

5. 맺음말

본문내용

교과서를 현장 수업에서 모두 소화할 수 있을지가 의문이다. 특히, 금년 말에 발표될 예정인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에서는 학습자의 수준별 수업을 지향한다고 하니, 더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한편 본고에서 다루지 못한 것으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 내용이 있다. 교육 과정에서는, 예컨대 말하기 영역의 '나. 내용' 가운데 "(10) 내용 전달의 효과를 고려하여 여러 가지 시청각 자료를 적절하게 활용한다"라고 하면서 시청각 자료를 교수-학습에서 활용할 것을 언급하고 있다.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는 녹음기나 VTR 등을 이용한 수업은 물론이고, 나아가 멀티미디어 수업도 고려되고 있는 바, 교육 과정에서 제시된 시청각 수업의 내용은 구체적으로 교과서에서 그 활용 방안이 제시될 필요성도 있다고 본다.
) 전국국어교사모임에서는 가사 작품 가운데 '관동 별곡'에 나오는 각종 명승지를 슬라이드를 제작하여 보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청각 자료는 얼마든지 개발하여 수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이것들을 통한 교수-학습 방법도 교과서에 제시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앞으로 학습의 연계성이라는 측면에서, 중학교 국어 교과서와의 관련성도 함께 연구될 필요가 있다. 고등 학교 국어과 교육 과정과 성격이 유사하다는 중학교 국어과 교육 과정이 중학교 교과서에 그대로 투영되는지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는 연차적으로 발행되어 올해 1997학년도에 3학년 교과서가 나옴으로써 완간될 예정이다. 필자는 중학교 교과서도 검토하여, 고등 학교 교과서와의 차이점도 밝힐 예정이다.
) 올해 초 전국국어교사모임에서 주최한 토론회에서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제점이 포괄적으로 논의된 바 있었으나, 아직 교과서가 완간되지 않은 관계로 구체적인 지적은 없었다. 전국국어교사모임(1997) 참조.
(부산여대 국어교육과)
<참고문헌>
곽병선·이혜영. 1986.『교과서와 교과서정책』. 한국교육개발원.
權致純. 1986. "受業 및 敎科書 體制 改善 硏究." 『교육개발』8-11.
金敏洙 외. 1973.『國語敎育論』. 一潮閣.
김희진. 1990. "중학교 국어 교과서 어휘의 특성에 관한 연구." 『새국어교육』46.
盧命完 외. 1988.『國語科敎育論』. 甲乙出版社.
박수자. 1994.『독해와 읽기 지도』. 국학자료원.
______. 1995. "말하기·듣기 교재의 체계화와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11(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영목. 1996.『국어이해론』. 법인문화사.
______·한철우·윤희원. 1995.『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탐구』. 교학사.
朴玩熙. 1993.『敎科敎材 硏究 및 指導法』. 경성대학교 출판부.
朴寅基. 1992. "국어과 敎材論 記述의 理論化 方向." 『국어과 교육학의 이론과 방법 연구』(『봉죽헌박붕배선생정년기념논총집』). 교학사.
서정수·정달영. 1993. "학교 문법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새국어교육』48·49.
손영애. 1995. "1차∼5차 교육 과정 시기의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체제 및 내용 분석 연구." 『국어교육』89. 한국 국어교육 연구회.
신상철. 1996. "중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담긴 문학작품의 분석 연구(Ⅰ)." 『敎育理論과 實踐』6.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신헌재. 1992. "국어 교과서의 지향점 탐색." 『국어과 교육학의 이론과 방법 연구』(『봉죽헌박붕배선생정년기념논총집』). 교학사.
______·이재승. 1994.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서광학술자료사.
윤희원. 1985. "국어과교육론의 한 모형." 『교원교육』1-1. 한국교원대.
이관규. 1994. "제6차 국어과 교육 과정에 대한 검토."『한국어문교육』7. 고려대 국어교육학회.
______. 1997ㄱ. "문법의 위상과 문법 교과서." 『우리어문연구』10. 우리어문학회.
______. 1997ㄴ. "국어 교육과의 교육 과정에 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2. 부산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이대규. 1994.『국어과 교육의 과정』. 한글과컴퓨터.
이삼형. 1995. "국어 교과서의 절대시 풍조와 경시 풍조에 대하여." 『국어교육』89. 한국 국어교육 연구회.
이상태. 1993.『국어교육의 길잡이』. 한신문화사.
이성영. 1992. "국어과 교재의 특성." 『國語敎育學硏究』1. 국어교육학회.
이영덕 외. 1985.『교과서 체제 개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이용숙. 1996. "국어 교과서의 외형적 체재와 내용구성방식 국제 비교 연구." 『比較敎育硏 究』6-1.
이용주. 1995. "國語科敎科書 二題." 『국어교육의 반성과 개혁』.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은희. 1996. "교재의 텍스트적 특성." 『國語敎育學硏究』6.
李喆洙. 1994.『國語敎育의 硏究』. 仁荷大學校 出版部.
이현복. 1992. "《말하기·듣기》교과서와 발음 교육." 『교육한글』5.
전국국어교사모임. 1996. 『함께여는 국어교육』창간호.
________________. 1997. 『함께여는 국어교육』97봄호.
鄭東華 외. 1984.『國語科敎育論』. 鮮一文化社.
정준섭. 1995.『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주경희. 1992. "문법교재 구안을 위한 이론적 연구." 『國語敎育學硏究』2.
천경록. 1996. "교과서 수정 방안 탐색." 『國語敎育學硏究』6.
최현섭 외. 1996.『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충청남도 교육청 편저. 1994.『사고력을 기르는 국어과 교육』. 대한교과서주식회사.
韓周燮. 1992. "國語科 敎材論." 『국어교육』79·80. 한국 국어교육 연구회.
Gall, M.D. 1981. Handbook for Evaluating and Selecting Curriculum Materials. Allyn and Bacon Inc.
Grant, N. 1987. Making the most of your Textbook. N.Y. : Longman.
Greene, H.A. & Petty, W.(1975). Developing Language Skills in the Elementary Schools. Allyn and Bacon Inc.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2.07.2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3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