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유통시장의 변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유통시장의 변화

2)다점포전략과 지방진출

3)위기에 처한 지방의 백화점 업계

4)지역업계의 대응과 현실

본문내용

결론이다.
그러나 당장 농산물의 물류비를 줄이는데는 많은 해결과제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농산물 포장과 하역에 있어 기초라고 할 수 있는
파레트의 적용이 어렵다는 것. 현재 1,100mx1,100m 규 의 일관수송용 표준
파레트의 사용률이 약 10% 밖에 못미쳐 대부분이 1,050mx1,050m의 규격을
갖고 있는 비규격(非規格) 파레트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 이는 주로 농산물 수송용으로 쓰이고 있는 5톤짜리
트럭(truck) 전체 보유량의 90%가 규격 파레트의 사용이 안되기 때문. 이런
트럭은 현재 국내에만 5만여대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이들
차량에 표준 파레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광폭으로 개조(改造)해야 하는데
소요되는 약 800여만원의 개조비용이 워낙 비싸 대부분의 차량 소유자들이
개조를 기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앞서 가장 먼저 이루져야 할 부분은 농산물의
표준출하규격(標準出荷規格)의 정착이다. 현재 대부분의 포장박스들이
원래부터 산물(産物) 출하용으로 제작된데다 표준규격의 파레트에
적합하지도 않기 때문에 하역기계화를 위해서는 이에 대한 규격화가
절실한 형편이다. 농림부가 최근 주요 20개품목의 포장규격을 개정해
공고하긴 했으나 아직까지는 홍보단계에 있고, 규격제품을 사용하는
출하주(出荷主)에 대한 우대조치 또한 미흡해 이 부분이 활성화되려면
앞으로도 상당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는 산지(産地) 출하단계에서의 포장과 하역기계화 문제다.
아직까지도 농민들과 유통인들의 물류표준화에 대한 인식이 여전이
부족할 뿐 아니라 산지의 유통시설과 장비 등이 물류표준화에 맞지가 않아
그저 관행적(慣行的)인 유통에 의지하고 있다는 현실이 큰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도매시장과 소비지(消費地) 유통단계에서의
하역기계화 부족도 큰 장해. 현재 공영도매시장의 하역기계화율은 약 3%로
지극히 미흡한 실정이다. 소비지의 유통업체들도 최근에 와서는
산지직거래율(産地直去來率)을 늘리면서 유통체계를 구축하는데 힘을
쏟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초보적인 단계를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와함께 농산물 물류정보망(物流情報網)의 구축 또한 이러한 산지와
소비지 유통기반시설의 확충과 함께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지만 현재로선
연구단계 수준이다. 불과 2개월 후에 있을 농산물의 완전개방을 앞둔
상황에서 하루빨리 갖춰야 할 부분은 국내 농산물의 합리적인
물류체계로서 이를 통해서라면 현 농산물의 물류비를 40% 정도는
떨어뜨릴 수 있을 것이다. 서울시 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공사 김창호
사장은 이렇게 강조한다. “우리나라의 농산물 유통을 저비용과
고효율(高效率)체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하역기계화에
의한 물류비용의 절감과 도매시장에서의 공정, 투명한 거래, 그리고
경매전산화(競賣電算化)를 하루빨리 갖추어야만 할 것입니다.”
< 유통관리 2-1학기 보고서>
보 고 서
과 목 : 유 통 관 리
제 목 : 우리나라 유통구조의 변화와 유통업의 미래전략
교수명 :
제출일 :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7.29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8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