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윤리성과 충실한 개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논

Ⅱ. 사회적 윤이성
1. 윤이적 회의에 대하여
2. 현대 한국 사회에서의 윤이에 대해
3. 인간 존엄성의 인정

Ⅲ. 충실한 개인에의 지향
1. 매슬로우의 자아실현인
2. 로저스의 완전기능인
3. 각 인간상들에 대한 고찰

Ⅳ. 결논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바람직하게 發達한 이상적 人間을 完全技能人이라 부르면서 그 特質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다(9).
(1) 경험에 대하여 開放的이며, 결코 방어적이거나 저항적이지 않다. 따라서 自身의 환경 내의 모든 측면을 완전히 현실적인 지각의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환경의 경험에 있어 어떤 내적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다.
(2) 실존적 방식으로 살기 때문에 인생을 경직된 것이 아니라 유연한 흐름으로 느끼고 체험한다.
(3) 自身을 신뢰하여, 환경으로부터가 아닌 自己 自身으로부터 나오는 방향감각과 일관성있는 감정을 가지고 行動한다.
3. 각 人間象들에 대한 考察
여기서 다룬 人間象들은 상당히 理想的으로 보인다. 주위에 이런 성질들을 완벽하게 가진 사람을 찾아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사실 自我實現'이라는 槪念만 해도 오래 전부터 倫理학에서 널리 論議되던 것으로, 거기에서는 人間이 날 때부터 타고난 가장 根本的인 모습을 신의 형상으로서 自我의 모습에서 찾으려 하였고, 그런 自我를 實現하는 것이 人間倫理의 최종적 목적으로 理解했던 것이다(9). 즉, 매우 이상적인 槪念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 하나의 특징들을 보면 이 人間象들이 마냥 멀게만 느껴지지는 않는다.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이 어렵기는 하나 가능하지도 않은 일로 보이지는 않으며, 적어도 거기에 상당히 근접하는 것은 가능할 것이다.
Ⅳ. 結論
후반부에서 다룬 人間상들이 그 특징에 다른 사람의 尊重, 원만한 社會 생활, 독립성 등을 담고 있는 것은 앞에서 社會的 倫理에 대해 다루었던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결국 바람직한 人間이 그 내적으로 充實하면서 社會的 倫理性을 가진다는 것을 말한다.
이제는 個人의 경우에 대해 생각해 본다. 즉 나는 어떠한 사람이 되어야 하는가? 라는 問題를 생각하는 것이다. 이 問題에 대해 해답을 얻기 위해서는 일단 보편적 人間에 관한 위와 같은 論議의 도움을 받는 동시에, 나만의 狀況 - 예컨대 나의 적성, 가정.社會환경 등 - 에서의 바람직한 人間상을 찾도록 노력해야 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바람직한 人間상이라는 것이 구체적으로 확정될 수는 없을 것이나, 그것은 노력해 가는 과정에서 계속 찾아 갈 問題라고 본다.
결국, 問題는 나의 노력의 問題로 돌아간다. 自身이 노력하지 않을 것이면서 바람직한 人間상을 그리는 것은 그야말로 공상일 뿐이다. 나의 바람직한 人間상이 무엇이라고 확실히 떠오르지 않더라도 일단 어느 정도의 상을 가지고, 그것을 향하여 노력해 나가는 것이 내가 여기서 취할 태도라고 생각한다. 노력해 가다 보면 그 人間상은 좀더 구체화될 것이며, 그러면서 나의 成長은 계속될 것임을 믿는다.
Ⅴ. 參考 文獻
1. J. L. Mackie, 倫理學 : 옳고 그름의 探究, 진교훈 譯, pp.17-19, 서광사, 서울(1990)
2. 金泰吉, 沈在龍, 李容弼, 倫理와 理念, pp. 50-57, 博英社, 서울(1991)
3. 안종운, 生活人의 倫理學 : 民主倫理學 試論, p.178, 영설出版社, 서울(1991)
4. R. S. Peters, 倫理學과 敎育, 이기우 譯, p.227, 敎育科學社, 서울(1970)
5. D. D. Raphael, 倫理學, p. 107, 김영철, 김부영 譯, 서광사, 서울(1987)
6. 現代思想敎材編纂委員會, 人間과 倫理, p.78, 學文社, 서울(1993)
7. P. M. Wallace, J. H. Goldstein and P. Nathan, 心理學槪論, 李寬鎔, 金基重, 金在甲, 李 泰淵 譯, p. 274, 栗谷出版社, 서울(1990)
8. 鄭元植, 朴性洙, 카운슬링의 原理, p. 53, 敎育科學社, 서울(1983)
9. 生活指導, pp. 24-32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07.30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9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