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정량과 Proteasome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 단백질 정량하는 방법
2. 단백질 분해 경로
3. proteasome

실험 재료 및 방법

1. Proteasome-enriched 분획.
2. 단백질 정량(lowry method 방법 이용)
3. proteasome peptide-hydrolyzing activity assay

결과.

1. 단백질 정량
2. Proteasome activity assay.

고찰

본문내용

간의 차이가
있다.
Peptide-Hydrolyzing Activity
SLLVY-AMC
ARR-MNA
Brain
Liver
Heart
Brain
Liver
Heart
10
2.282
0.39
5.247
0.374
1.72
0.48
14
1.967
0.617
3.122
0.303
0.087
0.369
18
1.343
1.482
6.513
0.251
1.913
0.509
Neonate
1.236
2.899
5.764
0.502
4.25
0.181
2. Proteasome activity assay.
10
14
- Proteasome의 가수분해 중 SLLVY-AMC는 소수성 아미노산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이 고 ARR-MNA은 산성 아미노산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으므로 각 효소의 활성도가 높 으면 그에 해당되는 아미노산이 그만큼 많이 포함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그래프를 보면 우선 Brain은 소수성 아미노산과 소수성 아미노산이 계배의 발달 에 따라 조금씩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Liver인 경우에는 계배의 발달에 따라 소수성 아미노산은 10일배에서 14일배일때는 급격히 줄다가 그 이후부터는 계속해서 많은 양이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Heart인 경우에는 소수성 아미노산은 10일배 에 많은 양을 포함하고 있다가 14일배는 줄고 다시 18일배에 늘었다가 neonate에는 줄어드는 현상을 보이고, 산성 아미노산은 조금씩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고찰
- 단백질 정량을 한 목적은 각 단백질의 농도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값을 얻기 위해 각 기관의 발달에 따라 조직을 얻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렇게 해서 얻은 단백질을 파쇄한 후 Lowry method에 의해 정량값을 구하였다. 실험 중 단백질의 변성을 막기 위해 -4를 유지시켰고 sonication에서 열이 발생하였다. 열이 많이 발생 할 시 단백질 이 변성될 수 도 있기 때문에 온도에 조심해야 한다. 그리고 파쇄할 때 심장은 붉은색 을 많이 띠고 있었는데 그 이유는 적혈구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간은 쓸개를 제거하지 못해 색이 노란색이었다. 이것은 지질이 포함되었다는 것을 의미한 다. 이로 인해 단백질의 정확한 량을 측정하는데 저해 요인이 되었다. 뇌는 파쇄가 잘 된 것으로 보아 조직이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흡광도의 값을 얻어냄에 있어 이미 알고 있는 단백질인 BSA를 standard로 사용함으로써 좀더 쉽게 단백질의 량을 예상 하여 다음 실험에 쓰일 단백질의 양을 계산해 낼 수 있었다. proteasome activity assay 는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뇌와 심장은 ARR-MNA에 의해 거의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뇌와 심장은 계배발달 과정에서 산성 아미노산이 필요없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즉 소수성 아미노산을 많이 포함해 SLLVY-AMC에 반응을 잘 나타내었다. 특 히 심장은 더욱더 뚜렷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번 실험은 단백질 정량과 단백질 가수분 해 실험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번 실험은 대체적으로 정확한 실험을 이루지 못하였음 을 시인한다. 단백질 정량 실험에서 같은 duplicated 된 것이 같은 wavelength값이 나 와야 하는데, 그렇지가 못했다. 그 이유는 pipetting이 조금 미숙했기 때문이라고 생각 이 든다.
☞ 참고 문헌
1. Donald voet 외 1인, Biochemistry 2nd Edition, John Wiley & Sons-INC, 1993
2. 조완규, 발생생물학, 아카데미 서적, 1995
3. 김 창한 외 1인, 생화학 계산법, 을유문화사, 1986
4. 한국생물과학협회, 생물학사전, 아카데미서적, 1998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07.31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0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