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실험
3.실험결과
4.고찰 및 토론
5.참고 문헌
2.실험
3.실험결과
4.고찰 및 토론
5.참고 문헌
본문내용
284
A+B → C
r= -
{ d {C }_{A} } over {dt }
= -
{d {C }_{B } } over {dt }
= k
{ { C}_{A } }^{α } { { C}_{B } }^{β }
따라서, 위의 DATA를 가지고 GRAPH로 PLOTTING하여 A0의 값을 Y절편으로 구하였다.
단, A무한대의 경우는 거의 0에 수렴하므로 0라고 가정하였다.
(아주 작은 값이 나온다.)
위의 data로
{ 2.303} over { t}
log
{ a0 - a∝} over {at-a∝ }
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ⅰ) C=0.01 일 때, A0=1.409 , A무한대=0
K= 2.303/T * LOG (A0-A무한대)/(At-A무한대) = 2.303/5 * LOG 1.409/1.3315
=0.00113
ⅱ) C=0.1 일 때, A0=1.413 , A무한대=0
K= 2.303/T * LOG (A0-A무한대)/(At-A무한대) = 2.303/5 * LOG 1.413/1.3373 =0.011
ⅲ) C=0.5 일 때, A0=1.4288 , A무한대=0
K= 2.303/T * LOG (A0-A무한대)/(At-A무한대) = 2.303/5 * LOG 1.4288/1.3564
=0.0104
( plotting graph )
a
5 10 t
(고찰 및 토론)
: 이날의 실험은 한번에 3개의 실험을 몰아서 하다보니 결과 산출에 만족할 만한 DATA를 얻지는 못했는데, 실험치가 아닌 이론값만을가지고 이론상으로 비슷한 값을 유도하기도 했다. 굴절율측정이 관점인 실험이었기 때문에 일단, 시간당 굴절율을 더 많이 측정하여야 하였다.
그래야, PLOTTING 하기에도 편하고 정확한, 아니 오차를 줄일 수 있었을 텐데 말이다.
그리고, 항온조의 온도를 더욱 정확히 측정, 유지하였어야 하는데 여기서도 오차의 원인이 발견되었다고 본다. 또, 굴절기의 청결상태에도 문제가 있었다고 본다.
이러한 복합적 요인이 이 번 실험에서 아쉬움을 남기게 된 요인이라고 본다. 하지만 값이 이론값과 그리 많이 차이가 벗어나지는 않아서 조금은 안도감이 든다. 실험을 통해 이론값에 대한 검증을 할 수가 있어서 좋았다.
참고 문헌
1 한국화학공학회 교육연구위원회, 화학공학실험, 형설출판사
2 실험자료유인물, 액상화학반응편
3 이태희외, 화공유체역학, 선중당, 2판, p181-199 (1994)
4 반응공학, Levenspel, 희중당
A+B → C
r= -
{ d {C }_{A} } over {dt }
= -
{d {C }_{B } } over {dt }
= k
{ { C}_{A } }^{α } { { C}_{B } }^{β }
따라서, 위의 DATA를 가지고 GRAPH로 PLOTTING하여 A0의 값을 Y절편으로 구하였다.
단, A무한대의 경우는 거의 0에 수렴하므로 0라고 가정하였다.
(아주 작은 값이 나온다.)
위의 data로
{ 2.303} over { t}
log
{ a0 - a∝} over {at-a∝ }
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ⅰ) C=0.01 일 때, A0=1.409 , A무한대=0
K= 2.303/T * LOG (A0-A무한대)/(At-A무한대) = 2.303/5 * LOG 1.409/1.3315
=0.00113
ⅱ) C=0.1 일 때, A0=1.413 , A무한대=0
K= 2.303/T * LOG (A0-A무한대)/(At-A무한대) = 2.303/5 * LOG 1.413/1.3373 =0.011
ⅲ) C=0.5 일 때, A0=1.4288 , A무한대=0
K= 2.303/T * LOG (A0-A무한대)/(At-A무한대) = 2.303/5 * LOG 1.4288/1.3564
=0.0104
( plotting graph )
a
5 10 t
(고찰 및 토론)
: 이날의 실험은 한번에 3개의 실험을 몰아서 하다보니 결과 산출에 만족할 만한 DATA를 얻지는 못했는데, 실험치가 아닌 이론값만을가지고 이론상으로 비슷한 값을 유도하기도 했다. 굴절율측정이 관점인 실험이었기 때문에 일단, 시간당 굴절율을 더 많이 측정하여야 하였다.
그래야, PLOTTING 하기에도 편하고 정확한, 아니 오차를 줄일 수 있었을 텐데 말이다.
그리고, 항온조의 온도를 더욱 정확히 측정, 유지하였어야 하는데 여기서도 오차의 원인이 발견되었다고 본다. 또, 굴절기의 청결상태에도 문제가 있었다고 본다.
이러한 복합적 요인이 이 번 실험에서 아쉬움을 남기게 된 요인이라고 본다. 하지만 값이 이론값과 그리 많이 차이가 벗어나지는 않아서 조금은 안도감이 든다. 실험을 통해 이론값에 대한 검증을 할 수가 있어서 좋았다.
참고 문헌
1 한국화학공학회 교육연구위원회, 화학공학실험, 형설출판사
2 실험자료유인물, 액상화학반응편
3 이태희외, 화공유체역학, 선중당, 2판, p181-199 (1994)
4 반응공학, Levenspel, 희중당
키워드
추천자료
화학실험 시계반응
화학실험보고서 반응열
화학 반응에서 평형상수의 결정
옥살레이트-철 화합물의 합성과 광화학 반응
반응속도와 화학평형 발생학습모형 지도안
[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 색깔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착이온의 농도를 알아내어 착이...
[일반화학실험] 엔탈피 측정 :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해서 엔탈피가 상태함수임을 확인...
[일반화학실험] 헤스의 법칙(Hess`s law) : 수산화나트륨과 염산의 반응을 통해 헤스의 법칙...
[일반화학실험] 산화-환원 적정 과망간산법 : 과망간산 칼륨과 과산화 수소의 산화-환원 반응...
[일반화학실험] 산화-환원 적정 (과망간산법) : 과망간산 칼륨과 과산화수소의 산화-환원반응...
[일반화학실험] 엔탈피 측정 : 엔탈피가 상태함수임을 알고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하여...
[일반화학실험] (결과) 엔탈피 측정 :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하여 엔탈피가 상태함수임...
일반화학및실험_산화환원 반응 : 과망간산법 결과 레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