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간호 사례보고서 유방암 유방 재건술 기동성장애 감염 위험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술간호 사례보고서 유방암 유방 재건술 기동성장애 감염 위험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술전, 대상자 준비상황을 확인, 기록하시오.
2) 대상자의 진단명에 대하여 학습하시오.
3) 대상자의 수술명에 대하여 학습하시오.
4) 대상자의 수술 중 간호 활동을 기록하시오.
5) 간호 진단 : 기동성 장애 & 감염의 위험성

본문내용

0%
BP+마취 전 수준의 50%
2
1
0
2
2
의식(Consciousness)
완전히 깨어있음
부르면 깸
무반응
2
1
0
2
2
피부색(Color)
정상
창백, 암적색, 황달, 기타
청색증
2
1
0
2
2
Total
10
10
10
(3) 마취에 사용되는 약물들
약물
작용
용도 및 장점 단점
N2O(Nitrous Oxide)
흡입 마취제
Isoflurane
흡입 마취제
Sodium thiopental
(pentothal sodium)
정맥 마취제
Propdfol(Diprivan)
정맥 마취제
포폴 종류인 Anepol이 사용되었습니다. 전신 마취제로 전신마취를 유도하거나 유지하고, 인공호흡 중인 중환자를 진정시킵니다. 수술 후 오심, 구토의 발생 빈도가 낮고, 초기 회복기에 시술 후 졸음이 적습니다. 그러나 회복기 동안에 두통, 운동, 경련, 연축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Ketamine(Ketalar)
정맥 마취제
Succinylcholine
정맥 마취제
근 이완제
Rocuronium
근육 이완제
근육 이완제로, 전신마취 시 골격근 이완을 유도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사용하거나 기관 내 삽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며, 중환자의 삽관 및 기계적 환기를 돕는데에도 사용합니다. 천식 증상, 저혈압, 빈맥, 주사 부위 통증, 어지러움, 딸꾹질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Vecuronium
정맥 마취제
근 이완제
Tetracaine
부위 마취제
Bupivacaine
부위 마취제
Mobinul
자율 신경제
수술 전 타액과 위액의 유리산 분비 감소와 심장 미주신경 억제 반사의 방지를 위해 사용합니다. 배뇨 장애, 안압증가, 빈맥, 심계 항진, 발한 감소, 졸음, 쇠약. 어지러움, 구역, 구토, 변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Vascam
최면 진정제
다른 마취제 투여 전 전신마취 유도 목적으로 정맥주사 및 단시간 외과 처치 시 균형마취의 정맥용 보조제입니다. 수술 전 진정의 역할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혈압, 맥박수, 1회 환기량이나 호흡률 감소, 호흡 억제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간호 진단
#1. 수술 부위 통증과 관련된 기동성 장애
사정
목표
계획
[S-data]
“너무 아파요.”
“내 팔 왜이래..”
“팔에 감각이 없어요..”
“이렇게 아픈 게 정상인가요?”
“아.... 아... 아..”
[O-data]
-5/12 11시 05분 유방 절제, 재건술 종료.
-V/S 36℃, P 74회, BP 138/70회로 측정됨.
-팔을 뻗을 때 고통스러워함.
-얼굴을 찡그림.
-IV PCA 적용 중임.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팔을 100도 이상 올릴 수 있다.
대상자는 IV PCA를 사용하는 이유와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능동적 관절 운동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진단적 계획]
대상자의 통증 양상을 매 6시간 마다 사정한다.
-통증 사정은 통증 관리 전략을 계획하는 것의 첫 단계이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4시간마다 측정한다.
-활력징후는 통증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통증 증가 시 심박 수, 혈압, 체온이 상승할 수 있다.)
대상자의 수술 부위를 사정한다.
-수술 부위 통증이 기동성 장애의 직접적인 이유이므로 중요하다.
[치료적 계획]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항생제를 사용함으로 수술 부위의 회복을 촉진시킨다.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하고 부작용 유무를 관찰한다.
-진통제를 사용함으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OP site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이는 감염과 직결되고, 감염은 통증과 관련된다.
[교육적 계획]
대상자에게 IV PCA 사용 방법 및 효과, 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PCA는 통증을 조절해주므로 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체계가 대상자의 빠른 회복을 돕도록 교육한다.
-지지체계의 적극 활용은 대상자를 더욱 빠르게 회복되게 한다.
3. 허용된 범위 내에서 팔과 어깨관절의 능동적 관절 운동을 할 수 있도록 ROM 자료를 활용하여 설명한다.
-림프절이 파괴되어 관절 범위 운동이 제한되므로 방법을 교육한다.
#2. 수술 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사정
목표
계획
[S-data]
-“손 씻는 거 귀찮아요.”
-“물 마시는 거 귀찮아요.”
-“물보다는 커피지.”
-“너무 아파요.”
[O-data]
-5/12 11:05 수술 완료
-수술 부위 dressing 적용
-V/S 36℃, P 74회, BP 138/70회로 측정됨.
-JP drain 적용 중.
-Foley catheter 적용 중.
-흡연력 있음.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감염 예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시행할 수 있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하루에 물 1L 이상 마신다.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금연의 중요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진단적 계획]
8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활력징후가 비정상일 때는 30분 후 다시 측정한다.
-체온상승은 감염의 징후 중 하나이다.
하루 3번 수술 부위 감염증상(피부의 발적, 부종, 경련과 통증)을 사정한다.
-이런 외적 증상들은 감염의 징후를 나타낸다.
lab 검사를 모니터링 한다.
-lab을 통해 대상자의 상태를 사정할 수 있다.
[치료적 계획]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항생제는 수술 부위의 회복을 촉진시킨다.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권장한다.
-물을 통한 수분보충은 몸속 노폐물을 배출시켜 감염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무균법을 철저히 지켜서 처치를 수행한다.
-무균적인 처치는 감염원 발생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교육적 계획]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교육한다.
-충분한 휴식은 면역의 저하를 감소시킨다.
개인의 위생과 손 씻기의 중요성을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개인의 위생과 손 씻기는 감염을 예방한다.
감염증상에 대해 교육하고, 감염징후가 나타나면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감염 발생 시 초기에 대처할 수 있다.
4. 금연할 것을 보건복지부 동영상 자료를 활용해 교육한다.
-흡연은 상처 치유를 지연시킨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4.12.06
  • 저작시기2020.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51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