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문헌고찰
(1) 퇴행성관절염
- 정의
- 원인
- 병태생리
- 증상
- 진단검사
- 치료
- 예방법
(2) 슬관절치환술
- 정의
- 슬관절의 구조와 기능
- 슬관절 전치환술이 필요한 대상
- 수술방법
- 수술진행 과정
- 인공 슬관절의 사용기간
- 예후
- 슬관절 전치환술의 합병증
2. 사례보고
2.본론
1)문헌고찰
(1) 퇴행성관절염
- 정의
- 원인
- 병태생리
- 증상
- 진단검사
- 치료
- 예방법
(2) 슬관절치환술
- 정의
- 슬관절의 구조와 기능
- 슬관절 전치환술이 필요한 대상
- 수술방법
- 수술진행 과정
- 인공 슬관절의 사용기간
- 예후
- 슬관절 전치환술의 합병증
2. 사례보고
본문내용
다리를 올려주되 무릎이 굴절되지 않도록
종아리 밑에 베개를 놓지 않도록 한다.
6.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도 다리를 올려놓아 준다.
7. 침대와 휠체어 사이의 옮기는 운동을 하루에 2~3회 시켜준다.
8. 처음 운동은 다리를 곧게 펴거나 혼자서 일어설 때 무게주임은 그 자리에
는 약간만 주는 것으로 시작하고, 수술 후 첫날 무릎 굽히기를 45°에서
시작하여 차츰 횟수와 거는 길이를 견딜 만할 때까지로 늘리라고 교육한
다.
9. 수동굽히기 운동은 환자가 저항감이 생길 때까지 시도한다.
10. 능동굽히기 운동의 시작은 수술 후 5일 째부터 하루에 4번 시행하도록
교육한다.
11. 수술한 다리를 똑바로 올릴 수 있을 때까지지 무릎고정기를 착용하도록
하게 한다.
간호중재
1. 2시간 마다 활동정도를 사정하였다.
2. 체위변경의 중요성과 체위변경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3. ROM운동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환자분과 가족분들에게 교육을 하였다.
4. 무릎고정기를 착용해드렸고, 방법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5. 다리 올리기 운동을 2시간마다 10회씩 실시하였다.
6. CPM 70°부터 교육해 드렸고, 다음날부터 10°씩올려 30분씩 4번
시행하라고 교육하였다.
7. 하루 3번 휘체어를 타라고 교육해드렸고, 실행되었는지 사정하였다.
이론적 근거
1. 잦은 자세변경은 폐의 환기에 효과적이다.
2. 하지의 정맥류 예방과 근육강화를 위한 ROM운동이다.
3. 수술한 다리의 상승은 혈액순환을 증가시키며 굴절강직을 예방한다.
4. 침대 내외에서의 운동은 수술 후 운동증가의 수단이며, 이와 같은 운동은
정신적 지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5. 수동굽히기 운동은 인공관절 주위의 타박상과 부종을 예방할 수 있다.
6. 능동굽히기 운동은 기능회복을 촉진하는데 필수적이며, 퇴원하기 전까지
환자는 90°까지는 굽힐 수 있어야 한다.
7. 무릎고정기는 수술한 다리를 지지하며 잘못된 자세를 예방한다.
간호진단
#2. 경험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지식을 알려주기를 요구함.
지시사항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함.
객관적 자료 : “아까 뭐라고 하셨죠? 잘 기억이 안나요”
“이렇게 하는게 맞는건가요?”
“불안하니깐 자꾸 기억이 안나네요”
간호목표
설명한 교육내용을 이해한다고 하시며, 그대로 수행한다.
간호계획
1. 인공슬관절 치환술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2. 교육에 대한 요구를 사정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3. 수술전에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내용을 반복 교육한다.
4. 수술후 해야할 운동에 대하여 교육한다.
5. 교육 후 이해도를 평가한다.
간호중재
1. 적절한 보조기구로 혼자서 운동하는것과 계단오르기에 대한 교육을 수술
전과 수술후에 해드렸다.
2. 다리돌리기와 근육힘주기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설명해 드렸다.
3. 무릎운동과 다리 흔드는 운동을 제한하도록 교육하였다.
4. 교육 후 이해하셨는지 몇가지를 여쭤보았다.
이론적근거
1. 수술과정과 수술 후 간호에 대한 이해는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2. 수술 후 회복하려는 행위를 증진 시킬 수 있다.
간호진단
#3. 수술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발열, 백혈구 수 증가
객관적 자료 : “왜 자꾸 열이 내렸다 올랐다 하는지 모르겠네요.”
간호목표
감염증상이 없다.
간호계획
1. 상처와 드레싱상태, 출혈, 배액상태를 사정한다.
2.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3. 감염의 지표가 되는 임상결과를 사정한다.
( 백혈구 수 및 적혈구 침강속도).
4. 드레싱시 무균법을 지키고, 자주 교환한다.
5. 필요시 항생제를 투여한다.
간호중재
1. V/S을 스페셜로 측정하였다.
2. 혈액을 체취 후 임상에 맡겨 결과를 확인하였다.
3. 3일에 2번 정도 드레싱을 하였다.
4. 상처에서 배액이 나오는지 사정하고 관찰하였다.
5. 항생제 필요시 의사에게 노티해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이론적 근거
1. 상처배액은 처음 4~6시간동안은 혈액성, 장액성이고 그 다음은 맑아진다.
2. 노랗거나 초록색이면 염증이 의심된다.
Ⅲ. 결론
이상의 사례보고서는 2007년 10월 22일부터 11월 1일까지 보훈병원 정형외과 병동에서 실습하면서 수행한 간호 내용으로 대상자인 74세 빈ΟΟ님은 2007년 10월 14일날 Degenerative Arthritis을 진단 받으시고 total knee replacement arthritis수술을 하기 위하여 15일날 입원하였다.
대상자의 증상에 적합한 간호과정을 계획하고 실천하였다. 간호진단은 “슬관절 이식술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경험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수술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위험성” 이렇게 내렸으며, 현재는 보조기구를 이용한 왕복운동을 하루에 2번 하실 수 있게 되었고, 환자스스로가 낫고자하는 의지가 강해졌다. 또한 침상내에서의 시야범위안에서의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수술부위는 회복이 많이 되셨다고 하며, 임상결과에서나 드레싱결과 감염의 증상을 찾을 수 없었지만, 때때로 오한과 발열이 계신다고 하여 해열제와 잦은 V/S을 check중이다.
지금까지 수행한 간호가 조금이나마 환자분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라면서 본 사례 연구를 마친다.
참고문헌>>
1. 성인간호학 下·1, 전시자외 「현문사」P.454, 578-584
2. 정형외과 간호학, 한윤복 공저 「수문사」
3. 대한 정형외과학회-김재도 외2명
4.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편 「서울대학교출판부」184-185
5. http://opendic.naver.com/100/entry.php?entry_id=74952
6. http://100.naver.com/100.php?id=752894
7. http://opendic.naver.com/100/entry.php?entry_id=47601
8. http://www.buminhos.co.kr/a5-18.html
9. http://user.chollian.net/~pain7575
10. http://www.kimsonline.co.kr
11. http://www.busansungmo.co.kr/medi_info/medi_info_dis_v.asp?conts_num =459
종아리 밑에 베개를 놓지 않도록 한다.
6.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도 다리를 올려놓아 준다.
7. 침대와 휠체어 사이의 옮기는 운동을 하루에 2~3회 시켜준다.
8. 처음 운동은 다리를 곧게 펴거나 혼자서 일어설 때 무게주임은 그 자리에
는 약간만 주는 것으로 시작하고, 수술 후 첫날 무릎 굽히기를 45°에서
시작하여 차츰 횟수와 거는 길이를 견딜 만할 때까지로 늘리라고 교육한
다.
9. 수동굽히기 운동은 환자가 저항감이 생길 때까지 시도한다.
10. 능동굽히기 운동의 시작은 수술 후 5일 째부터 하루에 4번 시행하도록
교육한다.
11. 수술한 다리를 똑바로 올릴 수 있을 때까지지 무릎고정기를 착용하도록
하게 한다.
간호중재
1. 2시간 마다 활동정도를 사정하였다.
2. 체위변경의 중요성과 체위변경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3. ROM운동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환자분과 가족분들에게 교육을 하였다.
4. 무릎고정기를 착용해드렸고, 방법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5. 다리 올리기 운동을 2시간마다 10회씩 실시하였다.
6. CPM 70°부터 교육해 드렸고, 다음날부터 10°씩올려 30분씩 4번
시행하라고 교육하였다.
7. 하루 3번 휘체어를 타라고 교육해드렸고, 실행되었는지 사정하였다.
이론적 근거
1. 잦은 자세변경은 폐의 환기에 효과적이다.
2. 하지의 정맥류 예방과 근육강화를 위한 ROM운동이다.
3. 수술한 다리의 상승은 혈액순환을 증가시키며 굴절강직을 예방한다.
4. 침대 내외에서의 운동은 수술 후 운동증가의 수단이며, 이와 같은 운동은
정신적 지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5. 수동굽히기 운동은 인공관절 주위의 타박상과 부종을 예방할 수 있다.
6. 능동굽히기 운동은 기능회복을 촉진하는데 필수적이며, 퇴원하기 전까지
환자는 90°까지는 굽힐 수 있어야 한다.
7. 무릎고정기는 수술한 다리를 지지하며 잘못된 자세를 예방한다.
간호진단
#2. 경험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지식을 알려주기를 요구함.
지시사항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함.
객관적 자료 : “아까 뭐라고 하셨죠? 잘 기억이 안나요”
“이렇게 하는게 맞는건가요?”
“불안하니깐 자꾸 기억이 안나네요”
간호목표
설명한 교육내용을 이해한다고 하시며, 그대로 수행한다.
간호계획
1. 인공슬관절 치환술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2. 교육에 대한 요구를 사정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3. 수술전에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내용을 반복 교육한다.
4. 수술후 해야할 운동에 대하여 교육한다.
5. 교육 후 이해도를 평가한다.
간호중재
1. 적절한 보조기구로 혼자서 운동하는것과 계단오르기에 대한 교육을 수술
전과 수술후에 해드렸다.
2. 다리돌리기와 근육힘주기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설명해 드렸다.
3. 무릎운동과 다리 흔드는 운동을 제한하도록 교육하였다.
4. 교육 후 이해하셨는지 몇가지를 여쭤보았다.
이론적근거
1. 수술과정과 수술 후 간호에 대한 이해는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2. 수술 후 회복하려는 행위를 증진 시킬 수 있다.
간호진단
#3. 수술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발열, 백혈구 수 증가
객관적 자료 : “왜 자꾸 열이 내렸다 올랐다 하는지 모르겠네요.”
간호목표
감염증상이 없다.
간호계획
1. 상처와 드레싱상태, 출혈, 배액상태를 사정한다.
2.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3. 감염의 지표가 되는 임상결과를 사정한다.
( 백혈구 수 및 적혈구 침강속도).
4. 드레싱시 무균법을 지키고, 자주 교환한다.
5. 필요시 항생제를 투여한다.
간호중재
1. V/S을 스페셜로 측정하였다.
2. 혈액을 체취 후 임상에 맡겨 결과를 확인하였다.
3. 3일에 2번 정도 드레싱을 하였다.
4. 상처에서 배액이 나오는지 사정하고 관찰하였다.
5. 항생제 필요시 의사에게 노티해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이론적 근거
1. 상처배액은 처음 4~6시간동안은 혈액성, 장액성이고 그 다음은 맑아진다.
2. 노랗거나 초록색이면 염증이 의심된다.
Ⅲ. 결론
이상의 사례보고서는 2007년 10월 22일부터 11월 1일까지 보훈병원 정형외과 병동에서 실습하면서 수행한 간호 내용으로 대상자인 74세 빈ΟΟ님은 2007년 10월 14일날 Degenerative Arthritis을 진단 받으시고 total knee replacement arthritis수술을 하기 위하여 15일날 입원하였다.
대상자의 증상에 적합한 간호과정을 계획하고 실천하였다. 간호진단은 “슬관절 이식술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경험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수술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위험성” 이렇게 내렸으며, 현재는 보조기구를 이용한 왕복운동을 하루에 2번 하실 수 있게 되었고, 환자스스로가 낫고자하는 의지가 강해졌다. 또한 침상내에서의 시야범위안에서의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수술부위는 회복이 많이 되셨다고 하며, 임상결과에서나 드레싱결과 감염의 증상을 찾을 수 없었지만, 때때로 오한과 발열이 계신다고 하여 해열제와 잦은 V/S을 check중이다.
지금까지 수행한 간호가 조금이나마 환자분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라면서 본 사례 연구를 마친다.
참고문헌>>
1. 성인간호학 下·1, 전시자외 「현문사」P.454, 578-584
2. 정형외과 간호학, 한윤복 공저 「수문사」
3. 대한 정형외과학회-김재도 외2명
4.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편 「서울대학교출판부」184-185
5. http://opendic.naver.com/100/entry.php?entry_id=74952
6. http://100.naver.com/100.php?id=752894
7. http://opendic.naver.com/100/entry.php?entry_id=47601
8. http://www.buminhos.co.kr/a5-18.html
9. http://user.chollian.net/~pain7575
10. http://www.kimsonline.co.kr
11. http://www.busansungmo.co.kr/medi_info/medi_info_dis_v.asp?conts_num =459
추천자료
노인 전문 간호사의 교육과정과 역할, 기여도 및 문제점에한 논의
노인환자의 욕창 간호
영양문제를 가지고 있는 노인환자 간호
foley catheter 삽입하고 있는 노인환자 간호
치매노인 가정간호에 대한 연구A+치매노인의 가정간호의 원칙과 대화법,간호방법,치료방법,가...
노인의 성문제와 간호
노인의 치료적 간호중재에 대해서
노인 우울증환자의 간호과정
[노인, 노인 건강요구, 노인 간호요구, 노인 의복요구, 노인 광고태도요구, 건강요구, 간호요...
[노인복지론] (노인 건강 복지)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특성, 노인복지서비스(노인장기요양보...
[노인건강문제관리] 노인의 일상생활에서의 간호, 생활환경과 안전, 개인위생, 운동, 영양과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해외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와의 비교분석,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간호학] 노인의 건강사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