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코드라마에서의 역할교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주석

2.역사

3.정의

4.역할교대의 치료적 가치

5.역할교대의 두 가지 유형

6.상호적 역할교대와 사회심리학

7.대인관계 갈등해결

8.표상적 역할교대와 대상관계이론

9.에필로그

본문내용

하는 것이다. 젤카 모레노는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규칙을 제안했다. '주체는 그가 느끼고 지각하는 "그의 진실"을 완전히 주관적인 방식(이러한 모습이 사람들에게 어떻게 왜곡되든지 상관없이)으로 행위화해야 한다'(Moreno 1959; 234). Carlson-Sabelli와 Sabelli(1984)에 의하면, 이러한 규칙은 잘못된 지각과 제대로된 지각을 구별하기 위하여 많은 주인공들의 욕구를 자주 살펴보는 사이코드라마티스트에게 문제를 만들어준다. 일반적인 지침으로서, 그들은 사이코드라마티스트가 주관적인 실재에 최고의 권리를 주어야 한다는 것에 동의했지만 주인공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게 하기위하여 객관적인 실재에 우선권이 주어져야 한다는 것을 덧붙였다. 예를 들자면, 죽을 병에 걸려 치료를 받기 싫어하는 환자가 있었는데 그는 치료를 받는 것에 대한 동의를(주관적인) 하기전에 역할교대를 통하여 먼저 객관적인 실재를 깨닫도록 도움을 받아야만 했었다.
표상적 역할교대의 또 다른 목적은 주인공이 자신의 결정에 대해서 좀 더 책임감을 갖게 도와주는 것이다. 이처럼 역할교대는 변화를 가져오기위해서 주인공의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한다. 예를 들어보자. 이본느는 그녀의 돌아가신 어머니 역할을 맡은 보조자아에게 그녀를 용서해 달라고 요구했었는데, 역할을 교대해서 준비가 되어있던지 아니던지 간에 혼자서 결정하도록 지시를 받았다. 또 다른 사이코드라마에서, 엘리는 불행한 결혼에서 무엇을 해야할 지를 집단지도자에게 물었다. 엘리의 질문에 대답하는 대신 집단지도자는 엘리에게 자기와 역할을 바꾸자고 제안했다. 지도자의 역할에서 엘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먼저 당신의 삶에서 좀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합니다. 스스로 결정을 내리십시요.' Ruscombe-King은 알콜중독자들에게 '술'과 역할을 교대하라고 함으로써 자기 지도(Self-direction)와 비슷한 것을 해왔다. 빈 술병과의 대화에서 톰은, '너는 내게 더러운 느낌을 줘!'라고 말했다. '술'의 역할에서 그는 '나는 네가 나를 마시라고 강요하지 않아!'라고 대답했다(Ruscombe-King 1991; 165).
어쨌든 결국 책임감에 대한 초점은 물론 하나님 자신과 역할을 교대하는 것에 맞추어지게 된다. Nolte 등(1975)에 의해 보고된 사례에서, 신다는 하나님에게 '당신은 왜 아버지를 데려가셨나요?'라고 물었다. 하나님의 역할이 되어 자신이 질문한 것에 대답하려고 노력하는 동안, 아버지의 죽음을 좀더 의미있게 만들게됨으로서 신다는 실존에 대한 자신의 인식과 직면하고 슬픔속에서 안정을 찾게 되었다.
모레노는 표상적 역할교대의 역동을 다음과 같이 감동적으로 묘사했다.
주체가 개인 세계의 형상들과 대표하는 것들(figure-heads)에 웜업하고 만들어내는데 참여할 때, 그가 지금까지 경험했던 것을 훨씬 뛰어넘게하는 엄청난 만족감을 얻게 된다. 그는 그의 내면에서 낯선 존재로 살아있는 망상이나 환각과 같은 어떤 심상들과, 아버지와 어머니, 아내 그리고 아이들에 대한 심상들을 위해 그가 가진 에너지의 많은 부분을 쏟아왔으며, 많은 자발성, 생산성 그리고 자신을 위한 힘을 상실해가고 있었다. 그들은 풍요로움을 빼앗아갔으며 그는 가난하고 약하고 병들게 되었다. 사이코드라마는 그의 마음밖에서 모험을하게해주며 그가 투자해 온 것들을 다시 그에게 돌려준다. 그는 자신쪽으로 그리고 그동안 그들에게 쏟아왔던 에너지쪽으로 그의 아버지, 어머니, 애인, 자신에 대한 망상과 환각을 가져가며, 그들은 그의 아버지 또는 그의 고용주, 그의 친구들 또는 그의 적들의 역할을 통해 실제로 살아서 돌아온다. 그는 그들과 역할교대를 함으로써 인생이 그에게 제공해주지않았던 그들에 대한 많은 것들을 이미 배우고 있는 중이다. 그가 그의 환각속의 사람들이 될 수 있을 때, 그들은 그들의 힘과 그에게 걸린 마술을 상실하게될 뿐만아니라 그는 혼자힘으로 그들의 힘을 얻게 된다. 그의 자아는, 음흉한 세력에 의해 분리되어왔을 지도 모르는 요인들을 모으고, 그들을 통합하고 힘에 대한 느낌을 얻고 편안함을 가질 수 있도록, 그것 자체를 발견하고 재조직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Moreno 1953; 85).
위의 인용을 살펴 볼 때, '내면적 심상에 쏟는 에너지들'처럼 모레노가 표상적 역할교대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전통적인 정신분석적 용어를 사용했다는 흥미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독립적인 그리고 통합된 자아의 성장을 위해 좋은 대상의 내재화를 강조하는 것이 분명하다. 게다가, 병적인 것으로 그리고 정상적인 발달의 한 부분으로 보여질지 모르는, 이상화, 분리, 투사, 동일시 그리고 투사적 동일시와 같은 자기도취적 과정들은 모두 역할교대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Kruger 1989 참고). 이런 것을 통해, 표상적 역할교대가 너무 심한 불안을 겪고 있지 않는 환자에게 그 자체로 분리개별화과정(Mahler 1975)을 조성하고 복돋아 주는 기능을 한다고 결론내릴 수 있을 것이다.
에필로그
메리는 그녀가 안아주기를 원하는 8살짜리 딸을 마주보고 서있다. 하지만 메리는 딸이 매달리는 것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며 멀리 밀어버린다. '나와 가까이 있는 것이 너한테 좋고 네가 정말로 원한다는 것을 알고 있어. 하지만 네가 매달릴때마다 미치겠어. 그리고 너를 밀어낼때마다 너를 거부하는 것처럼 죄책감이 느껴져서 기분이 더 안좋아,' 마치 엄마의 눈에서 사랑의 실마리를 찾듯이, 딸은 예민하게 비난하는 눈빛으로 메리를 바라본다. 메리는 이렇게 말한다. '너를 사랑하지만 네가 나를 그렇게 쳐다보면 참을 수가 없어!' 역할교대를 통해, 메리는 거울을 보는 것처럼 자신을 보게 되었다. '제발 절 좀 봐주세요, 엄마....'. 말을 하는 도중에 침묵이 흐른다. 메리는 다시 자신의 어린시절로 돌아가 어머니로부터 거부당하는 것이다. 그 때 할머니가 그 장면에 등장하게 된다. 메리는 할머니와 메리의 딸이 서로 따뜻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말한다. 메리는 할머니와 딸이 포옹하는 것을 보고 그들 사이에 끼어들어간다. 그리고 그들은 함께 움직여 모든 세대의 어머니와 딸들이 함께 춤을 춘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8.07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7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