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상담의 개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념의 이해

2. 청소년과 진로문제

3. 진로상담의 목표

4. 진로발달이론

5. 진로정보의 활용

6. 진로상담기법

본문내용

상담 프로그램
10
청소년
1988
김봉환
청소년의 진로탐색 훈련 프로그램
8
청소년
1999
김정희 외
대학생을 위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10
대학생
1991
박경애 외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
9
청소년
1993
장대운 외
전공-적성 불일치 대학생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6
대학생
1986
이수용
진로상담을 위한 가치명료화 프로그램
6
대학생
1986
이재창 외
진로탐색 프로그램
15
중고생
1990
3) 컴퓨터의 활용
정보화의 총아라고 불리우는 컴퓨터는 우리 생활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진로지도 분야에서도 역시 컴퓨터는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진로지도에서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내용들을 몇 가지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진로지도에서는 관련된 정보를 수집·가공·분류·제공·관리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교사 혼자의 힘으로 이 일을 수행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직업에 관한 정보만 하더라도 12,000여 종이나 되며 각각의 직업이 요구하는 직무내용과 수준이 시시각각으로 변하기 때문에, 교사가 이 많은 정보를 컴퓨터의 도움 없이 다루는 일은 불가능하다. 진학지도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진학지도를 올바로 하기 위해서는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파악해야 함은 물론 상급학교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학생에 대한 취업지도시에는 컴퓨터의 도움이 더욱 필요하다. 학생들의 취업범위가 전국에 걸쳐 있으므로 수많은 취업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함은 물론, 어느 회사가 언제 어떠한 형태의 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는가에 대한 구인정보는 시시각각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둘째, 최근 '정보의 바다'로 각광을 받고 있는 인터넷 및 중등학교 학생들이 많이 접하고 있는 PC통신 등을 이용하여 정보수집은 물론 학생들에게 스스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진로지도와 관련하여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몇 가지 예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노동부(http://www.molab.go.kr): 다양한 구인/구직 정보, 취업/채용 정보를 접할 수 있고 직업사전, 직업선택 가이드, 유망직업안내, 직업훈련제도 등의 메뉴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직업흥미검사'를 받고 곧바로 검사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② 고용안정 정보망(http://www.work.go.kr): 취업 및 직업선택과 관련된 방대하고도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다. 원격직업상담을 받을 수 있고 직업심리검사를 받을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 구인/구직 신청도 가능하다.
③ 에듀넷(http://edunet.nmc.nm.kr): 진학상담, 청소년 고민상담, 교직/교권상담 등에 특히 유용하며, '진로성숙도검사'를 받고 그 결과를 곧바로 접할 수도 있다.
④ 한국청소년상담원(http://www.kyci.or.kr): 예약상담이 가능하고, 고민해결 백과, 컴슬러 따라가기, 감정의 사이버 마당 등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진로정보센터(http://krivet.re.kr): 진학과 취업을 포함한 각종 진로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진로상담 및 진로지도 서비스 제공은 물론이고 진로설계를 위한 각종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컴퓨터를 이용하여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미국의 경우 SIGI, DISCOVER 등과 같은 프로그램이 매우 유명하다. 그동안 우리 나라에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이 거의 전무하였으나 김영혜(1997)가 '컴퓨터 보조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한 바 있고, 이어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1999년부터 여중생 및 여고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CD-ROM Title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참 고 문 헌
김계현(1995). 상담심리학. 서울: 학지사.
김병숙, 김봉환(1994). 고용촉진을 위한 직업정보의 활용방안. 천안: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문화방송(1991). MBC 청소년 백서. 서울: MBC 문화방송.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8). 교육학 대백과 사전. 서울: 하우동설.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1998). 학생연구, 33집. 서울: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이무근(1999). 직업교육학 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이재창 외(1995). 홍익대학교 재학생 실태조사 연구. 서울: 홍익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이재창(1994). 진로교육 발전방안 탐색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2, 80-119.
이재창(1997). 한국 청소년 진로상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청소년 진로상담모형 기본구상, 1-28. 서울: 청소년대화의광장.
이정근(1989). 진로지도의 실제. 서울: 성원사.
정원식 외(1985). 청소년의 의식구조 조사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중앙고용정보관리소(1996). 한국직업사전. 서울: 중앙고용정보관리소.
진미석(1999). 새로운 대학입시제도에 따른 고등학교 진로지도의 방향. 고등학교 진로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09-122. 서울: 서울특별시 교육과학연구원.
청소년대화의광장(1992). 청소년 일상생활 실태조사. 서울: 청소년대화의광장.
충청남도(1998). 충남청소년 비전 2000. 대전: 충청남도.
한국청소년연구원(1991). 한국 청소년의 실태와 문제. 서울: 한국청소년연구원.
Gelatt, H. B.(1962). Decision making: A conceptual frame of reference for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9, 240-245.
Parsons, F.(1909). Choosing a vocation.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Tolbert, E. L.(1980).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Boston: Houghton Mifflin.
Zunker, V. G.(1999). Career counseling: Applied concepts of life planning. Pacific Grove, CA: Brooks/Cole.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8.07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7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