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II. 순리상의 목적
III. 응용상의 목적
II. 순리상의 목적
III. 응용상의 목적
본문내용
통제는 민주적 정치과정의 수립을 위한 전제로서만 행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익표출에 있어 갈등해소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려면, 자문형보다는 협상형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정당에 있어서는 가장 먼저, 이념과 정책 특히 현대 사회가 제기하는 새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비젼을 과학적으로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시민운동 및 대중운동과 밀접하게 결합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그것을 정치력으로 조직화시켜 정책화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에 덧붙여 지역에 기반하는 정당이 아닌 정책에 기반하는 정당으로 다시 태어나야 할 것이다.
V. 結
이상으로 정치과정론의 목적을 이익집단과 정당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에 대비하여 논해 보았다. 여기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결국 이론이라는 것은 현실에 기반하여 만들어 졌으며, 현실을 바꾸어 나가는 기능을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현실에 기반하지 않은 이론은 말장난에 불과할 것이며, 현실참여를 하지 않는 이론 역시 탁상공론에 불과할 것이라는 것이다. 정치학의 목적을 순리상의 목적과 응용상의 목적 그리고 궁극적인 목적으로 나눈것도 정치과정론, 나아가 정치학을 배우는 목적이 바로 여기에 있음을 말하는 것일 것이다.
정당에 있어서는 가장 먼저, 이념과 정책 특히 현대 사회가 제기하는 새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비젼을 과학적으로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시민운동 및 대중운동과 밀접하게 결합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그것을 정치력으로 조직화시켜 정책화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에 덧붙여 지역에 기반하는 정당이 아닌 정책에 기반하는 정당으로 다시 태어나야 할 것이다.
V. 結
이상으로 정치과정론의 목적을 이익집단과 정당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에 대비하여 논해 보았다. 여기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결국 이론이라는 것은 현실에 기반하여 만들어 졌으며, 현실을 바꾸어 나가는 기능을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현실에 기반하지 않은 이론은 말장난에 불과할 것이며, 현실참여를 하지 않는 이론 역시 탁상공론에 불과할 것이라는 것이다. 정치학의 목적을 순리상의 목적과 응용상의 목적 그리고 궁극적인 목적으로 나눈것도 정치과정론, 나아가 정치학을 배우는 목적이 바로 여기에 있음을 말하는 것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