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문제에 대한 남북한 간의 기본적 인식과 절차, 방법 등의 차이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와 세력 충돌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
[임진왜란 때의 한반도 국토 분할론]
[근세사에서 열강의 대립과 국토 분할론]

2. 카이로 회담과 포츠담 회담
[카이로 회담]
[포츠담 회담]

3. 자주 독립 역량의 부족

4. 우리가 추구하는 통일의 의미

5. 통일 문제에 대한 남북한 간의 기본적 인식과 절차, 방법 등의 차이

6. 남북 연방제

7. 남·북한 올림픽 단일팀 출전협상 (63.1.24)

8. 1970년대의 통일을 위한 우리의 노력

9.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0.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1989. 9)

11.북한의 연방제 통일 방안의 수정

본문내용

특공대원인 진모소령과 강민철대위인 것으로 밝혀내고 이들의 자백과 압수된 문서를 통해 폭발사건을 이들이 자행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숨진 김치오대위와 함께 북한 육군소장 최창수에게서 전대통령의 아웅산묘소 방문때 묘소를 폭파하라는 지령을 받고 10월7일 새벽 2시 아웅산묘소에 잠입, 지붕에 폭탄 두개를 설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수사결과에 따라 미얀마정부는 북한과 외교관계를 단절하고 북한정부 승인을 철회하며 랭군주재 북한대사관원들을 48시간내에 출국하도록 명령했다. 랭군지구인민법원 제8특별재판부(재판장 마웅 마웅 예중령)는 사건발생 후 만 두달만인 12월9일 3군 통합장교 임시법정에서 열린 선고공판에서 범인 진모와 강민철에게 살인죄를 적용, 사형을 선고했다.
한편 제38차 유엔총회 제6위원회는 세계 76개국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북한의 잔인한 테러행위를 규탄했다. 이에 따라 북한과 상당한 수준의 비정치적 교류를 하고있던 일본은 교류의 폭을 크게 제한했고 북한에게서 집요한 관계개선 요청을 받아온 호주는 관계정상화를 백지화했다. 또 중남미의 코스타리카와 아프리카의 코모로, 남태평양의 파푸아 뉴기니 등 3개국은 북한과 외교관계를 단절했다.
김일성(金日成) 사망(94.7.8)
지난 45년 이후 49년 동안 북한을 통치해 온 독재자 `김일성`70`(金日成·82) 주석이 7월8일 사망했다. 북한의 관영 중앙방송과 평양방송은 9일 『조선노동당 총비서이시며 인민공화국 주석이신 김일성 동지께서 8일 새벽 2시 급병으로 서거하셨다』고 보도했다.
북한방송들은 김(金)주석 사인(死因)과 관련, 『김일성 동지께서 심장혈관의 동맥경화증으로 치료를 받아오다 7월7일 심근경색으로 쇼크를 받아왔는데 쇼크가 악화돼 사망했다』고 밝혔다.
북한 방송들은 김주석 사망에 따라 후계문제와 관련, 『오늘 우리 혁명의 진두에는 주체혁명 위업의 위대한 계승자이시며 우리 당과 인민의 탁월한 영도자이시며 우리 혁명 무력의 최고 사령관이신 `김정일`75`(金正日) 동지께서 서 계시다』고 보도해 그의 권력승계 전망을 뒷받침했다
김일성 장례식은 7월19일 추모인파 2백여만명이 평양거리를 메워 오열하는 가운데 성대히 치러졌다. 김주석의 시신은 사망 사흘만인 11일 유리관 속에 보존된 채 북한 중앙방송을 통해 공개됐다. 국내 의학계 전문가들은 시신에서 혈액을 제거한 후 포르말린이나 페놀 알코올 글리세린 등의 방부제를 넣어 조직을 굳게 유지 썩지않게 하는 「임바밍」법에 의해 영구보존할 것으로 보고있다.
김주석의 돌연한 사망으로 7월25일로 예정됐던 `김영삼`59`(金永三)대통령과의 남북정상회담이 무산됐다. 김영삼대통령은 7월9일 오후 전군(全軍)에 특별경계령을 내리고 국가안전보장회의와 임시국무회의를 잇따라 소집,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에 대비해 안보태세를 한층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한편 김일성 주석이 사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반응도 가지가지였다. 남한의 대다수 국민들은 『진작 죽었어야 할 민족사의 죄인이 죽었다』며 기뻐했다. 환호하거나 술집에서 축배를 드는 사람도 많았다.
그러나 남북정상회담과 이산가족 교류 무산에 대해 아쉬워하고 향후 북한의 동태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도 적잖았다. 함경북도 회령이 고향인 실향민 김선옥(金善玉·74·여)씨는 『86년 김일성사망설이 전해졌을 때는 너무 기뻐서 고향사람들과 잔치를 벌였지만 이번에는 남북정상회담이 잘돼 고향땅이라도 밟았으면 하는 기대가 컸던 만큼 오히려 허탈감이 앞선다』고 말했다. 한국전쟁 이후 태어난 세대는 일반적으로 김일성의 사망으로 북한의 개방과 변화가 앞당겨질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기도 했다.
1912년 4월15일 평남 대동군 고평면 남리에서 태어난 김일성(본명 김성주·金聖柱)은 31년 중국공산당에 입당한 후 항일(抗日)게릴라 활동을 하다가 45년 10월 소련군 소좌로 평양에 돌아왔다. 북조선 5도 공산당 책임자가 돼 열성자대회를 주재, 조선공산당 북조선조직위 책임비서로 취임한 이후 49년 동안 북한을 통치했으며 50년 한국전쟁을 일으켰다.
김일성은 생전에 소위 자주노선을 내세우면서 민주화와 개혁 개방을 거부하는 강경일변도의 폐쇄정치를 벌여온데다 족벌독재를 일삼아 왔다. 그래서 24년간 루마니아를 철권으로 통치해오다 피살된 차우세스쿠나 민족주의자로 자처하면서 스스로를 우상화하고 호전적인 성격으로 끊임없는 숙청과 처형을 해온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과 비유되기도 한다.
그의 가계(家系)미화와 족벌체제는 유례를 찾기 어렵다. 김일성의 숙부 김형직(金亨稷)은 혁명가로, 동생 철주(哲柱)는 소년반일선봉대로, 그의 전처 김정숙(金貞淑)은 불굴의 혁명동지로 찬양되고 있다. 또 유일하게 생존한 동생 영주(英柱)는 노동당 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장으로 실권을 장악하고 있으며 장남 정일(正日)을 비롯, 처의 종조부, 사촌누이, 며느리 조카사위 등에 이르기까지 두루 권좌에 앉아있다.
김일성은 본처인 김정숙과의 사이에서 정일과 경희(慶姬·48·여) 1남1녀를 두었고 본처가 사망하자 김성애(金聖愛)와 결혼, 경진(敬珍·42·여), 평일(平日· 40 핀란드대사) 등 1남1녀를 낳았다.
나진, 선봉 자유 무역 지대
선진 과학 기술을 도입하고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하여 중국의 '경제 특구'를 모방해 만든 특수 지역. 북한은 1991년 12월 28일 '정무원 결정 74호'를 통해 함북 나진 선봉 지역의 6백21km 를 '자유 경제 무역 지대'로 설정하고 나진 선봉 청진을 자유 무역항으로 지정했다.
함북 나진 선봉 지대에 자유 경제 무역 지대를 설립한다.
자유 경제 무역 지대 안에서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관계 기관의 승인하에 외국인에 대한 합작 기업 합영 기업 외국인 재정 지원 기업 등 각종 형태의 기업 설립 운영 및 서비스 사업 종사가 허용된다.
이 지대 내에 있는 나진 및 선봉항과 인접 지역의 청진항을 자유 무역항으로 한다.
국가는 자유 경제 무역 지대에서 다른 나라 사람들이 투자한 자본과 기업 운영에서 얻은 소득을 법적으로 보호한다.
자유 경제 무역 지대에서 창설 운영되는 기업체들의 투자 성격에 따라 관세와 소득세의 감면을 비롯한 여러 가지 특혜와 편의를 보장한다. [top]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08.11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9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