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문제의 소재
2. 선행연구
II. 본론
1. 선정(禪定)과 지혜(智慧), 지(止)와 관(觀)
2. 아라한에 이르는 두 가지 길
3. 순관(純觀)과 찰나정(刹那定)
4. 혜해탈과 순관
III. 결론
1.문제의 소재
2. 선행연구
II. 본론
1. 선정(禪定)과 지혜(智慧), 지(止)와 관(觀)
2. 아라한에 이르는 두 가지 길
3. 순관(純觀)과 찰나정(刹那定)
4. 혜해탈과 순관
III. 결론
본문내용
지행자 가운데 8해탈을 닦은 후 지혜에 의해 아라한이 된 자를 말하고, 혜해탈자는 8해탈를 통하지 않고, 찰나정이나 4선정을 의지해서 아라한이 된 자를 말한다. 이 때, 4선정을 닦아 아라한이 되었다면, 이는 지행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안지정과 근행정을 닦은 후, 관수행을 통해서 아라한과에 이르는 이를 지행자라고 하기 때문이다.
지행자가 아라한이 될 경우, 양분해탈자와 혜해탈자가 될 수 있으며, 관행자의 경우는 혜해탈자만이 될 수 있다.
초기불전에서는 많은 수의 혜해탈 아라한이 등장하고, 이 가운데에는 순관행자(純觀行者)가 있다과 할 수 있다. 따라서 순관에 의해 아라한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초기불전 및 상좌불교의 주석서를 통에서 밝혔다고 생각하며, 현재의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수행법 가운데 마하시 계통의 수행법은 『대념처경(大念處經)』과 『淸淨道論』를 문헌적인 자료로 하면서 사계차별(四界差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순관행(純觀行)임을 일러둔다.
<參考文獻 및 略語>
P li Text
P li Text와 略語는 Critical P li Dictionary(CPD) Vol.1의 Epiloegomena참조.
P li 문헌 검색 및 인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아래의 2 가지 자료를 참조하였다.
P li Text Database (P li Text Society Editions) inputted by Association for Pali Text Inputting (APTI), Faculty of Letters, University of Tokyo, 1993 - 1998.
Chatta Sa ghayana Tipitaka CD III, Vipassan Research Institute, Igatpuri, 1998.
漢譯경전의 Database는 대만 CBETA(中華電子佛典協會)電子佛典系列에서 2002년 1월에 공개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http://www.cbeta.org)
Vism - Visuddhimagga, Pali Text Society. 1975.
Vism-mh - Visuddhimagga-Mah k (Paramatthama j s ).
Burmese Chatta Sa ghayana edition. Vols. 2, Yangon, 1960.
金宰晟
[1995]「『淸淨道論』における刹那定と近行定 - Samathay naとVipassan y na
の接點-」『インド哲學佛敎學硏究』3,東京大學文學部インド哲學佛敎學
硏究室,pp.3-16.
[1997]「태국과 미얀마 불교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
『세계 승가공동체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서울: 圖書出版 伽山文庫, pp. 85-160.
[1998]「四界差別について - 南北兩阿毘達磨の修行道における位置づけ -
『韓國佛敎學Seminar』7, 東京:韓國留學生印度學佛敎學硏究會, pp.36-50.
김준호
[2000] 「初期佛典에 나타난 止觀槪念」『韓國禪學』1, 한국선학회, pp.285-306.
임승택
[2001] 『초기불교수행론의 집성 : 빠띠삼비다막가 역주』서울: 가산문화연구원.
조준호
[2000]「초기불교에 있어 止·觀의 문제」『韓國禪學』1, 한국선학회, pp.321-358.
下田正弘
[1996]「《さとり》と《救い》- インド佛敎類型論再考」『宗敎硏究』70-1,pp.25-46.
Cousins, Lance S.
[1973] "Buddhist Jh na:Its Nature and Attainment According To The P li Sources", Religion 3, pp.115-31.
[1984] "Samatha-y na and Vipassan -y na", in Buddhist studies in Honour of Hammalava Saddh tissa, University of Jayewardenepura, Nugegoda, Sri Lanka, pp.56-68.
[1996] "The Origins of Insight Meditation", The Buddhist Forum IV,
ed. by Tadeusz Skorupski, New Delhi: Heritage Publishers, pp. 35-58.
Griffiths, P.
[1981] "concentration or insight: The Problemetic of Therav da Buddhist Meditation Theory" Th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49/4, 606-624.
Katz, Nathan
[1982] Buddhist Images of Human Perfection : The Arahant of the Sutta Pi aka Compared with the Bodhisattva and the Mah siddha, Delhi: Motilal Banarsidass.
La Vallee Poussin, L. de.
[1936-37] "Mus la et N rada" Melangges chinois et bouddhiques V, 189-222.
Mahasi Sayadaw
[1965] The Progress of insight, Kandy:Buddhist publication Society.
Myanaung U Tin ed.
[1979] Satipa h na Vipassan Meditation : Criticisms and Replies.
Rangoon : Buddha Sasana Nuggaha Organization.
Schmithausen, L.
[1981] "On Some Aspects of Descriptions or Theories of “Liberating insight” and “Enlightenment” in Early Buddhism", Studien zum Jainismus und
Buddhismus,Wiesbaden:Steiner-Verlag-Wiesbaden-Gmbh., pp. 199-250.
Vetter, T.
[1988] The Ideas and Meditative Practies of Early Buddhism, Leiden:E.J. Brill.
지행자가 아라한이 될 경우, 양분해탈자와 혜해탈자가 될 수 있으며, 관행자의 경우는 혜해탈자만이 될 수 있다.
초기불전에서는 많은 수의 혜해탈 아라한이 등장하고, 이 가운데에는 순관행자(純觀行者)가 있다과 할 수 있다. 따라서 순관에 의해 아라한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초기불전 및 상좌불교의 주석서를 통에서 밝혔다고 생각하며, 현재의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수행법 가운데 마하시 계통의 수행법은 『대념처경(大念處經)』과 『淸淨道論』를 문헌적인 자료로 하면서 사계차별(四界差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순관행(純觀行)임을 일러둔다.
<參考文獻 및 略語>
P li Text
P li Text와 略語는 Critical P li Dictionary(CPD) Vol.1의 Epiloegomena참조.
P li 문헌 검색 및 인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아래의 2 가지 자료를 참조하였다.
P li Text Database (P li Text Society Editions) inputted by Association for Pali Text Inputting (APTI), Faculty of Letters, University of Tokyo, 1993 - 1998.
Chatta Sa ghayana Tipitaka CD III, Vipassan Research Institute, Igatpuri, 1998.
漢譯경전의 Database는 대만 CBETA(中華電子佛典協會)電子佛典系列에서 2002년 1월에 공개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http://www.cbeta.org)
Vism - Visuddhimagga, Pali Text Society. 1975.
Vism-mh - Visuddhimagga-Mah k (Paramatthama j s ).
Burmese Chatta Sa ghayana edition. Vols. 2, Yangon, 1960.
金宰晟
[1995]「『淸淨道論』における刹那定と近行定 - Samathay naとVipassan y na
の接點-」『インド哲學佛敎學硏究』3,東京大學文學部インド哲學佛敎學
硏究室,pp.3-16.
[1997]「태국과 미얀마 불교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
『세계 승가공동체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서울: 圖書出版 伽山文庫, pp. 85-160.
[1998]「四界差別について - 南北兩阿毘達磨の修行道における位置づけ -
『韓國佛敎學Seminar』7, 東京:韓國留學生印度學佛敎學硏究會, pp.36-50.
김준호
[2000] 「初期佛典에 나타난 止觀槪念」『韓國禪學』1, 한국선학회, pp.285-306.
임승택
[2001] 『초기불교수행론의 집성 : 빠띠삼비다막가 역주』서울: 가산문화연구원.
조준호
[2000]「초기불교에 있어 止·觀의 문제」『韓國禪學』1, 한국선학회, pp.321-358.
下田正弘
[1996]「《さとり》と《救い》- インド佛敎類型論再考」『宗敎硏究』70-1,pp.25-46.
Cousins, Lance S.
[1973] "Buddhist Jh na:Its Nature and Attainment According To The P li Sources", Religion 3, pp.115-31.
[1984] "Samatha-y na and Vipassan -y na", in Buddhist studies in Honour of Hammalava Saddh tissa, University of Jayewardenepura, Nugegoda, Sri Lanka, pp.56-68.
[1996] "The Origins of Insight Meditation", The Buddhist Forum IV,
ed. by Tadeusz Skorupski, New Delhi: Heritage Publishers, pp. 35-58.
Griffiths, P.
[1981] "concentration or insight: The Problemetic of Therav da Buddhist Meditation Theory" Th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49/4, 606-624.
Katz, Nathan
[1982] Buddhist Images of Human Perfection : The Arahant of the Sutta Pi aka Compared with the Bodhisattva and the Mah siddha, Delhi: Motilal Banarsidass.
La Vallee Poussin, L. de.
[1936-37] "Mus la et N rada" Melangges chinois et bouddhiques V, 189-222.
Mahasi Sayadaw
[1965] The Progress of insight, Kandy:Buddhist publication Society.
Myanaung U Tin ed.
[1979] Satipa h na Vipassan Meditation : Criticisms and Replies.
Rangoon : Buddha Sasana Nuggaha Organization.
Schmithausen, L.
[1981] "On Some Aspects of Descriptions or Theories of “Liberating insight” and “Enlightenment” in Early Buddhism", Studien zum Jainismus und
Buddhismus,Wiesbaden:Steiner-Verlag-Wiesbaden-Gmbh., pp. 199-250.
Vetter, T.
[1988] The Ideas and Meditative Practies of Early Buddhism, Leiden:E.J. Br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