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영토
토지로서 구성되는 국가 영역
2.영공
우리 나라의 영공은 영토와 영해 위의 상공이다.
3.영 해-
1)영 해 법
2)200해리 문제
3)원양 어업에 미친 영향
4.수산업의 발달
5. 독도
1) 독도란?
2) 독도 풍경
3) 독도의 나이는 얼마나 되었을까?
6. 독도 문제
독도 영유권 논쟁 은 어떻게 발생했나?
7.바다의 환경오염
토지로서 구성되는 국가 영역
2.영공
우리 나라의 영공은 영토와 영해 위의 상공이다.
3.영 해-
1)영 해 법
2)200해리 문제
3)원양 어업에 미친 영향
4.수산업의 발달
5. 독도
1) 독도란?
2) 독도 풍경
3) 독도의 나이는 얼마나 되었을까?
6. 독도 문제
독도 영유권 논쟁 은 어떻게 발생했나?
7.바다의 환경오염
본문내용
록 파도의 침식에 깎여 수면 위의 화산체는 작아졌지만 해저에 있는 화산체는 울릉도의 2배나 된다. 울릉도는 해저 기반의 너비가 좌우로 25㎞ 정도이지만, 독도는 50㎞나 된다. 또한 독도는 특이하게도 쌍둥이 화산 폭발에 의해 만들어진 두 개의 암체로 구성되었다.
6. 독도 문제
1)'독도 영유권 논쟁' 은 어떻게 발생했나?
돌섬인 독도는 오랫동안 무인도로 버려진 채 존재했다. 그러다가 어업권을 둘러싸고 일본과 울릉도 영유권 분규가 일어난 조선 숙종 이후 독도는 우산도,자산도 등으로 불리며 우리의 영토로 인식되어 왔다. 이후 1901년에는 칙령을 반포해 울릉도를 울도군으로 개정하고, 울도군의 관할 구역을 울릉도 전체와 죽도, 석도(독도)로 규정해 공식적으로 우리 영토에 편입시켰다.
임진왜란 이후 일본은 울릉도에 들어와 고기를 잡고 나무들을 도벌해 갔다. 처음에는 울릉도를 다케시마[竹馬]라 하고 독도를 마츠시마라 불렀으나, 1880년 군함을 파견하여 송도를 실측하고부터는 울릉도를 송도로, 독도를 죽도로 개칭해 부르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1905년 러·일 전쟁중에 러시아 군함을 감시하기 위해 독도를 주인 없는 땅이라고 주장하면서 시마네 현에 독단적으로 편입시켰다. 한편, 1910년 일제에 의해 우리의 국권이 피탈된 후부터 독도라는 명칭은 사라지고, 세계 지도에는 일본명 다케시마, 프랑스명 리앙쿠르 암초, 영국명 호네스트 암초등으로 기재되었다. 리앙쿠르 암초는 1849년 독도를 발견한 프랑스 리앙쿠르호에 의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호네스트 암초는 1855년에 독도를 측량한 영국 군함 호네스트 호에 의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후 을사 조약과 한일 합방으로 주권이 박탈되어 어떠한 합의도 받아 들여지지가 않다가, 일본이 제2차 대전에 패배하면서 연합군 최고 사령부령 제677호에 의해 한국 영토로 반환되었다.
이에 1952년 1월 18일 이승만 대통령은 '인접 해양 주권에 대한 대통령 선언'을 통해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분명히 하였다. 그러자 이러한 우리 정부의 조치에 대하여 1952년 1월 28일 일본 외무성이 항의해 왔고, 이로부터 '독도 영토 논쟁'이 시작되었다.
이후 일본은 1953년 우리 정부가 전쟁으로 정신이 없는 틈을 타서 몇 차례 독도에 일본 영토라는 표식을 하기도 하였다. 이에 우리 정부는 1954년 8월 독도에 등대를 세워 세계 각국에 통고하였으며, 독도를 지키기 위해 경비대를 상주시키게 되었다.
아래의사진들은 독도의 풍경이다
<아래의 나물은 독도에 서식하는 나물이다>
옆의 사진은 독도의 새이다..
7.바다의 환경오염
●적조현상
해수또는 기수 속에서 1종 또는 몇 종의 플랑크톤이 1센티당 10만개 이상증식하여
물이 덩어리 모양 또는 띠 모양으로 적갈색이나 분홍색으로 변하는 현상, 물속의 인.질소가
증대하거나,그밖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섞여생긴다
플랑크톤의 급격한 증식과 사멸 분해에 의하여 산소가 대량으로 소비되어 무산소의 수고ㅙ가.생김에 따라 유해한 분해산물이축적되어 어패류에 큰 피해를 준다.
●해양오염
여러 가지 이유로 바다가 더럽혀지는일. 연안 해역이나 외해의 일부 해역지역에서 일어난
국지오염이라 하여도 해류에 의하여 확산되며, 해양의 전역으로 넓어진다는 점이다
오염의 주된 원인은 유조선의 사고와 유조선의 세정수에 의한 기름오염, 연안에 방출된 공장 폐액 속의 유기 수은 등이 원인인 중금속오염, 화학비료와 농약에 의한 농약오염
화력발전소의 온 배수에 의한 연안해역의 열 오염, 원자력선의 방사능 폐기물 방출에 의한
방사능 오염등이 있다.
위의 사진들은 바다에 관한 환경오염에관한 사진자료이다
1번그림:유조선
2번 그림:녹조현상
3번 그림: 물고기의 떼죽음
6. 독도 문제
1)'독도 영유권 논쟁' 은 어떻게 발생했나?
돌섬인 독도는 오랫동안 무인도로 버려진 채 존재했다. 그러다가 어업권을 둘러싸고 일본과 울릉도 영유권 분규가 일어난 조선 숙종 이후 독도는 우산도,자산도 등으로 불리며 우리의 영토로 인식되어 왔다. 이후 1901년에는 칙령을 반포해 울릉도를 울도군으로 개정하고, 울도군의 관할 구역을 울릉도 전체와 죽도, 석도(독도)로 규정해 공식적으로 우리 영토에 편입시켰다.
임진왜란 이후 일본은 울릉도에 들어와 고기를 잡고 나무들을 도벌해 갔다. 처음에는 울릉도를 다케시마[竹馬]라 하고 독도를 마츠시마라 불렀으나, 1880년 군함을 파견하여 송도를 실측하고부터는 울릉도를 송도로, 독도를 죽도로 개칭해 부르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1905년 러·일 전쟁중에 러시아 군함을 감시하기 위해 독도를 주인 없는 땅이라고 주장하면서 시마네 현에 독단적으로 편입시켰다. 한편, 1910년 일제에 의해 우리의 국권이 피탈된 후부터 독도라는 명칭은 사라지고, 세계 지도에는 일본명 다케시마, 프랑스명 리앙쿠르 암초, 영국명 호네스트 암초등으로 기재되었다. 리앙쿠르 암초는 1849년 독도를 발견한 프랑스 리앙쿠르호에 의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호네스트 암초는 1855년에 독도를 측량한 영국 군함 호네스트 호에 의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후 을사 조약과 한일 합방으로 주권이 박탈되어 어떠한 합의도 받아 들여지지가 않다가, 일본이 제2차 대전에 패배하면서 연합군 최고 사령부령 제677호에 의해 한국 영토로 반환되었다.
이에 1952년 1월 18일 이승만 대통령은 '인접 해양 주권에 대한 대통령 선언'을 통해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분명히 하였다. 그러자 이러한 우리 정부의 조치에 대하여 1952년 1월 28일 일본 외무성이 항의해 왔고, 이로부터 '독도 영토 논쟁'이 시작되었다.
이후 일본은 1953년 우리 정부가 전쟁으로 정신이 없는 틈을 타서 몇 차례 독도에 일본 영토라는 표식을 하기도 하였다. 이에 우리 정부는 1954년 8월 독도에 등대를 세워 세계 각국에 통고하였으며, 독도를 지키기 위해 경비대를 상주시키게 되었다.
아래의사진들은 독도의 풍경이다
<아래의 나물은 독도에 서식하는 나물이다>
옆의 사진은 독도의 새이다..
7.바다의 환경오염
●적조현상
해수또는 기수 속에서 1종 또는 몇 종의 플랑크톤이 1센티당 10만개 이상증식하여
물이 덩어리 모양 또는 띠 모양으로 적갈색이나 분홍색으로 변하는 현상, 물속의 인.질소가
증대하거나,그밖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섞여생긴다
플랑크톤의 급격한 증식과 사멸 분해에 의하여 산소가 대량으로 소비되어 무산소의 수고ㅙ가.생김에 따라 유해한 분해산물이축적되어 어패류에 큰 피해를 준다.
●해양오염
여러 가지 이유로 바다가 더럽혀지는일. 연안 해역이나 외해의 일부 해역지역에서 일어난
국지오염이라 하여도 해류에 의하여 확산되며, 해양의 전역으로 넓어진다는 점이다
오염의 주된 원인은 유조선의 사고와 유조선의 세정수에 의한 기름오염, 연안에 방출된 공장 폐액 속의 유기 수은 등이 원인인 중금속오염, 화학비료와 농약에 의한 농약오염
화력발전소의 온 배수에 의한 연안해역의 열 오염, 원자력선의 방사능 폐기물 방출에 의한
방사능 오염등이 있다.
위의 사진들은 바다에 관한 환경오염에관한 사진자료이다
1번그림:유조선
2번 그림:녹조현상
3번 그림: 물고기의 떼죽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