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er 개념(DNS,DHCP,TIS,ipchains)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DNS
DNS의 개요
DNS 서비스의 동작과정
DNS 서버의 종류

DHCP
DHCP 서비스란?
ipchains

본문내용

따라서, 이런 이유에서 네트워크에 DHCP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전 버전의 윈도우나 유닉스 네트워크에서는 DHCP를 사용하면 DNS를 이용한 컴퓨터 이름 찾기는 사용할 수 없었다. DHCP는 컴퓨터가 전원이 켜질 때 IP를 분배받고 다시 전원을 내린 이후 IP를 서버로 돌려받는 방식이다. 따라서 하나의 IP가 계속 특정한 컴퓨터에서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기존의 DNS에서는 이 DHCP를 수용하지 못했다. 따라서, 단지 클라이언트 설정을 위한 하나의 방편, DNS 네임을 가질 필요가 없는 컴퓨터들의 설정을 위해서 사용하였다.
그러나, 윈도우 2000에서 DHCP는 조금 개념이 다릅니다. 윈도우 2000에서 DNS는 기본적으로 DDNS를 사용한다. 즉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DNS의 설정이 계속 바뀌게 되는 형태의 DNS를 채택한 것이다. 따라서, 서버와 라우터를 제외한 전체 클라이언트가 DHCP로 운영되더라도 각각의 클라이언트의 DNS 네임을 찾는 것은 큰 문제가 없다. 또한 DHCP도 순간적으로 각 클라이언트에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의 대여 기간을 두고 있으므로 DNS에 큰 무리를 주지 않는다.
DHCP는 BOOTP(Bootstep Protocol)에 그 기반을 두고 있으며 RFC 1542에 지정된다.
DHCP는 윈도우 2000 서버 중 한 대에 설치한다. 클라이언트는 DHCP 서버를 발견하고 DHCP 주소를 요구하게 되며 DHCP서버는 정해진 대여 기간 동안 이 클라이언트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IP 풀 중 하나를 제공한다. DHCP는 RFC 1532, 1533, 1541을 지원하지 않는 라우터와는 호환될 수 없기 때문에 만일 세그먼트 바깥에 DHCP 서버를 놓아야 되는 상황이라면 라우터가 DHCP 패킷을 포워딩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대부분의 DHCP 클라이언트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를 브로드캐스팅으로 찾아내기 때문에 로컬 네트워크에 DHCP 서버가 존재하고 있다면 큰 문제는 없다.
TIS
침입탐지 시스템!
ipchains
-리눅스의 방화벽 도구
:리눅스에서는 ipchains라는 방화벽 도구가 기본으로 제공되고 있는데, 이는 이전 버전의 커널에서 사용되어온 ipfwadm이라는 방화벽 도구를 개선한 것으로 이전의 ipfwadm보다 좀더 정밀한 패킷 필터링이 가능하다.
-ipchains는 방화벽의 기능 중 패킷 필터링 기능만 제공한다.
ipchains에서의 패킷 필터링 과정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08.31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24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