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흑백사진의 현상
1. 현상에 필요한 도구 및 약품
2. 약품의 희석
3. 현상
4. 현상액
5. 중간정지액(Stop Bath)
6. 정착액(Fixer)
7. 수세촉진제(Hypo Cleaning Agent)
8. 포토플로(Photo-Flo)
9. 건조
10. 현상된 네가티브의 판독
2)컬러사진의 현상
1. 컬러 사진의 현상
2. 컬러의 증감 및 감감 현상
1. 현상에 필요한 도구 및 약품
2. 약품의 희석
3. 현상
4. 현상액
5. 중간정지액(Stop Bath)
6. 정착액(Fixer)
7. 수세촉진제(Hypo Cleaning Agent)
8. 포토플로(Photo-Flo)
9. 건조
10. 현상된 네가티브의 판독
2)컬러사진의 현상
1. 컬러 사진의 현상
2. 컬러의 증감 및 감감 현상
본문내용
이젤(두날 또는 네날의 젤이 있다)과 한가지
크기의 고정 이젤이 있다.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편리한 이젤을 꼽으라면 네 날의 이젤을
꼽고 싶다. 원하는 사진의 크기와 테두리의 두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
고 한가지 크기의 인화를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젤로 작품인화에 사용하려는 크기가 큰
인화를 한다면 더 없이 편리할 것이다. 구입 시에는 이젤의 견고성과 날들이 수직을 잘 이
루는지를 살펴보고 구입해야 한다.
7)초점 확대경
필름으로부터 투영된 상의 촛점을 맞추는데 사용한다. 작은 크기의 사진을 인화할 때는 촛
점을 맞추기가 수월하지만, 상이 작아질 수록, 네거티브의 농도가 옅을수록 피사체에 초점이
않맞거나 흔들린 사진이 초점을 맞추기가 힘들어지는데 이때 초점 확대경을 사용하면 편리
하다. 값도싸고 편리한 장비로필수적으로 사용한다.
8)트레이
기본적으로 현상, 중간정지, 표백정착 을 위해 3개가 필요하며 약품의 온도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항온기 대신 큰 트레이에 일정온도의 물을 넣고 다시 그 안에 작은 트레이를 넣어 사
용하기도 한다. 트레이는 8*10부터 대형까지 인화지 크기에 맞게 구비되어 있으며, 일반적으
로 자신이 주로 인화하는 인화지크기보다 한 단계 더 큰 트레이를 사용한다.
9)기타
프린트 집게 : 기본적으로 인화용과 정지 및 정착용 두개가 필요하다.
저장통 과 실린더 : 약품보관을 위해 필요.
프린트 수세기 : 수세 전용이 있지만 대개 트레이를 이용해서 사용한다.
인화지 건조기 : 값이 비싼 인화지 건조기가 있지만 대개 건조 스크린이나 빨랫줄에 널어
건조한다.
사진용 압지 : FB(Fiber Based) 인화지의 과도한 물기 제거에 쓰인다.
스퀴즈 : 인화지가 건조되기 쉽도록 물기를 제거하는데 쓰인다.
10)컬러 인화용 장비
일광 프린트 드럼 : 컬러 인화지를 현상하는데 사용한다. 컬러인화는 매우 정교한 온도조절
이 필요 하고 전체 스펙트럼에 대해 민감하기 때문에 오픈 트레이에서 현상하기 어렵다. 자
동과 수동 방식이 있으며 자동 프린트 드럼은 온도조절기와 약품의 정온 보관을 위한 곳도
가지고 있다.
온도계 : 매우 정확한 온도계(편차는 ±0.25도 이내)가 요구된다.
보온상자 : 컬러 프린트용으로 특별히 제작된 것은 작은 눈금이 있는 실리더 세트를 부착하
는데, 각 실린더에는 단계마다 필요한 용액을 넣는다. 역시 온도의 정확도가 중요하다. 자동
프린트 드럼에 함 께 부착된 것도 있다.
☞노출과 필터의 수치
컬러 인화에서는 각 프레임에 대한 노광 시간만이 아니라 필터 수치까지도 같이 측정되어야
한다. 노광 시간과 필터 수치는 인화에 있어 명암과 색상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며, 거의
모든 프레임은 필터 조절이 필요하다. 피사체에 대한 서로 다른 조명, 필름의 종류, 감도 등
은 서로 다른 필터 수치의 결과를 초래한다. 심지어 동일한 이미지일지라도 확대기가 바뀌
거나 묶음이 다른 인화지에 인화하게 되면 서로 다른 필터 수치를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인화를 위해서는 각 네거티브에 대한 두 가지 테스터가 필수적인데, 하나는 노광 시간 테스
터이고 다른 하나는 필터 테스터이다. 이 두 테스터는 편의상 분리되어 있으나, 사실은 노광
시간이 달라지면 필터 수치도 바뀌고 반대로 필터 수치가 달라지면 노광 시간이 바뀌는 의
존적인 관계이다. 최선의 컬러 밸런스를 지닌 인화를 위해 필터 테스터 결과를 평가하는 것은 아마도 컬러 인화에서 가장 어려운 기술일 것이다. 촬영할 때와 동일한 광질과 광선 상태에서 피사체를 보는 경우가 아니라면, 필터 테스터의 평가는 그 장면에 대한 기억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며 인화의 색도 그 기억의 색에 맞춰질 것이다. 이는 수용될 수 있는 인화의 범위에 어느 정도 융통성이 있고 개인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음을 뜻한다. 경험을 통해 테스터의 상태를 세밀히 구분하며 바람직한 인화에 가장 근접한 테스터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인화에서 피부와 같이 눈에 익숙한 부분이나 흰색에서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색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때문에 테스터나 인화를 할 때는 이런 부분을 먼저 평가하고 시작하게 된다. 컬러 네거티브 인화의 경우, 색을 조정하는 기본 원칙에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색은 그 색의 필터 수치를 높여 제거하게 된다. 왜야하면 감색 혼합의 필터 작업은, 가령 옐로(Y)필터 수치를 높이게 되면 인화결과에서의 노랑(Y)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인화에 빨강(R), 녹색(G), 파랑(B)과 같은 1차적인 색들의 기미가 강할 경우에, 이러한 기미들을 제거해주기 위해서 그 색과 보색인 색의 필터를 함께 조정해준다. 필터 테스터를 한 스트립(인화된 조각)은 인화를 평가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모든 필터 조정에서는 두 가지 색 이상의 필터를 동시에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이는 첨가되는 세 번째의 색이 중화색(neutral gray)을 만들어 다른 두 가지 색을 중화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더 긴 노광 시간을 주게 만든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중화색은 전체 필터에서 가장 낮은 필터 수치를 빼줌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5Y+50M+10C같이 세 가지 색의 필터를 모두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10 정도의 중회색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 때 가장 작은 필터 수치 10을 전체 필터에서 뺀 값인 45Y+40M이 실제 적용된 필터 수치인 것이다. 가장 작은 수치만큼 만들어진 중회색은 노광 시간만 길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자신의 컬러 인화를 평가할 수 있는 간단한 한 가지 방법은 스스로의 인화를 유색의 뷰잉 필터를 통해서 보는 것이다. 이렇게 보아서 인화의 중간 톤과 흰 부분의 컬러 밸런스가 정확하게 되었을 때 그 뷰잉 필터를 참고로 하여 확대기의 필터 수치를 조정하면 될 것이다. 필터 수치를 조정할 때는 필터의 농도가 변하기 때문에 이를 보정할 수 있는 노광 시간을 항상 사시 측정하여야 한다. 또한 확대기 헤드의 높이가 변경될 때에도 노광 시간이 보전되어야 한다. 헤드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인화지에 미치는 빛의 양은 감소되기 때문에 노광 시간을 연장해주어야만 한다.
크기의 고정 이젤이 있다.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편리한 이젤을 꼽으라면 네 날의 이젤을
꼽고 싶다. 원하는 사진의 크기와 테두리의 두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
고 한가지 크기의 인화를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젤로 작품인화에 사용하려는 크기가 큰
인화를 한다면 더 없이 편리할 것이다. 구입 시에는 이젤의 견고성과 날들이 수직을 잘 이
루는지를 살펴보고 구입해야 한다.
7)초점 확대경
필름으로부터 투영된 상의 촛점을 맞추는데 사용한다. 작은 크기의 사진을 인화할 때는 촛
점을 맞추기가 수월하지만, 상이 작아질 수록, 네거티브의 농도가 옅을수록 피사체에 초점이
않맞거나 흔들린 사진이 초점을 맞추기가 힘들어지는데 이때 초점 확대경을 사용하면 편리
하다. 값도싸고 편리한 장비로필수적으로 사용한다.
8)트레이
기본적으로 현상, 중간정지, 표백정착 을 위해 3개가 필요하며 약품의 온도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항온기 대신 큰 트레이에 일정온도의 물을 넣고 다시 그 안에 작은 트레이를 넣어 사
용하기도 한다. 트레이는 8*10부터 대형까지 인화지 크기에 맞게 구비되어 있으며, 일반적으
로 자신이 주로 인화하는 인화지크기보다 한 단계 더 큰 트레이를 사용한다.
9)기타
프린트 집게 : 기본적으로 인화용과 정지 및 정착용 두개가 필요하다.
저장통 과 실린더 : 약품보관을 위해 필요.
프린트 수세기 : 수세 전용이 있지만 대개 트레이를 이용해서 사용한다.
인화지 건조기 : 값이 비싼 인화지 건조기가 있지만 대개 건조 스크린이나 빨랫줄에 널어
건조한다.
사진용 압지 : FB(Fiber Based) 인화지의 과도한 물기 제거에 쓰인다.
스퀴즈 : 인화지가 건조되기 쉽도록 물기를 제거하는데 쓰인다.
10)컬러 인화용 장비
일광 프린트 드럼 : 컬러 인화지를 현상하는데 사용한다. 컬러인화는 매우 정교한 온도조절
이 필요 하고 전체 스펙트럼에 대해 민감하기 때문에 오픈 트레이에서 현상하기 어렵다. 자
동과 수동 방식이 있으며 자동 프린트 드럼은 온도조절기와 약품의 정온 보관을 위한 곳도
가지고 있다.
온도계 : 매우 정확한 온도계(편차는 ±0.25도 이내)가 요구된다.
보온상자 : 컬러 프린트용으로 특별히 제작된 것은 작은 눈금이 있는 실리더 세트를 부착하
는데, 각 실린더에는 단계마다 필요한 용액을 넣는다. 역시 온도의 정확도가 중요하다. 자동
프린트 드럼에 함 께 부착된 것도 있다.
☞노출과 필터의 수치
컬러 인화에서는 각 프레임에 대한 노광 시간만이 아니라 필터 수치까지도 같이 측정되어야
한다. 노광 시간과 필터 수치는 인화에 있어 명암과 색상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며, 거의
모든 프레임은 필터 조절이 필요하다. 피사체에 대한 서로 다른 조명, 필름의 종류, 감도 등
은 서로 다른 필터 수치의 결과를 초래한다. 심지어 동일한 이미지일지라도 확대기가 바뀌
거나 묶음이 다른 인화지에 인화하게 되면 서로 다른 필터 수치를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인화를 위해서는 각 네거티브에 대한 두 가지 테스터가 필수적인데, 하나는 노광 시간 테스
터이고 다른 하나는 필터 테스터이다. 이 두 테스터는 편의상 분리되어 있으나, 사실은 노광
시간이 달라지면 필터 수치도 바뀌고 반대로 필터 수치가 달라지면 노광 시간이 바뀌는 의
존적인 관계이다. 최선의 컬러 밸런스를 지닌 인화를 위해 필터 테스터 결과를 평가하는 것은 아마도 컬러 인화에서 가장 어려운 기술일 것이다. 촬영할 때와 동일한 광질과 광선 상태에서 피사체를 보는 경우가 아니라면, 필터 테스터의 평가는 그 장면에 대한 기억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며 인화의 색도 그 기억의 색에 맞춰질 것이다. 이는 수용될 수 있는 인화의 범위에 어느 정도 융통성이 있고 개인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음을 뜻한다. 경험을 통해 테스터의 상태를 세밀히 구분하며 바람직한 인화에 가장 근접한 테스터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인화에서 피부와 같이 눈에 익숙한 부분이나 흰색에서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색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때문에 테스터나 인화를 할 때는 이런 부분을 먼저 평가하고 시작하게 된다. 컬러 네거티브 인화의 경우, 색을 조정하는 기본 원칙에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색은 그 색의 필터 수치를 높여 제거하게 된다. 왜야하면 감색 혼합의 필터 작업은, 가령 옐로(Y)필터 수치를 높이게 되면 인화결과에서의 노랑(Y)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인화에 빨강(R), 녹색(G), 파랑(B)과 같은 1차적인 색들의 기미가 강할 경우에, 이러한 기미들을 제거해주기 위해서 그 색과 보색인 색의 필터를 함께 조정해준다. 필터 테스터를 한 스트립(인화된 조각)은 인화를 평가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모든 필터 조정에서는 두 가지 색 이상의 필터를 동시에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이는 첨가되는 세 번째의 색이 중화색(neutral gray)을 만들어 다른 두 가지 색을 중화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더 긴 노광 시간을 주게 만든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중화색은 전체 필터에서 가장 낮은 필터 수치를 빼줌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5Y+50M+10C같이 세 가지 색의 필터를 모두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10 정도의 중회색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 때 가장 작은 필터 수치 10을 전체 필터에서 뺀 값인 45Y+40M이 실제 적용된 필터 수치인 것이다. 가장 작은 수치만큼 만들어진 중회색은 노광 시간만 길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자신의 컬러 인화를 평가할 수 있는 간단한 한 가지 방법은 스스로의 인화를 유색의 뷰잉 필터를 통해서 보는 것이다. 이렇게 보아서 인화의 중간 톤과 흰 부분의 컬러 밸런스가 정확하게 되었을 때 그 뷰잉 필터를 참고로 하여 확대기의 필터 수치를 조정하면 될 것이다. 필터 수치를 조정할 때는 필터의 농도가 변하기 때문에 이를 보정할 수 있는 노광 시간을 항상 사시 측정하여야 한다. 또한 확대기 헤드의 높이가 변경될 때에도 노광 시간이 보전되어야 한다. 헤드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인화지에 미치는 빛의 양은 감소되기 때문에 노광 시간을 연장해주어야만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