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과학기술행정체계의 일반적 모형
2.미국의 과학기술행정체계
3.영국의 과학기술행정체계
4.일본의 과학기술행정체계
2.미국의 과학기술행정체계
3.영국의 과학기술행정체계
4.일본의 과학기술행정체계
본문내용
구성됨.
(3) 敎育部(DFE) 傘下
- 교육부 산하 과학기술행정기구로는 高等敎育資金委員會가 있고, 이는 1992년 대학 자금위 원회(UFC)와 폴리테크닉자금위원 회(PCFC)가 통합된 것임.
- 교육부 예산을 지원받아 기초분야는 UFC가, 응용분야인 폴리테크닉 및 단과대학은 PCFC가 연 구활동을 지원함.
(4) 其他 行政部署
- 基礎硏究部門에서 硏究會議(RC)들이, 應用硏究部門에서는 貿易産業部, 國防部 등 개 별 부 처들이 과학기술행정을 자신의 책임하에 수행하고 있음.
- 각 부서들은 산하에 독자적인 연구소를 두고 자율적으로 운영하고 있음.
(5) 諮問機構
① 首席科學顧問(CSA)
- CSA는 과학기술관련 문제 및 기타 문제들의 과학기술적인 측면에 대하여 수상과 내각에 諮問 을 제공함.
- 특히 정부의 과학기술투자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며, 각종 부처간 관련회의에 참석하 고, 과학기술 국제협력문제에 영 국을 대표함.
② 科學技術會議(CST)
- CST는 1993년 ACOST의 기능을 발전적으로 승계하면서 출범한 조직임.
- CSA를 보좌해서 首相에 자문, 연구우선순위 결정, 국가과학기술활동 조정, 국제협력 관 련사항 및 연구개발투자의 균형 방향성 전망에 대한 조언.
③ 硏究會議諮問委員會(ABRC)
- ABRC는 연구회의(RC)에 대한 자금배분, 교육기관의 연구활동, 산업계의 연구회의 이 용촉진, 산학공동연구 등에 대한 조언 담 당.
Ⅳ. 日本의 科學技術行政體系
1. 日本의 科學技術行政의 性格
- 일본 과학기술행정체계는 上位에 있는 科學技術會議가 연구 개발정책의 골격을 형성하고 科學技術廳 이 주축이 되어 집행하는 集中型 體系를 추구하고 있으나, 실제 운용은 內閣들이 상당한 권한을 공유하는 折衷型 體系를 이룸.
- 또한 과학기술정책은 공무원 단독으로 결정되지 않고 반드시 産.學.硏의 실무가들이 참 여하는 자문 심의기관을 통해 합동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거침.
- 따라서 정책내용간에 일련의 연계성이 상대적으로 높음.
2. 日本의 科學技術行政體系
(1) 首相諮問 審議機關
① 科學技術會議
- 과학기술행정의 최고 심의 자문기관으로 83년부터 산하에 政策委員會를 둠.
- 首相이 의장으로, 당연직 위원 4명(관방장관 과학기술청장관 일본학술회의 의장 등)을 포함한 10명의 위원으로 구성. 연간 3- 4회 정도 회의 개최.
- 종합적 장기적 과학기술정책의 방향을 설정, 과학기술 일반에 관한 기본적 종합적 정책수 립 등 에 자문 조사 심의. 日本學術會議 등의 건의도 접수.
② 日本學術會議
- 주요 과학기술문제의 토론과 과학기술연구활동의 조정을 통한 효율성 향상.
- 의장은 科學技術會議의 委員이 되며, 首相이나 科學技術會議에 보고서나 건의서 제 출.
(2) 科學技術廳
- 과학기술의 진흥을 통한 국가경제발전과 국민 삶의 질 을 향 상시키는 목표를 갖는 종합과학기술 행정 기구.
- 국가과학기술정책의 틀 형성, 국가과학기술계획 작성, 대규모 연구개발사업(핵에너지 우주 해양 개발 등) 추진, 과학기술 유관 부처와 정책 조정을 담당.
- 산하에는 항공우주연구소, 금속재료기술연구소, 방사선의학종합연구소, 방재과학기술연구 소, 원 자력연구소, 이화학연구소, 과 학기술정책연구소 등이 있음.
(3) 其他 需要部處
① 通産省(MITI)
- 산업발전과 국제무역 개발 촉진의 일환으로 과학기술정책의 수립과 연구개발계획의 집행 기능도 수행.
- 자문기구로 産業技術審議會, 산하에 공업기술원, 특허청, 자원에너지청, 중소기업청 등을 두고 있음. 특히 工業技術院은 16개 의 연구소를 관장함.
② 文部省 등
- 文部省은 국립대학연구소 및 부설연구소, 일본학술진흥회의, 오카자키(岡埼) 공동연구소를 산하 에 두고, 기초과학의 육성정책 을 수립 집행하고 있음.
- 厚生省은 국민의 보건 및 의료기술의 연구 지원을 담당. 산하에 보건과학심의회, 국립보 건위생 원, 국립건강연구소 등 11개 연 구소를 두고 기초연구, 질병예방 치료연구, 생명공학, 약품안정성 연구, 생물자원확보연구 등 지 원.
- 運輸省은 新交通시스템, 新幹線개선, 소음공해 절감, 초전도자기응용분야 등 연구지원하며, 산하 에 기상청과 선박연구소, 항 구 항만연구소, 전자항행연구소, 교통안전 및 장애연구소, 기상연구소 등이 있음.
- 郵政省은 전파규제업무와 통신정책을 수립하면서, 초고속정보통신망 계획인 新社會資本 구상의 계획 추진, 디지털이동통신개 발을 추진하고, 산하에 전기통신기술심의회, 통신총합연구소, 우주개발사업단 등이 있음.♣
(3) 敎育部(DFE) 傘下
- 교육부 산하 과학기술행정기구로는 高等敎育資金委員會가 있고, 이는 1992년 대학 자금위 원회(UFC)와 폴리테크닉자금위원 회(PCFC)가 통합된 것임.
- 교육부 예산을 지원받아 기초분야는 UFC가, 응용분야인 폴리테크닉 및 단과대학은 PCFC가 연 구활동을 지원함.
(4) 其他 行政部署
- 基礎硏究部門에서 硏究會議(RC)들이, 應用硏究部門에서는 貿易産業部, 國防部 등 개 별 부 처들이 과학기술행정을 자신의 책임하에 수행하고 있음.
- 각 부서들은 산하에 독자적인 연구소를 두고 자율적으로 운영하고 있음.
(5) 諮問機構
① 首席科學顧問(CSA)
- CSA는 과학기술관련 문제 및 기타 문제들의 과학기술적인 측면에 대하여 수상과 내각에 諮問 을 제공함.
- 특히 정부의 과학기술투자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며, 각종 부처간 관련회의에 참석하 고, 과학기술 국제협력문제에 영 국을 대표함.
② 科學技術會議(CST)
- CST는 1993년 ACOST의 기능을 발전적으로 승계하면서 출범한 조직임.
- CSA를 보좌해서 首相에 자문, 연구우선순위 결정, 국가과학기술활동 조정, 국제협력 관 련사항 및 연구개발투자의 균형 방향성 전망에 대한 조언.
③ 硏究會議諮問委員會(ABRC)
- ABRC는 연구회의(RC)에 대한 자금배분, 교육기관의 연구활동, 산업계의 연구회의 이 용촉진, 산학공동연구 등에 대한 조언 담 당.
Ⅳ. 日本의 科學技術行政體系
1. 日本의 科學技術行政의 性格
- 일본 과학기술행정체계는 上位에 있는 科學技術會議가 연구 개발정책의 골격을 형성하고 科學技術廳 이 주축이 되어 집행하는 集中型 體系를 추구하고 있으나, 실제 운용은 內閣들이 상당한 권한을 공유하는 折衷型 體系를 이룸.
- 또한 과학기술정책은 공무원 단독으로 결정되지 않고 반드시 産.學.硏의 실무가들이 참 여하는 자문 심의기관을 통해 합동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거침.
- 따라서 정책내용간에 일련의 연계성이 상대적으로 높음.
2. 日本의 科學技術行政體系
(1) 首相諮問 審議機關
① 科學技術會議
- 과학기술행정의 최고 심의 자문기관으로 83년부터 산하에 政策委員會를 둠.
- 首相이 의장으로, 당연직 위원 4명(관방장관 과학기술청장관 일본학술회의 의장 등)을 포함한 10명의 위원으로 구성. 연간 3- 4회 정도 회의 개최.
- 종합적 장기적 과학기술정책의 방향을 설정, 과학기술 일반에 관한 기본적 종합적 정책수 립 등 에 자문 조사 심의. 日本學術會議 등의 건의도 접수.
② 日本學術會議
- 주요 과학기술문제의 토론과 과학기술연구활동의 조정을 통한 효율성 향상.
- 의장은 科學技術會議의 委員이 되며, 首相이나 科學技術會議에 보고서나 건의서 제 출.
(2) 科學技術廳
- 과학기술의 진흥을 통한 국가경제발전과 국민 삶의 질 을 향 상시키는 목표를 갖는 종합과학기술 행정 기구.
- 국가과학기술정책의 틀 형성, 국가과학기술계획 작성, 대규모 연구개발사업(핵에너지 우주 해양 개발 등) 추진, 과학기술 유관 부처와 정책 조정을 담당.
- 산하에는 항공우주연구소, 금속재료기술연구소, 방사선의학종합연구소, 방재과학기술연구 소, 원 자력연구소, 이화학연구소, 과 학기술정책연구소 등이 있음.
(3) 其他 需要部處
① 通産省(MITI)
- 산업발전과 국제무역 개발 촉진의 일환으로 과학기술정책의 수립과 연구개발계획의 집행 기능도 수행.
- 자문기구로 産業技術審議會, 산하에 공업기술원, 특허청, 자원에너지청, 중소기업청 등을 두고 있음. 특히 工業技術院은 16개 의 연구소를 관장함.
② 文部省 등
- 文部省은 국립대학연구소 및 부설연구소, 일본학술진흥회의, 오카자키(岡埼) 공동연구소를 산하 에 두고, 기초과학의 육성정책 을 수립 집행하고 있음.
- 厚生省은 국민의 보건 및 의료기술의 연구 지원을 담당. 산하에 보건과학심의회, 국립보 건위생 원, 국립건강연구소 등 11개 연 구소를 두고 기초연구, 질병예방 치료연구, 생명공학, 약품안정성 연구, 생물자원확보연구 등 지 원.
- 運輸省은 新交通시스템, 新幹線개선, 소음공해 절감, 초전도자기응용분야 등 연구지원하며, 산하 에 기상청과 선박연구소, 항 구 항만연구소, 전자항행연구소, 교통안전 및 장애연구소, 기상연구소 등이 있음.
- 郵政省은 전파규제업무와 통신정책을 수립하면서, 초고속정보통신망 계획인 新社會資本 구상의 계획 추진, 디지털이동통신개 발을 추진하고, 산하에 전기통신기술심의회, 통신총합연구소, 우주개발사업단 등이 있음.♣
키워드
추천자료
A+ 현대사회의 과학기술과 인간(물리학과 생물학 중심으로)
미국의 과학기술정책 조정에 관한 고찰
황우석 사태로 바라본 과학기술자들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
과학기술 및 예술의 역사
(북리뷰)군사과학기술의 이해
북한의 과학기술
지식기반의 확충을 위한 과학기술 정책과제에 관한 연구
과학과교육 탐구학습 STS(과학기술사회)수업, 과학과교육 탐구학습 경험수업, 과학과교육 탐...
과학과수업(교육) STS(과학기술사회)학습, 과학과수업(교육) 현장학습, 과학과수업(교육) 발...
미술관교육(수업)프로그램, 심성계발교육(수업)프로그램, 영재교육(수업)프로그램, STS(과학...
[연계][교육연계]공교육과 사교육의 연계, 영어수업과 이러닝의 연계, 과학기술교육과 인문교...
장애인의 인권침해(인권유린), 언론보도의 인권침해(인권유린), 검찰수사 인권침해(인권유린)...
[인사행정체계 人事行政體系] 인사행정의 체계 - 인사행정의 기능과 환경(인사행정의 내적체...
(A+ 레포트,시험대비) [사회복지와 윤리]과학기술의 진보와 비밀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