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17관의 생황은 12율 정성(正聲)과 네개의 청성(淸聲) 모두 16의 소리와 1개 쓰지 않는 의관(義管)으로 되어 있다. 구멍은 안으로 뚫린 것이 있고 밖으로 뚫린 것도 있으나 반드시 닫아야 소리가 난다. 안법(按法)은 두 손 엄지에서 장지(長指)까지 여섯 손가락을 소리에 따라 여닫는다.
예부터 생황은 그 금속청이 힘들어 해마다 사람을 중국 연경(燕京)에 보내서 사왔는데, 조선 영조(英祖) 19년에야 비로소 악사를 중국에 보내 그 법을 배워 오도록 하였다. 이로써 매년 외국에서 사들이는 폐단은 없어졌으나 그래도 쇠청을 붙여 굳히는 법은 중국의 것을 당해 내지 못했다고 한다. 오늘날에도 생황은 겨우 그 부는 법은 요량하지만, 쇠청의 제작이 여의치 않아 떨치지 못하는 악기로서 지탱되고 있는 형편이다.
예부터 생황은 그 금속청이 힘들어 해마다 사람을 중국 연경(燕京)에 보내서 사왔는데, 조선 영조(英祖) 19년에야 비로소 악사를 중국에 보내 그 법을 배워 오도록 하였다. 이로써 매년 외국에서 사들이는 폐단은 없어졌으나 그래도 쇠청을 붙여 굳히는 법은 중국의 것을 당해 내지 못했다고 한다. 오늘날에도 생황은 겨우 그 부는 법은 요량하지만, 쇠청의 제작이 여의치 않아 떨치지 못하는 악기로서 지탱되고 있는 형편이다.
추천자료
국악 공연 감상문
국악사 시대구분
창작 국악에 대한 고찰
[김영랑][춘향][모란이 피기까지는][끝없는 강물이 흐르네][돌담에 속삭이는 햇발][달]김영랑...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정의, 국악(한국전통음악) 율명과 계이름,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의의...
국악 공연 감상문
국악(한국전통음악) 종류와 특징, 국악(한국전통음악) 관련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의미와 용도,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바른 자세, 국악기(한국...
국악기(한국전통악기) 장구(장고) 유래와 바른자세, 국악기(한국전통악기) 장구(장고) 연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