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음악사 레포트 1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음악사의 흐름
1. 바로크 음악
2. 로코코 음악
3. 고전파 음악
4. 낭만파 음악

. 모짜르트의 생애와 그의 음악 세계
1. 생애
2. 작품

. 정리하며

본문내용

짜르트는 수많은 현악 4중주곡을 이탈리아 여행 당시부터 작곡한 바 있으며 처음부터 요제프 하이든에게서 유익한 자극을 받고있다. 모짜르트는 하이든에게 6곡의 작품을 헌정했는데, 이른바 <하이든 4중주곡>이 그것이다. 그중 <불협화음>이라는 별칭이 붙어있는 현악 4중주 제 19번 C장조(K.V.465)는 귀를 상하게 하는 강한 울림의 서주로 시작되는 틀린 화성법 때문에 이름이 불협화음 또는 대치(對峙) 라고 불린다. 하이든 4중주곡 중에서도 걸작으로 여겨지며 악기 각 개성의 존중, 형식의 확립, 주제 동기의 취급, 대위법적 처리 등 종합적 형식의 통일을 완성한 작품이다.
클래식 名曲 해설 테마 事典, 현대 악보 출판사, 이 용일 황 봉주 편저
, 1986
성악곡 가운데서 중요한 장르는 교회음악이다. 모짜르트는 전반생을 짤쯔부르크 대사교궁정에서 일하는 음악가로서 보냈기 때문에, 교회작품을 작곡할 기회가 많이 있었다. 그 중 생전에 혼혈을 다해 만들려고 했던 불후의 명작, 결국은 제자 쥐스마이어의 손을 빌어 완성시킨 레퀴엠 d단조(K.V.626)
영화에서는 발제크 시투파하 백작이 자신의 작품으로 발표를 하기 위해 그 레퀴엠 을 창탁했던 것으로 나온다. --- 영화 아마데우스 의 자료집, 서울 음반, 1985
도 고전파 시대의 교회음악의 최고봉을 이루고 있다. 이 곡은 짤쯔부르크 시대의 공식적인 스타일에서 멀어졌으며 모짜르트의 개성적인 종교체험의 고백적 색채가 두드러진 것이라 하겠다.
. 정리하며
역시 모짜르트의 음악은 고귀한 기풍이 있으면서도 단정하고 아름다운 동심이 가득하다. 그의 천재성이 드러나는 배경으로는 위에서 지적했다시피 짤쯔부르크의 음악적 환경, 아버지인 레오폴트의 교육적인 배려, 그리고 여행을 통한 음악적 성과를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누나인 나네를과 함께 음악여행을 통해 그의 천재성을 유감없이 발휘한다. 어려서 뿐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도 그는 클라비어나 오르간에서 뛰어난 연주실력을 보여주고 있다. 일례로 모짜르트는 1789년 4월에 Leipzig의 St.Thomas 교회에서 Bach 의 오르간으로 연주했던 일이 있었는데, Bach 의 제자였던 Johann Friedrich Doles는 Mozart의 연주를 듣고 마치 Bach가 무덤에서 환생한 것 같다는 표현으로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Wolfgang Amadeus Mozart 의 오르간 음악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이 한나, 1991
18세기 19세기초 까지의 Wien을 중심으로 고전파 음악이 전성을 이루던 그 당시의 상황에 대해서 다시 한번 살펴보면 먼저 Baroque 시대에는 대위법 양식이 J.S.Bach에 의해 완성이 되었고, 교회선법에서 평균율의 발달로 장단조의 체계가 확립되었고, 舞曲과 多聲音樂이 만들어졌고 특히 fuga가 만들어 졌다. 그러나 고전주의 시대에는 바로크에 이어 단순함을 위한 형식을 중시하는 작품이 생겨났으며 변주곡 형식이 애용되었다. 또한 주선율에 결정적인 주도권을 갖게한 화성적 단성음악인 것, 그리고 셈, 여림의 변화와 조바꿈이 중요시된 것, 아울러 주제의 동기처리에 의한 器樂形式(주로 sonata 형식)의 완성이 창작의 중심을 이룬 것, 균형이 잡힌 형식미 속에서 객관화된 정서가 보편적으로 표현된 것이 고전파 예술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그 속에서 그는 주옥같은 교향곡과 많은 협주곡, 그리고 불후의 명작으로 꼽히는 오페라들을 많이 남겼다. 그의 작품들을 나름대로 평가해보려고 애를 썼으나 필자의 능력을 벗어나는 일이라, 그의 중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음악을 하나 골라 소개를 하는 것으로 대신할까 한다.
Mass c단조(K.V.427)가 바로 그것이다. 밝고 가벼운 대부분의 그의 음악과는 달리 첫 소절부터 압도적이고 극적인 <키리에>는 모짜르트가 지닌 어둡고 심오한 또 하나의 세계를 엿보게 해준다. 모짜르트는 당시에 이미 익숙해진 고전적 양식을 사용하지 않고 어떤 면에서는 구식이었던 J.S.Bach의 대위법 양식에 따라, 강한 리듬적인 동기를 사용하여 관현악과 합창이 교대로 윤창을 하게 한다. 소름끼치는 듯한 어두움을 뚫고 갑자기 구름을 뚫고 나오는 종달새의 지저귐처럼 소프라노가 들려나온다. 이 미완성의 미사곡에는 미스터리가 하나 있다. 이 곡은 원래 1782년 말 무렵에 빈에서 작곡되었는데, 이때는 모짜르트가 짤쯔부르크의 대사교에 대한 봉사를 마친 다음 해로서 그는 교회음악을 작곡할 의무가 없었던 것이다. 아무튼, 이 작품은 그가 죽은 뒤, 모짜르트의 추모자들이 작품을 되살리기 위해 노력한 결실이다.
< 참고 문헌 >
간행물
* 음악 대사전, 음악 대사전 편집 위원회, 신진 출판사(서울), 1973,
Page : 72 75, 159 162, 314 315, 505 507
* 음악 대사전, 세광 출판사(서울), 1982,
Page : 98 101, 206 208, 388 389, 524 550, 611 615, 860
* 음악의 유산 (Heritage of Music) - 6권 오페라의 세기 中, Robert Donington 外 著
박 일충 外 譯 박 용구 外 編, 중앙 일보사(서울), 1986
* GROVE's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 vol. (L M), Eric Blom, 5th ed.,
ST.MARTIN's Press Inc.(N.Y.), 1968, Page : 922 983
* 클래식 名曲 해설 테마 事典, 이 용일 황 용주 편저, 현대 악보 출판사(서울),
1986, Page : 86 102
학위 논문
* W.A.Mozart의 Piano Variation에 對한 考察 -K.V.460 中心 分析-,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 현애, 1985
* Mozart의 Recitative 연구 (Le Nozze di Figaro를 中心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정 미현, 1988
* Wofgang Amadeus Mozart의 오르간 음악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이 한나, 1991
팜플렛
* 영화 아마데우스 의 자료집, 서울 음반, 1985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09.22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8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