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존 케이지 [ Cage, John ]
2. 존 케이지와 우연성음악
3. 디자인 [design]
1) 시각디자인
1> 그래픽심벌
2> 일러스트레이션
2) 제품디자인
1> 공예
2> 공업디자인
3) 환경디자인
4) 현대디자인의 배경
4. 연출이란
5. 마이크로폰
1) 종류
2) 스테레오마이크로폰
3) 특수마이크로폰
6. 동시녹음
2. 존 케이지와 우연성음악
3. 디자인 [design]
1) 시각디자인
1> 그래픽심벌
2> 일러스트레이션
2) 제품디자인
1> 공예
2> 공업디자인
3) 환경디자인
4) 현대디자인의 배경
4. 연출이란
5. 마이크로폰
1) 종류
2) 스테레오마이크로폰
3) 특수마이크로폰
6. 동시녹음
본문내용
장치하고, 이것을 자기장 속에서 진동시켜 코일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형. 무지향성(無指向性)이며, 10Hz 이상의 높은 음역까지 충분한 감도를 가지고 있고, 리본형에 비하여 견고하다. 마이크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고급 아마추어용으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④ 리본형(진동박형):자기장 내에 장치된 금속박(金屬箔) 리본이 음파를 받아서 진동하여 유도전류(誘導電流)를 발생시키는 형. 속도형(velocity microphone)이라고도 한다. 낮은 음역에서 높은 음역까지 고른 감도를 가지며, 1935년경부터 장기간 방송용 마이크로폰으로서 애용되었으나, 1965년경부터 콘덴서 마이크로폰이 나타나 근래에는 사용이 줄고 있다.
따라서 방송에서 인터뷰용 또는 가수의 무대용 리본형은 구조적으로 약간 약하고, 또 그 자석에 철분이 부착되기 때문에 특성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다. 전면과 배면(背面)에 감도를 갖는 쌍지향성 또는 전면방향만의 단일지향성의 것이 있다. ⑤ 콘덴서형(축전기형):지름 10~20mm의 얇은 진동막에 같은 모양의 고정전극을 근소한 간격으로 마주 보게 하고 콘덴서를 형성시킨 것. 음파에 의한 막의 진동은 정전용량의 변화로 전환된다. 따라서 원리적으로 콘덴서에 전압을 걸어 주기 위한 직류 전원이 필요하다.
그래서 종래에는 음악용의 주 마이크로폰에 사용되는 정도였으나 고체회로가 발달됨에 따라 이것을 마이크 내에 내장시켜 소형전지로 장시간 작동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방송용 마이크로폰에 많이 쓰인다. 보통 무지향성인 것과 가변지향성인 두 가지가 있다. 또한 압력형 콘덴서 마이크로폰으로서 대량 생산되고 있고,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리코더에 내장되기 시작한 것에 일렉트릿(electret:반영구적인 전하를 지닌 재료) 콘덴서 마이크로폰 등이 있다. 이 방식은 바이어스 전원이 필요 없으므로 전치(前置)증폭기가 간단해지는 동시에 저렴한 가격으로 성능을 좋게 할 수 있다. 초소형 일렉트릿 마이크로폰은 넥타이 또는 옷깃에 부착하여 텔레비전 대담 프로그램에 많이 이용된다. ⑥ 반도체형 마이크로폰:기계적인 힘에 따라서 전기저항이 변화하는 응력 반도체를 사용한 것. 마이크로폰 자체를 소형·경량으로 만들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접화(接話) 마이크로폰(입에 가까이 대고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등에 사용된다.
2. 스테레오마이크로폰
스테레오음(音)을 수음(受音)하기 위해서는 2개의 마이크로폰을 20∼30cm 거리에 접근시켜 놓고 그 주축방향을 적당한 각도로 하여 수음한다. 2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동일한 축상에 상·하로 매우 접근시켜서 배치하고, 그 최대감도 방향을 다르게 하는 LR방식과 2개의 마이크로폰 중 한쪽을 주 마이크로폰으로 하여 그 지향성을 음원 쪽으로 향하게 하고, 다른 마이크로폰을 쌍지향성으로 하여 주 마이크로폰의 지향성에 직각으로 교차하게 한 MS방식도 있다.
3. 특수마이크로폰
특수 마이크로폰으로는 수중(水中) 마이크로폰이 있다. 수중 마이크로폰은 수압에 따른 음향특성의 변화라든지 변형·침수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므로 일반 마이크로폰과는 달리 보통 압전형(壓電型)·자기변형형(磁氣變形型)이 사용되고 있다. 가청 주파수에서 평탄한 감도특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특정한 초음파에 강하게 감응하도록 만들어져서 측심기 또는 어군탐지기에 이용된다. 이 밖에 심장이나 대혈관에 발생하는 신체 내의 소리를 받아서 심장판막증이나 선천성 심장질환 등의 진단에 사용되는 심음(心音)마이크로폰과 카테테르의 선단에 부착하여 심장 내부에까지 삽입하는 특수한 것, 또 태아의 심음청취를 목적으로 하는 것 등이 있다.
동시녹음 [同詩錄音, synchronous recording]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동안 현장에서 영상 녹화와 동시에 음성을 녹음하는 방식.
동시녹음은 현장성을 높이거나 자연음의 효과를 그대로 살리기 위해 뉴스 ·인터뷰 ·드라마를 제작할 때 사용한다. 영화의 경우, 영상을 녹화하는 필름의 한쪽 가장자리에 자기(磁氣) 코팅을 한 필름을 사용하여 음성을 동시에 수록하는 COMMAG 방식, 음성트랙에 광학적으로 녹음하는 COMOPT 방식, 필름이 아닌 별도 자기테이프를 사용하여 녹음하는 SEPMAG 방식으로 분류된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경우, 일체형 비디오카메라가 개발되면서 한 비디오테이프에 음성녹음과 영상녹화를 동시에 할 수 있어서 비디오테이프에 녹화되는 영상과 전자적으로 동기(同期)를 맞추어 편리하게 음성을 동시녹음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에서 인터뷰용 또는 가수의 무대용 리본형은 구조적으로 약간 약하고, 또 그 자석에 철분이 부착되기 때문에 특성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다. 전면과 배면(背面)에 감도를 갖는 쌍지향성 또는 전면방향만의 단일지향성의 것이 있다. ⑤ 콘덴서형(축전기형):지름 10~20mm의 얇은 진동막에 같은 모양의 고정전극을 근소한 간격으로 마주 보게 하고 콘덴서를 형성시킨 것. 음파에 의한 막의 진동은 정전용량의 변화로 전환된다. 따라서 원리적으로 콘덴서에 전압을 걸어 주기 위한 직류 전원이 필요하다.
그래서 종래에는 음악용의 주 마이크로폰에 사용되는 정도였으나 고체회로가 발달됨에 따라 이것을 마이크 내에 내장시켜 소형전지로 장시간 작동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방송용 마이크로폰에 많이 쓰인다. 보통 무지향성인 것과 가변지향성인 두 가지가 있다. 또한 압력형 콘덴서 마이크로폰으로서 대량 생산되고 있고,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리코더에 내장되기 시작한 것에 일렉트릿(electret:반영구적인 전하를 지닌 재료) 콘덴서 마이크로폰 등이 있다. 이 방식은 바이어스 전원이 필요 없으므로 전치(前置)증폭기가 간단해지는 동시에 저렴한 가격으로 성능을 좋게 할 수 있다. 초소형 일렉트릿 마이크로폰은 넥타이 또는 옷깃에 부착하여 텔레비전 대담 프로그램에 많이 이용된다. ⑥ 반도체형 마이크로폰:기계적인 힘에 따라서 전기저항이 변화하는 응력 반도체를 사용한 것. 마이크로폰 자체를 소형·경량으로 만들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접화(接話) 마이크로폰(입에 가까이 대고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등에 사용된다.
2. 스테레오마이크로폰
스테레오음(音)을 수음(受音)하기 위해서는 2개의 마이크로폰을 20∼30cm 거리에 접근시켜 놓고 그 주축방향을 적당한 각도로 하여 수음한다. 2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동일한 축상에 상·하로 매우 접근시켜서 배치하고, 그 최대감도 방향을 다르게 하는 LR방식과 2개의 마이크로폰 중 한쪽을 주 마이크로폰으로 하여 그 지향성을 음원 쪽으로 향하게 하고, 다른 마이크로폰을 쌍지향성으로 하여 주 마이크로폰의 지향성에 직각으로 교차하게 한 MS방식도 있다.
3. 특수마이크로폰
특수 마이크로폰으로는 수중(水中) 마이크로폰이 있다. 수중 마이크로폰은 수압에 따른 음향특성의 변화라든지 변형·침수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므로 일반 마이크로폰과는 달리 보통 압전형(壓電型)·자기변형형(磁氣變形型)이 사용되고 있다. 가청 주파수에서 평탄한 감도특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특정한 초음파에 강하게 감응하도록 만들어져서 측심기 또는 어군탐지기에 이용된다. 이 밖에 심장이나 대혈관에 발생하는 신체 내의 소리를 받아서 심장판막증이나 선천성 심장질환 등의 진단에 사용되는 심음(心音)마이크로폰과 카테테르의 선단에 부착하여 심장 내부에까지 삽입하는 특수한 것, 또 태아의 심음청취를 목적으로 하는 것 등이 있다.
동시녹음 [同詩錄音, synchronous recording]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동안 현장에서 영상 녹화와 동시에 음성을 녹음하는 방식.
동시녹음은 현장성을 높이거나 자연음의 효과를 그대로 살리기 위해 뉴스 ·인터뷰 ·드라마를 제작할 때 사용한다. 영화의 경우, 영상을 녹화하는 필름의 한쪽 가장자리에 자기(磁氣) 코팅을 한 필름을 사용하여 음성을 동시에 수록하는 COMMAG 방식, 음성트랙에 광학적으로 녹음하는 COMOPT 방식, 필름이 아닌 별도 자기테이프를 사용하여 녹음하는 SEPMAG 방식으로 분류된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경우, 일체형 비디오카메라가 개발되면서 한 비디오테이프에 음성녹음과 영상녹화를 동시에 할 수 있어서 비디오테이프에 녹화되는 영상과 전자적으로 동기(同期)를 맞추어 편리하게 음성을 동시녹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