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및 개혁운동가로써의 공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공자의 덕치주의
1. 공자의 덕치주의와 법치주의의 차이
2. 공자의 덕치주의는 개인의 양심을 바탕으로
3. 공자의 덕치주의는 상호 이해를 기본으로

Ⅲ. 공자의 개혁운동
1. 개혁운동에 대한 열의
2. 개혁 운동의 실패

Ⅳ. 공자의 개혁운동과 현재의 개혁

본문내용

기사는 없으므로 어쩌면 스스로 노나라를 떠났을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국제적인 지식을 갖춘 공자이므로 동 시대의 열국의 내치 외교는 잘 터득하고 있었다. 어느 나라든 임금은 무력화되고 귀족들의 과두 정치로 바뀌고 있었다. 노나라에서는 실패했지만 다른 열국에서는 호족을 배격하여 국권을 회복하고 이상적인 국가를 건설하고 싶어 하였을 것이다.
Ⅳ. 공자의 개혁운동과 현재의 개혁
공자의 개혁운동과 현재의 개혁에서 유사점을 찾기는 사실 힘들다. 그러나 본인은 공자의 개혁운동과 현재의 개혁에 있어서 몇 가지 유사점을 찾아 보고자 한다.
첫째, 공자는 덕치주의를 통하여 정치·사회·문화의 기본적인 모순을 해결하려 하였다. 현재의 개혁에 있어서도 이러한 공자의 덕치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현대 사회는 법과 제도가 발전한 사회이다. 이러한 법과 제도는 어떠한 구속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속력이 해소되었을 때는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법과 제도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악용될 수 있다. 때문에 현대에 들어와서는 법과 제도를 한계성을 이용한 법죄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자의 덕치주의적인 기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공자는 삼환씨를 제거하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현재의 우리에게도 삼환씨의 같은 존재들이다. 그들은 바로 국민의 세금을 포탈하고 법죄를 자행하는 국회의원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이러한 법죄를 자행한 이후에도 반성보다는 또 다른 세금 포탈과 법죄를 자행하고 있다. 비록 공자는 삼환씨를 제거하는데 실패하였지만 우리는 이러한 존재들을 하루 빨리 사회에서 매장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공자는 제자들을 많이 키웠다. 또한 사회적 혼란속에서도 개혁을 요구하였다. 현재의 개혁에 있어서도 공자와 제자들과 같은 개혁가들이 많이 속출하여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은 상황속에서는 국민의 정치적 무관심을 해결할 수 없으면 우리나라의 민주화는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인재들을 통하여 계속적인 개혁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이 공자의 개혁사상을 현재와 접목시켜 보았다. 비록 약간의 억지성을 하지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혀 유사성이 없는 것은 아닐 것이다. 물론 최근에 공자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본인의 생각하기에는 공자를 하나의 인간이자, 정치가로 생각하기보다 공자를 유교라는 하나의 사상의 창시자로 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인은 공자를 한 사람의 인간이자, 정치가로 보고 싶다. 왜냐하면 공자를 인간이자, 정치가로 보았을 때 공자의 사상은 사회적 혼란에 대한 개혁가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정치가로써 공자는 인간의 기본적인 올바른을 통하여 사회의 개혁을 추구하였고 이를 추구하기 위하여 현실과 대적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공자는 그의 제자들의 통하여 당시의 실패를 보다 점진적으로 인식하여 발전해 나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이나 사람들이 논어(論語)라는 책을 탐독하는 것을 통하여 알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9.26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3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