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된 교회의 본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서 론

1.문제의 제기
2.연구의 과제와 범위

II.참된 교회의 본질과 형태

- {성도의 교제}를 중심으로 -

1.교회이해를 위한 전제들
1)그리스도교의 인격 개념
2)본래의 공동체와 경험적 공동체
2.성도들의 교제로서의 교회존재
1)신약성서의 교회 개념
2)그리스도와 교회
3)성령과 그리스도의 교회
3.교회의 경험적 형태

III.제자 공동체로서의 교회

1.역사적 상황과 신학적 동기
1)역사적 상황
2)신학적 동기
2.제자됨과 신도의 공동생활

IV.성숙한 세계 속에서의 남들을

위한 교회

1.세상 안의, 세상을 위한 교회
1)세상 안에 있는 교회 - 세상과 적극적인 관계로서
-- i --
2)세상을 위한 교회

V.결 론

본문내용

로 『성도의 교제』에서부터 『옥중서간』까지
이어지는 총체개념 또는 대리행동의 사상이다.본회퍼가 그리스도의 인격
개념을 나와 너의 책임적인 관계로 보았다. 또한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대리 행동을 가리켜서 진정한 대리행동의 본질이라고 하였다.그리고 『윤
리』에서 그는 교회는 세상에 대해 이중의 대리관계(책임)속에 있다고 설
명하면서 세상에 대한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책임을 강조했다. 개교회
중심주의와 개인주의가 팽배해 있는 오늘 날의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들
본회퍼의 이러한 주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또한 본회퍼의 삶을
본받아야 할 것이다.
한국교회는 그간 빠르게 성장해 오면서 사회에 많은 변화를 일으켜 온
것이 사실이다. 이외에도 한국교회에는 많은 긍정적인 측면들이 있다.특
히 기도의 열심,높은 집회 출석율 등은 종은 장점들이다. 그러고 지금의
한국교회는 이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성숙한 교회로 발전해 나가야 한
다.본회퍼의 교회론은 이러한 점에서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
1)박대인, 한국 개신교 100년에 대한 반성 , 『기독교 사상』,
(1984년 12월), PP.82-83
2)한완상, 한국교회는 과연 누룩이 될 수 있는가? , 『기독교 사상』,
(1987년 3월), P.45
3)은준관, 한국교회 이대로 좋은가? , 『전환기에 선 한국교회와 신학』,
(서울:양서각, 1988), PP.28-29
4)서광선, 본회퍼와 한국신학 , 『신학사상』, (1986년 겨울), P.848
-- 32 --
Hoekenijk.j.c, The Church Inside out, 이계준 역, 「흩어지는 교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1985
Kung.Hans, Was ist Kirche?, 이홍근 역, 「교회란 무엇인가?」,
분도출판사, 1991
배한국 역, 「본회퍼의 사상」, 서울: 컨콜디아사, 1990
Huber.Wolfang.Kirche, 이신건 역, 「교회」, 서울:한국신학연구소, 1990
박봉랑, 「기독교의 비종교화」, 서울:범문사, 1975
「교의학 방법론 II」,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90
박순경, 「하나님 나라와 민족의 미래」,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84
은준관, 한국교회 이대로 좋은가? ,「전환기에 선 한국교회와 신학」,
서울:양서각, 1988
이만열, 한국교회는 어디로? , 「한국교회와 신학은 어디로?」,
서울:기독교학술원, 1988
이형기, 「교회와 사회」, 서울:장로회 신학부대학출판부, 1987
안병무, 자유를 추구한 교회들:니치스의 독재와 발멘선언 ,
「기독교 사상」,(1971년 3월), PP.66-69
정양모, 한국사회의 종교적 정신적 위기 , 「신학사상」,
(1991년 봄), P.131
한상완, 한국교회는 과연 누룩이 될 수 있는가? ,「기독교 사상」,
(1987년 3월), PP.35-45
현재규, 「본회퍼의 교회론」,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장로회 신학대학 신학대학원, 1989
권영호, 「본회퍼의 제자직」,미간행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 신학대학원, 1988
나학진, 신앙과 세상성의 역설 D.Bonhoeffer, 「인간과 미래」4집,
(1976), PP.39-57
박대인, 한국 개신교 100년에 대한 반성 , 「기독교 사상」,
(1984년 12월), PP.78-88
박재순, 본회퍼의 교회이해 , 「신학사상」, (1986년 겨울), PP.763-762
서광선, 본회퍼의 한국신학 , 「신학사상」, (1986년 겨울), PP.832-850
-- 33 --
차 례
I.서 론 ----------------------------------------------1
1.문제의 제기 --------------------------------------------------1
2.연구의 과제와 범위 -------------------------------------------3
II.참된 교회의 본질과 형태------------4
- 『성도의 교제』를 중심으로 -
1.교회이해를 위한 전제들 ---------------------------------------4
1)그리스도교의 인격 개념 -------------------------------------4
2)본래의 공동체와 경험적 공동체 ------------------------------6
2. 성도들의 교제'로서의 교회존재 -------------------------------10
1)신약성서의 교회 개념 ---------------------------------------10
2)그리스도와 교회 --------------------------------------------12
3)성령과 그리스도의 교회 -------------------------------------14
3.교회의 경험적 형태 -------------------------------------------17
III.제자 공동체로서의 교회------------19
1.역사적 상황과 신학적 동기 ------------------------------------19
1)역사적 상황 ------------------------------------------------19
2)신학적 동기 ------------------------------------------------21
2.제자됨과 신도의 공동생활 -------------------------------------22
IV.성숙한 세계 속에서의 남들을
위한 교회 ---------------------------------------24
1.세상 안의, 세상을 위한 교회 ----------------------------------24
1)세상 안에 있는 교회 - 세상과 적극적인 관계로서 -------------24
-- i --
2)세상을 위한 교회 -------------------------------------------25
V.결 론 ------------------------------------30
참고 문헌 ------------------------------------------------------33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02.09.28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5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