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어원적 고찰과 성경적 이해
1. 어원적 고찰
2. 구약에 나타난 교회의 이해
3. 신약에 나타난 교회의 이해
Ⅱ. 20세기 신학자들의 이해
1. 칼바르트의 이해
2. 한스 큉의 이해
Ⅲ. 교회성장의 종류와 원리들.
1. 교회 성장의 종류
2. 교회성장의 원리들
Ⅳ. 결 론
1. 어원적 고찰
2. 구약에 나타난 교회의 이해
3. 신약에 나타난 교회의 이해
Ⅱ. 20세기 신학자들의 이해
1. 칼바르트의 이해
2. 한스 큉의 이해
Ⅲ. 교회성장의 종류와 원리들.
1. 교회 성장의 종류
2. 교회성장의 원리들
Ⅳ. 결 론
본문내용
물보다 교역에 둔다.
(4) 시설설비의 원리: 건축과 건물관리에 많은 에산을 사용하지 않고 성령의 교통을 중요시하므로 소박한일면을 보여준다.
(5) 사역의 원리
1 은사의 발견과 사용에 우선권 부여
2 목회는 기능상 전 신자에게 속한 것이다.
3 새 목회는 교인들에 의하여 발기되어진다.
(6) 기독교 교육의 원리
1 가정은 하나님의 신학교이다.
2 어린이들보다 가족에게 접근하라.
3 교회학교는 신자를 위한 신병 훈련소이다.
4 지체의 성장은 개인의 성장보다 더욱 가시적이다.
(7) 에큐메니즘의 원리: 연합운동에 있어 가시적인 합동 이전에 영적 일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8) 전도의 원리
1 강단을 통한 전도보다 지체를 통한 전도에 우선권을 부여한다.
2 가정 성경공부는 복음 전도의 모델이다.
) Elmer L. Towns & John N. Vaughan & David J. Seifert, The Complete Book of Church Growth (Wheaton, Tyndale Publishing House,1982), pp.1-138.
Ⅳ. 결 론
오늘날 교회가 주위와 세계를 품어야 하는 막중한 사명에도 불구하고 사회봉사를 외면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다면 하나님이 명령하시고 성서가 증거하며 교회에 있어 선교의 핵심인 사랑 즉 이웃사랑을 교회는 어떻게 실천하며 구체화시킬 것인가? 지극히 작은 자와 자기를 동일시하는 예수님의 가르침이 하나님 사랑의 구체적 표현이라면 하나님 사랑의 종교적 차원과 이웃사랑이라는 윤리적 차원이 하나의 통일된 차원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오늘의 교회는 어떻게 임해야 할까? 먼저 로마 카톨릭 신학자인 델레스는 현대교회의 다섯가지 모델을 제시하는데, 첫째, 지도자로서의 교회, 둘째, 신비적 단체로서의 교회, 셋째, 성례전으로서의 교회, 넷째, 보도자로서의 교회,다섯째, 종으로서의 교회이다. 이 중 마지막의 내용이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비교적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은혜의 중재자로 또는 권위있는 메시지를 선포하는 자로서의 교회를 강조하는 대신에 교회를 섬김의 도구로 이해하고 있는 점이다. 델레스의 이러한 신학의 전망에서 교회의 사명은 그들이 어디서 있든지 모든 사람을 도와야 하며 사람들로 하여금 서로 화해하고 여러방법을 통해 그들을 하늘나라에 초대하는 것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 하워드 그림스, 변천하는 목회의 유형. pp.55-58,
첫째는 종으로서의 교회의 모델로 바꾸어져야 하며, 둘째로 이제 교회는 어떤 상황하에서도 그 입장을 분명히 해야 할 시기가 왔으며 어떤 특정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뒷받침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특히 교회에서 채택하는 봉사나 각종 활동의 과정이 좀 더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추진될수있도록 확실한 대안이 세워져야한다. 셋째로 지난날의 교회가 주님의 이름으로 취하기만 하였다면 오늘날의 교회는 주님의 이름으로 베풀 줄 아는 교회가 되어야겠다. 성결하고 진실할뿐 아니라 사랑과 봉사의 뜨거운 손길이 세상 곳곳에 미치는 교회, 그것이 오늘날 요구하는 교회의 모습이어야 한다. 이 위대한 사랑과 과제 앞에 교회는 떨리는 마음으로 서서 십자가를 지는 심정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진 인류사회가 천국임을 믿으며 그 나라의 실현을 위해 매진해야한다. 넷째로, 교회의 방향은 나 혼자만의 것이 아니라 교인 전체가 그 부르심의 분량대로 참여할 수 있도록 신학적인 의미 뿐만 아니라 교회체제를 변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즉 평신도들과 목회자와 함께 목회자를 위해서 목회자들과 더불어 하나님과 세계를 향해서 선교에 동참할 수 있다는 체계로 신앙적 전통을 거쳐서 선교의 문제를 바꾸어 나가야 할 것이다.
(4) 시설설비의 원리: 건축과 건물관리에 많은 에산을 사용하지 않고 성령의 교통을 중요시하므로 소박한일면을 보여준다.
(5) 사역의 원리
1 은사의 발견과 사용에 우선권 부여
2 목회는 기능상 전 신자에게 속한 것이다.
3 새 목회는 교인들에 의하여 발기되어진다.
(6) 기독교 교육의 원리
1 가정은 하나님의 신학교이다.
2 어린이들보다 가족에게 접근하라.
3 교회학교는 신자를 위한 신병 훈련소이다.
4 지체의 성장은 개인의 성장보다 더욱 가시적이다.
(7) 에큐메니즘의 원리: 연합운동에 있어 가시적인 합동 이전에 영적 일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8) 전도의 원리
1 강단을 통한 전도보다 지체를 통한 전도에 우선권을 부여한다.
2 가정 성경공부는 복음 전도의 모델이다.
) Elmer L. Towns & John N. Vaughan & David J. Seifert, The Complete Book of Church Growth (Wheaton, Tyndale Publishing House,1982), pp.1-138.
Ⅳ. 결 론
오늘날 교회가 주위와 세계를 품어야 하는 막중한 사명에도 불구하고 사회봉사를 외면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다면 하나님이 명령하시고 성서가 증거하며 교회에 있어 선교의 핵심인 사랑 즉 이웃사랑을 교회는 어떻게 실천하며 구체화시킬 것인가? 지극히 작은 자와 자기를 동일시하는 예수님의 가르침이 하나님 사랑의 구체적 표현이라면 하나님 사랑의 종교적 차원과 이웃사랑이라는 윤리적 차원이 하나의 통일된 차원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오늘의 교회는 어떻게 임해야 할까? 먼저 로마 카톨릭 신학자인 델레스는 현대교회의 다섯가지 모델을 제시하는데, 첫째, 지도자로서의 교회, 둘째, 신비적 단체로서의 교회, 셋째, 성례전으로서의 교회, 넷째, 보도자로서의 교회,다섯째, 종으로서의 교회이다. 이 중 마지막의 내용이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비교적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은혜의 중재자로 또는 권위있는 메시지를 선포하는 자로서의 교회를 강조하는 대신에 교회를 섬김의 도구로 이해하고 있는 점이다. 델레스의 이러한 신학의 전망에서 교회의 사명은 그들이 어디서 있든지 모든 사람을 도와야 하며 사람들로 하여금 서로 화해하고 여러방법을 통해 그들을 하늘나라에 초대하는 것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 하워드 그림스, 변천하는 목회의 유형. pp.55-58,
첫째는 종으로서의 교회의 모델로 바꾸어져야 하며, 둘째로 이제 교회는 어떤 상황하에서도 그 입장을 분명히 해야 할 시기가 왔으며 어떤 특정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뒷받침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특히 교회에서 채택하는 봉사나 각종 활동의 과정이 좀 더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추진될수있도록 확실한 대안이 세워져야한다. 셋째로 지난날의 교회가 주님의 이름으로 취하기만 하였다면 오늘날의 교회는 주님의 이름으로 베풀 줄 아는 교회가 되어야겠다. 성결하고 진실할뿐 아니라 사랑과 봉사의 뜨거운 손길이 세상 곳곳에 미치는 교회, 그것이 오늘날 요구하는 교회의 모습이어야 한다. 이 위대한 사랑과 과제 앞에 교회는 떨리는 마음으로 서서 십자가를 지는 심정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진 인류사회가 천국임을 믿으며 그 나라의 실현을 위해 매진해야한다. 넷째로, 교회의 방향은 나 혼자만의 것이 아니라 교인 전체가 그 부르심의 분량대로 참여할 수 있도록 신학적인 의미 뿐만 아니라 교회체제를 변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즉 평신도들과 목회자와 함께 목회자를 위해서 목회자들과 더불어 하나님과 세계를 향해서 선교에 동참할 수 있다는 체계로 신앙적 전통을 거쳐서 선교의 문제를 바꾸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