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후기 산업사회의 5가지 특징 ( H. Cox )
2 후기 산업 사회의 문제
2 후기 산업 사회의 문제
본문내용
-▶ 정치, 사회, 경제, 종교 면에서 다른 국가와 매우 차별적이었다.
1. 神 : 야훼
+--히브리의 : 약한 자, 노예의 , 의 모성적 사랑을 알 수 있다.
+이동하시는 : 신관에 있어서의 전향성을 보인다.
※ 참고) 종교학에서 보는 신의 관점
+ 국지신 (局地神) : 원시 자연종교들의 신. 성전에 국한되어 존재.
| 따라서 성전을 관할하는 지배자가 종교 장악
| -▶ 지배자의 종교
| 공간의 종교 -▶ 자연 순환 (풍요다산)
+ 이동신 (移動神) : 야훼 하나님.
성전 대신 이동가능한 성막이 있음.
따라서 공동체와 더불어 이동, 그와 함께 존재
-▶ 공동체 중심 (공의, 평등 중시)
시간의 종교 -▶ 역史
2. 제사
: 전제조건 - 사제 (제사장) 계급의 존재
: 제사장 계급에서의 전향성.
·제정일치 사회 - 제사장과 통치자의 결합으로 사제계급이 모든 권력을 장악할 수 있다.
그 권력을 이용해 모든 토지 독점 : 당시 농경 사회의 근본적 모순
·이스라엘
+- 제사장 계급 : 아론과 모세의 레위지파. 참고) 이스라엘에는 12지파가 있음.
+- 사제 계급으로서의 특권과 기득권 포기
: 가나안 정착 후 토지 분배時 제외됨. 나머지 11지파에게만 분배.
-▶ 후에 천민, 要구호 대상자가 됨.
: 당시로선 엄청나게 혁명적이고 전향적인 사건으로 농경사회의 근본적 모순을 해결했다.
: 제사의 종류
+ 번(燔)제 : 짐승을 잡아 태워서 제사 - sacrifice.
+ 소(素)제 : 곡식을 드려서 제사 - offering.
: 제사의 의미
① 신의 식물(食物) : 실제로는 사제계급이 취한다.
② 신에게 드리는 선물-공물, 공납의 형태로- 역시 사제 계급이 취한다.
※ ①,②는 당시 원시 종교의 평균적 의식으로, 성경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③ 속죄의 의미 - 히브리에서 가장 발달
: 유월절 기념 해방 제사 -▶ 공동체적인 해방의 사건.
④ 친교의 수단 (화목제)
- 신과의 바른 관계를 맺기 위한 제사
- 역사적 기원 : 시내산 계약을 기념
※ Point : 십일조 - 히브리에선 공물, 공납대신 십일조를 드리게 함.
·십일조:1/10, 공물,공납:1/3
·의의 : ① 제사장 계급의 생계 유지 수단
② 축제의 비용으로 사용
③ 빈자를 구제하는 데 사용
---▶ 사회보장제도의 일환.
④ 흠없는 것으로 드리게 함
---▶ 깨끗하고 청렴한 소득 강조
3. 성전
: 초기에는 '성막'만 존재 -▶ 솔로몬 시대에 최초로 건립.
: 성전 건축을 은 반대하셨다. - 히브리의 종교는 성전 중심의 종교가 아니었다.
-▶ 성전을 지음으로써 이스라엘의 전향적 의식이 평균적 의식으로 전도되고 만다.
: '교회'의 의미 - Ecclesia : '회중'이라는 뜻 -▶ 건물이 아닌 '공동체'를 나타냄.
4. 율법
+ 시내산 계약 법전 (출애굽기) - 십계명이 핵심.
+ 신명기 법전
+ 성결 법전 (레위기)
※ Point : 신명기 법전 - 약자 보호, 권리 강화에 대한 율법
1) 약자 보호
:·추수時 떨어진 이삭을 내 버려 두어
빈민들이 주워 갈 수 있도록 하자.
·낫이나 바구니를 써서 남의 곡식을 추수하는 것은 안 되지만
배가 고파서 손으로 잘라 먹는 것은 허용
·품삯은 제때 주도록 함
·이자와 장리
(곡식을 빌려서 추수시 갚을 때 내는 이자)를 받지 말라.
2) 약자의 권리 강화.
- 안식년 : 모든 채무 면제, 노예 해방 (7년마다)
- 희년 : 채무 면제, 노예 해방, 가옥과 토지를 원 소유주에게 반환
+▶ 50년마다
대폭적인 경제 개혁 - 빈부의 격차 해소
이스라엘 같은 계약 공동체에서만 가능.
written by : '93 김지훈
1. 神 : 야훼
+--히브리의 : 약한 자, 노예의 , 의 모성적 사랑을 알 수 있다.
+이동하시는 : 신관에 있어서의 전향성을 보인다.
※ 참고) 종교학에서 보는 신의 관점
+ 국지신 (局地神) : 원시 자연종교들의 신. 성전에 국한되어 존재.
| 따라서 성전을 관할하는 지배자가 종교 장악
| -▶ 지배자의 종교
| 공간의 종교 -▶ 자연 순환 (풍요다산)
+ 이동신 (移動神) : 야훼 하나님.
성전 대신 이동가능한 성막이 있음.
따라서 공동체와 더불어 이동, 그와 함께 존재
-▶ 공동체 중심 (공의, 평등 중시)
시간의 종교 -▶ 역史
2. 제사
: 전제조건 - 사제 (제사장) 계급의 존재
: 제사장 계급에서의 전향성.
·제정일치 사회 - 제사장과 통치자의 결합으로 사제계급이 모든 권력을 장악할 수 있다.
그 권력을 이용해 모든 토지 독점 : 당시 농경 사회의 근본적 모순
·이스라엘
+- 제사장 계급 : 아론과 모세의 레위지파. 참고) 이스라엘에는 12지파가 있음.
+- 사제 계급으로서의 특권과 기득권 포기
: 가나안 정착 후 토지 분배時 제외됨. 나머지 11지파에게만 분배.
-▶ 후에 천민, 要구호 대상자가 됨.
: 당시로선 엄청나게 혁명적이고 전향적인 사건으로 농경사회의 근본적 모순을 해결했다.
: 제사의 종류
+ 번(燔)제 : 짐승을 잡아 태워서 제사 - sacrifice.
+ 소(素)제 : 곡식을 드려서 제사 - offering.
: 제사의 의미
① 신의 식물(食物) : 실제로는 사제계급이 취한다.
② 신에게 드리는 선물-공물, 공납의 형태로- 역시 사제 계급이 취한다.
※ ①,②는 당시 원시 종교의 평균적 의식으로, 성경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③ 속죄의 의미 - 히브리에서 가장 발달
: 유월절 기념 해방 제사 -▶ 공동체적인 해방의 사건.
④ 친교의 수단 (화목제)
- 신과의 바른 관계를 맺기 위한 제사
- 역사적 기원 : 시내산 계약을 기념
※ Point : 십일조 - 히브리에선 공물, 공납대신 십일조를 드리게 함.
·십일조:1/10, 공물,공납:1/3
·의의 : ① 제사장 계급의 생계 유지 수단
② 축제의 비용으로 사용
③ 빈자를 구제하는 데 사용
---▶ 사회보장제도의 일환.
④ 흠없는 것으로 드리게 함
---▶ 깨끗하고 청렴한 소득 강조
3. 성전
: 초기에는 '성막'만 존재 -▶ 솔로몬 시대에 최초로 건립.
: 성전 건축을 은 반대하셨다. - 히브리의 종교는 성전 중심의 종교가 아니었다.
-▶ 성전을 지음으로써 이스라엘의 전향적 의식이 평균적 의식으로 전도되고 만다.
: '교회'의 의미 - Ecclesia : '회중'이라는 뜻 -▶ 건물이 아닌 '공동체'를 나타냄.
4. 율법
+ 시내산 계약 법전 (출애굽기) - 십계명이 핵심.
+ 신명기 법전
+ 성결 법전 (레위기)
※ Point : 신명기 법전 - 약자 보호, 권리 강화에 대한 율법
1) 약자 보호
:·추수時 떨어진 이삭을 내 버려 두어
빈민들이 주워 갈 수 있도록 하자.
·낫이나 바구니를 써서 남의 곡식을 추수하는 것은 안 되지만
배가 고파서 손으로 잘라 먹는 것은 허용
·품삯은 제때 주도록 함
·이자와 장리
(곡식을 빌려서 추수시 갚을 때 내는 이자)를 받지 말라.
2) 약자의 권리 강화.
- 안식년 : 모든 채무 면제, 노예 해방 (7년마다)
- 희년 : 채무 면제, 노예 해방, 가옥과 토지를 원 소유주에게 반환
+▶ 50년마다
대폭적인 경제 개혁 - 빈부의 격차 해소
이스라엘 같은 계약 공동체에서만 가능.
written by : '93 김지훈
추천자료
(사회복지개론) 산업복지
(사회복지) 산업 복지
[실버산업]고령화사회 보훈대상자를 위한 실버타운사업의 방향성 모색
현대사회 특성이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산업혁명과 시민혁명이 사회복지에 끼친 영향
산업화 이후 사회복지사가 등장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에 대해서 논하시오
산업화 이후 사회복지사 등장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에 대해서 논하시오
산업입지(산업입지정책)의 개념, 산업입지(산업입지정책)의 유형, 산업입지(산업입지정책)의 ...
[사회복지개론] 교정복지와 산업복지 및 군사회복지에 대한 이해와 정리
산업재해보상보험법(사회서비스법, 산업재해보상, 산재보험, 사회복지법제론, 남기민저, 공동...
[노인복지론] 실버산업은 노인과 관련된 유·무형의 산업을 의미하는데 대표적인 고령사회인 ...
사회보장제도(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연금제도, 국민건강보험제도, 고용보험제도, 노인장기요...
[사회복지법제연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