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II. 미국의 공공복지와 사회복지인력의 특성
1. 미국 공공복지 개관
2. 미국의 공적 부조 서비스 인력의 특성
III. 미국 공공복지의 전개과정과 공적 부조 서비스 인력의 역할 변화
1. 뉴딜 시대와 공적 부조 서비스 인력의 역할
2. 빈곤과의 전쟁과 공적 부조 서비스 인력의 역할
3. 레이건 행정부의 복지 민영화와 공적부조서비스 인력의 역할
4. 클린턴 행정부의 복지개혁과 공적 부조 서비스 인력의 역할
IV. 미국의 경험이 주는 함의
1. 공공부문 사회복지사의 역할 모색
2. 공공복지와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재발견
참 고 문 헌
*한글97
II. 미국의 공공복지와 사회복지인력의 특성
1. 미국 공공복지 개관
2. 미국의 공적 부조 서비스 인력의 특성
III. 미국 공공복지의 전개과정과 공적 부조 서비스 인력의 역할 변화
1. 뉴딜 시대와 공적 부조 서비스 인력의 역할
2. 빈곤과의 전쟁과 공적 부조 서비스 인력의 역할
3. 레이건 행정부의 복지 민영화와 공적부조서비스 인력의 역할
4. 클린턴 행정부의 복지개혁과 공적 부조 서비스 인력의 역할
IV. 미국의 경험이 주는 함의
1. 공공부문 사회복지사의 역할 모색
2. 공공복지와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재발견
참 고 문 헌
*한글97
본문내용
특성상 사회복지의 가장 우선적인 관심이자 특권이 빈곤하고 사회적으로 소외된 계층(least among us)을 위해 일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지난 20여년간 빈곤과 관련된 일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인력은 점점 감소하고 공적 부조 영역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가 NASW 등록자의 1%도 안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정체성의 위기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복지직의 사회적, 전문적 발전과도 연관이 있다고 생각되는데 빈곤계층과 일하는 것이 사회복지 전문직의 지위를 강화시키는데 아무런 관계가 없었기 때문이라는 Wyers(1983)의 지적은 사회복지전문직에게 매우 뼈아픈 지적이다.
Haynes와 White(1999)는 미국 사회복지사들이 스스로를 "심리치료사", "지역사회조직가", "행정가"로 표현하는 것은 "심리치료가 전문인 사회복지사", "지역사회조직이 전문인 사회복지사", "행정을 맡고 있는 사회복지사"로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사회복지가 다양성을 추구함에도 불구하고 명칭에 대한 반성을 언급하는 것은 다양한 명칭속에서 사회복지전문직이 가지고 있는 공통성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공통성은 "least among us"에 대한 헌신의 약속으로 상징화될 수 있다. 다양화 또는 전문화라는 미명하에 사회복지직의 분열(fragmentation)이 일어나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가난하고 소외된 계층에 대한 서비스를 포기하는 대가로 사회복지 전문직의 지위향상을 꾀한다면 사회복지전문직의 미래의 직업적 정체성과 향방을 가늠할 수 없을 것이라는 지적은 귀담아 들어야 한다. 세분된 전문분야를 실천현장으로 가지고 있다하더라도 여전히 실천가는 공동의 목표와 정체성을 통해 연합되어야 하며 공공복지는 여전히 가장 중요한 사회복지의 실천 현장이어야 한다. 공공부문 사회복지사들은 사회구조적으로도, 전문직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처해 있지만 역설적으로 두 부문에 대해 사회복지의 지향점을 시사해야 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
참 고 문 헌
박경숙(1996). 사회복지전문요원과 복지관, 보건소의 서비스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사회복지학 30. 48-76.
박능후(1999). 국민기초생활보장법과 근로연계복지정책. 보건복지포럼. 10월호.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윤혜미(1996). 지역사회단위 사회복지 이용시설 종합화 방안.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창호(1990). 한국 사회사업의 정체성의 위기와 과제. 사회복지연구 제 2호. 서울:한국사회복지연구회. 95-119.
Brock, T. & Harknett, K. 1998. A comparison of two welfare--to-work case management models. Social Service Review. 72. 492-520.
Gibelman, M. 1999. The search for identity: Defining social work--p[ast, present, future. Social Work. 44(4). 298-310.
Hagen, J.L. 1999. Public welfare and human services: New directions under TANF? Families in society. 80(1). 78-90.
Hagen, L. 1998. The new welfare law: "tough on work". Families in Society. 79(6).596-605.
Hagen, L. & Wang, L. 1993. Roles and functions of public welfare worker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 17(2). 81-103
Hagen, L. 1987. Income maintenance workers: Technicians or service providers? Social Service Review. 61. 261-271.
Hasenfeld, Y.2000. Social Services and Welfare-to-work: Prospects for the social work profession.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23(3/4). 185-199.
Midgely, J. 1995. Partnership in Social Welfare: the Experience of the United States. Partnership for Welfare Society Towards the 21st Century: The Role of Government, Business, and Provate Sectors. '95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International Symposium and Conferences.
Reisch 1995. Public social service In 19th Encyclopedia of social work, New York: NASW Press.
Schmolling, Jr. et al.1989. Human Services in Contemporary America, Pacific Grove:Brooks Pub. co.
Salamon, L. M. 1995. Partners in Public Service: Government-Nonprofit Relations in the Modern Welfare State. Baltimore, MD: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U.S. Dept. of Commerce.1995. Statistical Abstracts of the U.S. 1995.
Wyers, N.L.1983. Income maintenance workers and social work: A broken tie. Social Work. 28. 261-278.
http://www.pahsa.org
http://www.hhs.gov.
http://www.naswdc.org/PRAC
http://www.urban.org/pubs/statwel
Haynes와 White(1999)는 미국 사회복지사들이 스스로를 "심리치료사", "지역사회조직가", "행정가"로 표현하는 것은 "심리치료가 전문인 사회복지사", "지역사회조직이 전문인 사회복지사", "행정을 맡고 있는 사회복지사"로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사회복지가 다양성을 추구함에도 불구하고 명칭에 대한 반성을 언급하는 것은 다양한 명칭속에서 사회복지전문직이 가지고 있는 공통성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공통성은 "least among us"에 대한 헌신의 약속으로 상징화될 수 있다. 다양화 또는 전문화라는 미명하에 사회복지직의 분열(fragmentation)이 일어나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가난하고 소외된 계층에 대한 서비스를 포기하는 대가로 사회복지 전문직의 지위향상을 꾀한다면 사회복지전문직의 미래의 직업적 정체성과 향방을 가늠할 수 없을 것이라는 지적은 귀담아 들어야 한다. 세분된 전문분야를 실천현장으로 가지고 있다하더라도 여전히 실천가는 공동의 목표와 정체성을 통해 연합되어야 하며 공공복지는 여전히 가장 중요한 사회복지의 실천 현장이어야 한다. 공공부문 사회복지사들은 사회구조적으로도, 전문직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처해 있지만 역설적으로 두 부문에 대해 사회복지의 지향점을 시사해야 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
참 고 문 헌
박경숙(1996). 사회복지전문요원과 복지관, 보건소의 서비스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사회복지학 30. 48-76.
박능후(1999). 국민기초생활보장법과 근로연계복지정책. 보건복지포럼. 10월호.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윤혜미(1996). 지역사회단위 사회복지 이용시설 종합화 방안.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창호(1990). 한국 사회사업의 정체성의 위기와 과제. 사회복지연구 제 2호. 서울:한국사회복지연구회. 95-119.
Brock, T. & Harknett, K. 1998. A comparison of two welfare--to-work case management models. Social Service Review. 72. 492-520.
Gibelman, M. 1999. The search for identity: Defining social work--p[ast, present, future. Social Work. 44(4). 298-310.
Hagen, J.L. 1999. Public welfare and human services: New directions under TANF? Families in society. 80(1). 78-90.
Hagen, L. 1998. The new welfare law: "tough on work". Families in Society. 79(6).596-605.
Hagen, L. & Wang, L. 1993. Roles and functions of public welfare worker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 17(2). 81-103
Hagen, L. 1987. Income maintenance workers: Technicians or service providers? Social Service Review. 61. 261-271.
Hasenfeld, Y.2000. Social Services and Welfare-to-work: Prospects for the social work profession.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23(3/4). 185-199.
Midgely, J. 1995. Partnership in Social Welfare: the Experience of the United States. Partnership for Welfare Society Towards the 21st Century: The Role of Government, Business, and Provate Sectors. '95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International Symposium and Conferences.
Reisch 1995. Public social service In 19th Encyclopedia of social work, New York: NASW Press.
Schmolling, Jr. et al.1989. Human Services in Contemporary America, Pacific Grove:Brooks Pub. co.
Salamon, L. M. 1995. Partners in Public Service: Government-Nonprofit Relations in the Modern Welfare State. Baltimore, MD: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U.S. Dept. of Commerce.1995. Statistical Abstracts of the U.S. 1995.
Wyers, N.L.1983. Income maintenance workers and social work: A broken tie. Social Work. 28. 261-278.
http://www.pahsa.org
http://www.hhs.gov.
http://www.naswdc.org/PRAC
http://www.urban.org/pubs/statwel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사회복지서비스][사회복지사][전문성][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제도]사회복지와 사...
[사회복지][사회복지개혁]사회복지의 환경변화와 현황 및 사회복지개혁 과제 분석(사회복지 ...
공공부문의 개혁과 신공공관리론의 이론적 기초
[지역사회실천 모델] 지역사회개발과 계획모델 및 지역사회행동과 개혁모델
공공부문 복지실천의 의의
[지역사회복지론]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변화, 발전해야 할 부분에 대해 사회복지사가 ...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역량강화 (사회복지사의 역할,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자질, 사회복지사의...
[학교사회사업론] 교육복지사, 학교사회복지사, 지역사회교육전문가를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사회복지social welfare개론] 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정체성 - 일반사회복지사와 전문사회복...
[지역사회복지론] 예비사회복지사로서의 관점에서 사회복지기관에 건의하고 싶은 것이나 개선...
지역사회복지관의 근거와 사업, 운영과 발전방향 및 지역자활센터의 기능과 지역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사의 법적 권한과 책임을 서술하고 학습자가 판단하는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책임과 ...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논하시오 - 사회복지사
자신은 어떠한 사회복지사가 되기를 원하는가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에 대한 이해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