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목: 정당 PR의 현황과 진로 모색 :
-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사례를 중심으로 -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정당 PR의 개념과 목적
2. 정당 PR 커뮤니케이션의 과정
Ⅲ. 사례연구 :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PR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Ⅳ. 정당 PR의 문제점 진단 및 개선방안 모색
Ⅴ. 결론
<참고문헌>
*한글97
-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사례를 중심으로 -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정당 PR의 개념과 목적
2. 정당 PR 커뮤니케이션의 과정
Ⅲ. 사례연구 :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PR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Ⅳ. 정당 PR의 문제점 진단 및 개선방안 모색
Ⅴ. 결론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신들의 행동을 반드시 변화시키려고는 의도하지 않는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의 정당 PR은 유권자들의 규범, 가치, 행동방식, 의견을 적극 수용할 필요가 있다.
한국 정당 PR의 또 다른 문제점은 당 차원의 PR 역사가 수시로 나타나는 정치권의 지각 변동으로 인해 축적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인력과 예산도 고정적이지 않고 체계없이 불규칙적으로 운용되며, 정당 PR의 경험과 방법도 축적되어 갈 수 없는 환경에 놓여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정당문화의 정착이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
한국 정당 PR 활동의 개선방안은 여러 관점에서 제시될 수 있다.
현대사회는 개인주의화 및 익명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정당 PR은 연령, 성별, 가족단위 크기, 직업, 종교, 수입 등을 고려한 목표 공중 세분화 작업이 필요하고, 이들에게 합당한 메시지와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정치권과 일반 유권자들간의 커뮤니케이션이 훨씬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 이를 통해서 정당은 유권자에게 설득적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하고, 유권자들의 정치에 대한 이해와 신뢰, 관심을 증진시킬 수 있다.
정당 PR 활동의 목표 공중과 관련해서 우리 정당들은 중·고생 공중을 소홀히 하고 있다. 이는 유럽의 정당 PR 활동과 비교해 볼 때, 큰 차이점으로 나타난다. 다시 말해, 우리 정당들은 잠재적 유권자인 중·고생들에 대한 PR 활동을 제대로 하고 있지 않으며, 이는 우리 정당 PR의 전략적인 시야가 매우 좁음을 의미한다. 중·고생들에 대한 정당 PR 또는 국회 사무처 차원의 PR 활동은 건전한 민주 시민 양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꼭 필요하고 중요하다 하겠다.
이와 아울러 언어적 폭력으로 정신적 공해를 남발하는 정당 대변인 제도를 폐지하고 선진 민주주의 국가들에서처럼 외교, 통상·경제, 복지, 환경 등 각 분야별 전문 대변인 제도를 운영하는 것도 정당 PR의 질적 개선과 선진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Ⅴ. 결론
정치학자 베쯔(Betz)는 현대사회의 정치가 과도하게 상품화되어간다고 비판한다. 즉, "Marboro light, Cola light, Politics light"의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치의 상업화, 오락화 경향과 함께 한국 정치 문화의 가장 큰 난제 중의 하나는 정치에 대한 유권자들의 냉소주의와 불신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정치 PR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정치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과 신뢰를 회복시키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폭로와 중상모략 중심의 네거티브 PR 캠페인을 지양하고, 정책 이슈들을 유권자들의 피부에 와 닿게 홍보 소재화하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끝으로, 아무리 훌륭한 정치 PR이라 하더라도 정당들의 '생산적 정치'를 대신할 수는 없다.
정당 PR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김무곤, "대선보도 결산: 흥미유발엔 성공, 고비용 구조는 개선을," 신문과 방송 326호, 1998, pp.78-81.
이동신, "대선보도 결산 : 동등한 시간, 기회보장이 숙제 : 미디어 정치 시대 개막", 신문과 방송, 326호, 1998, pp. 54-58.
탁진영, "텔레비전 정치광고의 쟁점과 개선방향 : 미디어 정치 시대의 정치 광고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한국언론학회 세미나, 정치커뮤니케이션과 방송-선거방송준칙제정을 중심으로- 발표논문집. 2001, pp. 64-79.
Bandura, B., K. Gloy, Soziologie der Kummunikation. Eine Textanswahl zue Ein fuehrung (Stuttgart, 1972).
Grunig, J. E., "On the Effects of Marketing, Media Relations, and Public Relations: Images, Agendas, and Relationships", in: Armbrecht, Wolfgang/ Avenarius, Horst/ Zabel, Ulf(Hg.): Image und PR. Kann Image Gegenstand einer Public Relations-Wissenschaft sein? (Opladen: Sueddentsches Verlag, 1993). pp.263-295.
Grunig, J., T. Hunt, Managing Public Relations (New York : Holt, Rinehart & Winston, 1984).
Habermas, J. "Eum Begriff des politischen Beteiligung", in, Kultur und Kritik. ver streute Aufsatze, (Frankfurt a. M. , 1973), pp. 9-60.
Keller, D., Television and the Crisis of Democracy (Boulder : Westview Press, 1990).
Maletzke, G., Psychologic der Massen Kommunikation (Hamburg, 1963).
McCombs, M. E., D. L. Shaw,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Mass Media", Public Opinion Quarterly, 1972, pp. 176-187.
Pauli-Balleis, G., Strategische Oeffentlichkeitstarbeit Politischer Parteien (Zirudorf, 1987),
Schnurpfeil, M., " Politik-PR : Immerwahrende Show?", in, Kalt, G.(Hg.), Oeffentlichkeitsarbait und Werbung. Instrumente, Strategien, Perspektiven, 4, Aufl., (Frankfurt a. M. : IMK, 1993), pp. 163-166.
Wanger, E., Polit-Marketing ( Opladen : Sueddentscher Verlag, 1983).
한국 정당 PR의 또 다른 문제점은 당 차원의 PR 역사가 수시로 나타나는 정치권의 지각 변동으로 인해 축적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인력과 예산도 고정적이지 않고 체계없이 불규칙적으로 운용되며, 정당 PR의 경험과 방법도 축적되어 갈 수 없는 환경에 놓여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정당문화의 정착이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
한국 정당 PR 활동의 개선방안은 여러 관점에서 제시될 수 있다.
현대사회는 개인주의화 및 익명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정당 PR은 연령, 성별, 가족단위 크기, 직업, 종교, 수입 등을 고려한 목표 공중 세분화 작업이 필요하고, 이들에게 합당한 메시지와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정치권과 일반 유권자들간의 커뮤니케이션이 훨씬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 이를 통해서 정당은 유권자에게 설득적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하고, 유권자들의 정치에 대한 이해와 신뢰, 관심을 증진시킬 수 있다.
정당 PR 활동의 목표 공중과 관련해서 우리 정당들은 중·고생 공중을 소홀히 하고 있다. 이는 유럽의 정당 PR 활동과 비교해 볼 때, 큰 차이점으로 나타난다. 다시 말해, 우리 정당들은 잠재적 유권자인 중·고생들에 대한 PR 활동을 제대로 하고 있지 않으며, 이는 우리 정당 PR의 전략적인 시야가 매우 좁음을 의미한다. 중·고생들에 대한 정당 PR 또는 국회 사무처 차원의 PR 활동은 건전한 민주 시민 양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꼭 필요하고 중요하다 하겠다.
이와 아울러 언어적 폭력으로 정신적 공해를 남발하는 정당 대변인 제도를 폐지하고 선진 민주주의 국가들에서처럼 외교, 통상·경제, 복지, 환경 등 각 분야별 전문 대변인 제도를 운영하는 것도 정당 PR의 질적 개선과 선진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Ⅴ. 결론
정치학자 베쯔(Betz)는 현대사회의 정치가 과도하게 상품화되어간다고 비판한다. 즉, "Marboro light, Cola light, Politics light"의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치의 상업화, 오락화 경향과 함께 한국 정치 문화의 가장 큰 난제 중의 하나는 정치에 대한 유권자들의 냉소주의와 불신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정치 PR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정치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과 신뢰를 회복시키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폭로와 중상모략 중심의 네거티브 PR 캠페인을 지양하고, 정책 이슈들을 유권자들의 피부에 와 닿게 홍보 소재화하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끝으로, 아무리 훌륭한 정치 PR이라 하더라도 정당들의 '생산적 정치'를 대신할 수는 없다.
정당 PR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김무곤, "대선보도 결산: 흥미유발엔 성공, 고비용 구조는 개선을," 신문과 방송 326호, 1998, pp.78-81.
이동신, "대선보도 결산 : 동등한 시간, 기회보장이 숙제 : 미디어 정치 시대 개막", 신문과 방송, 326호, 1998, pp. 54-58.
탁진영, "텔레비전 정치광고의 쟁점과 개선방향 : 미디어 정치 시대의 정치 광고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한국언론학회 세미나, 정치커뮤니케이션과 방송-선거방송준칙제정을 중심으로- 발표논문집. 2001, pp. 64-79.
Bandura, B., K. Gloy, Soziologie der Kummunikation. Eine Textanswahl zue Ein fuehrung (Stuttgart, 1972).
Grunig, J. E., "On the Effects of Marketing, Media Relations, and Public Relations: Images, Agendas, and Relationships", in: Armbrecht, Wolfgang/ Avenarius, Horst/ Zabel, Ulf(Hg.): Image und PR. Kann Image Gegenstand einer Public Relations-Wissenschaft sein? (Opladen: Sueddentsches Verlag, 1993). pp.263-295.
Grunig, J., T. Hunt, Managing Public Relations (New York : Holt, Rinehart & Winston, 1984).
Habermas, J. "Eum Begriff des politischen Beteiligung", in, Kultur und Kritik. ver streute Aufsatze, (Frankfurt a. M. , 1973), pp. 9-60.
Keller, D., Television and the Crisis of Democracy (Boulder : Westview Press, 1990).
Maletzke, G., Psychologic der Massen Kommunikation (Hamburg, 1963).
McCombs, M. E., D. L. Shaw,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Mass Media", Public Opinion Quarterly, 1972, pp. 176-187.
Pauli-Balleis, G., Strategische Oeffentlichkeitstarbeit Politischer Parteien (Zirudorf, 1987),
Schnurpfeil, M., " Politik-PR : Immerwahrende Show?", in, Kalt, G.(Hg.), Oeffentlichkeitsarbait und Werbung. Instrumente, Strategien, Perspektiven, 4, Aufl., (Frankfurt a. M. : IMK, 1993), pp. 163-166.
Wanger, E., Polit-Marketing ( Opladen : Sueddentscher Verlag, 1983).
추천자료
경찰홍보
기업이미지식 홍보를 시도한 포돌이 및 포순이
한나라당 열린우리당 민주노동당 3당의 핵심 정강정책의 평가
한국 옴브즈만 제도에 대한 연구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과 그 판례평석
설득 커뮤니케이션과 주요개념
일본의 보수화
[일본문화]일본의 정치와 경제
[언론윤리강령]언론윤리강령의 개념, 언론윤리강령의 의의, 언론윤리강령의 특징, 언론윤리강...
415총선(17대 총선, 국회의원선거)과 신문보도, 이미지선거보도, 415총선(17대 총선, 국회의...
전후 일본 총리
[정책학 발표] 미디어法 - 미디어법의 필요성, 미디어법 상황, 미디어법 쟁점, 미디어법 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