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바르트의 인간 인식의 출발점으로서 피조물성
2. 바르트의 인간 인식 근원으로서 예수 그리스도
3. 바르트의 유비(Analogie)
4. 하나님의 피조물인 인간
5. 인간 존재의 내용적 규정으로서의 참인간
6. 하나님의 계약의 상대자
7. 영혼과 육체로서의 인간
8. 하나님의 시간 안에 있던 인간
Ⅲ. 결 론
Ⅱ. 본 론
1. 바르트의 인간 인식의 출발점으로서 피조물성
2. 바르트의 인간 인식 근원으로서 예수 그리스도
3. 바르트의 유비(Analogie)
4. 하나님의 피조물인 인간
5. 인간 존재의 내용적 규정으로서의 참인간
6. 하나님의 계약의 상대자
7. 영혼과 육체로서의 인간
8. 하나님의 시간 안에 있던 인간
Ⅲ. 결 론
본문내용
자로서와 마찬가지로 심판자로서 산다. 심판자이신 예수에 의해 하나님 나라가 인간들 가운데 설립되고 하나님이 인간과 맺으신 계약이 완성된다. 동시에 예수는 모든 인간들의 동시대인이며, 또한 예수의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 동시성을 지니는 '영원'이라는 하나님의 시간의 성격을 갖는다.
) 태승철, pp.64-65.
바르트에 의하면 인간의 시간은 주어진 시간이며 분배된 시간이며 시작과 끝이 있는 시간이다. 주어진 시간은 인간이 자기의 시간을 창조하거나 벗어날 수 없고 비축할 수도 없이 주어져 있는 것으로 대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이며 할당된 시간이란 모든 인간 각자에게 삶을 위한 제한된 간격이 주어진다는 의미이다. 시작하는 인간은 '어디로부터'의 문제로 시작하는 시간에서 우리는 그 시작이 하나님에 의한 시작이므로 하나님의 보호 아래 있는 시작이기에 영원하신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해서 우리의 없었던 시간까지 획득하게 된다는 것이다. 끝나는 시간의 문제는 '어디로'의 문제이며 이 시간은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구체화된다. 예수 안에서 하나님은 우리를 묶는 죽음의 경계가 되셨다. 예수가 자신의 죽음 안에서 우리의 죽음을 지녔을 때 그는 죽음을 우리의 뒤로 물러가게 하셨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나타난 희망과 승리와 부활의 생명으로 나아가는 존재라 할 수 있다.
) 위의 책, pp.70-80.
Ⅲ. 결 론
바르트의 주요 신학적인 관심사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 계시된 삼위일체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바르트 신학에서는 인간이 그의 신학 전 부분에 관련되어 있어서 그의 말씀론, 신론, 창조론, 화해론이 모두 인간과 관련된 삼위일체 하나님의 계시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해명한 것이 된다. 이처럼 바르트의 신학에서의 인간은 그 중심을 차지하고 있어서 그는, 성경은 구체적인 우주론들에 대해서 자유롭거나 애매하고 심지어는 불성실하다고까지 했다. 그래서 우주를 말한다고 하더라도 그 우주 자체보다는 그 우주 안에 있는 인간과 관계된 우주를 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의 '교회 교의학' 3권 2장은 그 제목이 '피조물'로 되어 있다. 바르트는 그의 출발점을 피조물로서 인간을 규명함으로 그의 인간론을 펼치고 있다. 성경 안에 물론 인간의 이야기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자연에 대한 이야기도 나와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은 철저하게 인간과 관계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피조물로서의 인간은 인간과 관계된 피조물을 말하고 있으며 자연 또한 인간과 관계된 대자연을 말하고 있을 뿐이다. 이처럼 바르트의 인간론의 출발점은 하나님과 관계하는 피조물로서의 인간, 피조물로서의 자연과 관계하는 인간이라 할 수 있다.
바르트는 철저한 기독론적인 시각과 '하나님의 절대타자성'을 유지하며, 그의 인간론의 시작과 끝을 일관하고 있다. 즉, 바르트의 인간 인식의 출발점은 피조물로서의 인간이며 하나님의 피조물적 본질을 거스리는 죄인된 인간이해에서였다. 그래서 그 주도성에 있어서 하나님의 은혜로만 가능한, 예수 그리스도를 인간 인식의 근거로 삼고 있으며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더욱 분명히 한다는 의미에서 '존재의 유비'가 아닌 '신앙의 유비' 또는 '괸계의 유비'로서만이 하나님을 인식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바르트는 진정한 인간 이해를 위해서 예수의 동료 인간성을 유비시키고 있으며 인간은 오직 은혜의 계약 상대자로 보았을 때 그의 참 모습이 보여질 수 있음을 말하였다. 인간 예수 안에서 영혼과 육체가 통전적으로 존재하듯이 인간 역시 전일적이며 통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인간은 시간을 통해서 자신의 삶의 구현자리를 갖게 되며 과거와 현재, 미래를 보장하시는 하나님의 보호 아래 할당된 시간 속에서 하나님과 더불어 살아가야할 존재임을 말하고 있다.
참 고 문 헌
김균진. 헤겔과 바르트.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4.
태승철. K. Barth의 인간론 연구. 석사논문, 장로회 신학대학원, 1989.
몰트만, J. 인간. 복음주의신학총서 10 전경연 역. 서울: 향린사, 1975.
뮬러, 데이비드 L. 칼바르트의 신학사상 이형기. 서울: 엠마오, 1996.
바르트, 칼. "휴매니즘", 휴매니즘과 문화 전경연 역. 서울: 향린사, 1974.
바르트, 칼. "하나님의 인간성", 휴매니즘과 문화 전경연 역. 서울: 향린사, 1974.
베버, 오토.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 김광식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7.
) 태승철, pp.64-65.
바르트에 의하면 인간의 시간은 주어진 시간이며 분배된 시간이며 시작과 끝이 있는 시간이다. 주어진 시간은 인간이 자기의 시간을 창조하거나 벗어날 수 없고 비축할 수도 없이 주어져 있는 것으로 대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이며 할당된 시간이란 모든 인간 각자에게 삶을 위한 제한된 간격이 주어진다는 의미이다. 시작하는 인간은 '어디로부터'의 문제로 시작하는 시간에서 우리는 그 시작이 하나님에 의한 시작이므로 하나님의 보호 아래 있는 시작이기에 영원하신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해서 우리의 없었던 시간까지 획득하게 된다는 것이다. 끝나는 시간의 문제는 '어디로'의 문제이며 이 시간은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구체화된다. 예수 안에서 하나님은 우리를 묶는 죽음의 경계가 되셨다. 예수가 자신의 죽음 안에서 우리의 죽음을 지녔을 때 그는 죽음을 우리의 뒤로 물러가게 하셨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나타난 희망과 승리와 부활의 생명으로 나아가는 존재라 할 수 있다.
) 위의 책, pp.70-80.
Ⅲ. 결 론
바르트의 주요 신학적인 관심사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 계시된 삼위일체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바르트 신학에서는 인간이 그의 신학 전 부분에 관련되어 있어서 그의 말씀론, 신론, 창조론, 화해론이 모두 인간과 관련된 삼위일체 하나님의 계시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해명한 것이 된다. 이처럼 바르트의 신학에서의 인간은 그 중심을 차지하고 있어서 그는, 성경은 구체적인 우주론들에 대해서 자유롭거나 애매하고 심지어는 불성실하다고까지 했다. 그래서 우주를 말한다고 하더라도 그 우주 자체보다는 그 우주 안에 있는 인간과 관계된 우주를 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의 '교회 교의학' 3권 2장은 그 제목이 '피조물'로 되어 있다. 바르트는 그의 출발점을 피조물로서 인간을 규명함으로 그의 인간론을 펼치고 있다. 성경 안에 물론 인간의 이야기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자연에 대한 이야기도 나와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은 철저하게 인간과 관계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피조물로서의 인간은 인간과 관계된 피조물을 말하고 있으며 자연 또한 인간과 관계된 대자연을 말하고 있을 뿐이다. 이처럼 바르트의 인간론의 출발점은 하나님과 관계하는 피조물로서의 인간, 피조물로서의 자연과 관계하는 인간이라 할 수 있다.
바르트는 철저한 기독론적인 시각과 '하나님의 절대타자성'을 유지하며, 그의 인간론의 시작과 끝을 일관하고 있다. 즉, 바르트의 인간 인식의 출발점은 피조물로서의 인간이며 하나님의 피조물적 본질을 거스리는 죄인된 인간이해에서였다. 그래서 그 주도성에 있어서 하나님의 은혜로만 가능한, 예수 그리스도를 인간 인식의 근거로 삼고 있으며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더욱 분명히 한다는 의미에서 '존재의 유비'가 아닌 '신앙의 유비' 또는 '괸계의 유비'로서만이 하나님을 인식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바르트는 진정한 인간 이해를 위해서 예수의 동료 인간성을 유비시키고 있으며 인간은 오직 은혜의 계약 상대자로 보았을 때 그의 참 모습이 보여질 수 있음을 말하였다. 인간 예수 안에서 영혼과 육체가 통전적으로 존재하듯이 인간 역시 전일적이며 통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인간은 시간을 통해서 자신의 삶의 구현자리를 갖게 되며 과거와 현재, 미래를 보장하시는 하나님의 보호 아래 할당된 시간 속에서 하나님과 더불어 살아가야할 존재임을 말하고 있다.
참 고 문 헌
김균진. 헤겔과 바르트.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4.
태승철. K. Barth의 인간론 연구. 석사논문, 장로회 신학대학원, 1989.
몰트만, J. 인간. 복음주의신학총서 10 전경연 역. 서울: 향린사, 1975.
뮬러, 데이비드 L. 칼바르트의 신학사상 이형기. 서울: 엠마오, 1996.
바르트, 칼. "휴매니즘", 휴매니즘과 문화 전경연 역. 서울: 향린사, 1974.
바르트, 칼. "하나님의 인간성", 휴매니즘과 문화 전경연 역. 서울: 향린사, 1974.
베버, 오토.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 김광식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7.
추천자료
칼 바르트 생애 연구
악의 관점에서 본 인간에 대한 이해
칼 바르트의 설교
[언어의이해D]인간언어의 특징을 동물(곤충)의 언어와 비교해서 제시하고, 기호학이 어떤 학...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환경의 이해 및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 사회환경의 개념, 사회...
[인간행동과사회환경]인간행동발달이론과 사회복지실천 및 인간행동발달과 사회복지실천, 사...
[인간 심리의 이해] 대인동기.ppt
[언어의이해 E형]인간 의사소통의 특징을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언어의이해 E형 - 인간 의사...
[언어言語의이해 E형 : 인간 언어의 본질] 인간 언어의 본질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 인간 언...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실존치료의 주요 이론적 개념에 대한 이해(인간관, 성격 이론, 정신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