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공수정의 정의 - 시술방법, 장점
2. 사용되는 정자에 따른 분류
1) 배우자 인공수정
2) 공여자 인공수정
3. 인공수정의 윤리적 문제점
*붙임*
1. 불임시술방법
2. 사용되는 정자에 따른 분류
1) 배우자 인공수정
2) 공여자 인공수정
3. 인공수정의 윤리적 문제점
*붙임*
1. 불임시술방법
본문내용
세조작 기술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미세 조작 기술을 응용한 방법으로는 난자의 보호막을 제거하여 난자의 자궁 내 착상을 보조하는 보조 부화술 (Assited Hatching)이 많이 이용되고 있 습니다. 최근에는 난자의 착상 전 유전자 검사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 난자 의 할구분리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 또한 미세조작 기술을 응용한 방법입니다.
7. 난자의 세포질 내 정자 직접 주입술 (ICSI)
남성 불임 치료의 가장 획기적인 방법으로서, 남성측의 원인에 의하여 자연적인 체외수정이 불가능하거나, 수정율이 극히 저조한 환자의 경우에 도 정자직접 주입술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수정과 수정란을 확보할 수 있어서 임신 성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정자직접 주입술을 이용하였을 때 남성불임의 임신 가능성은 약 50% 정도를 보입니다.
- 정자직접 주입술 시술 대상자
1. 정자의 기능적 이상이 심할 경우 : 정자의 수, 운동선, 비정상 형태
2. 무정자증 환자 : 정소상체나 정소에서 정자채취 가능한 경우
3. 사정장애 환자 : 척추 장애 등
4. 이전 체외수정에서 수정에 실패하였거나, 수정율이 저조했을 때
5. 미성숙 난자의 체외성숙 후 수정할 때
6. 착상전 수정란의 유전적 진단 환자의 시험관 아기 시술 시
8. 부고환 정자 흡입술 (MESA, PESA)
정관이 막혔거나, 선천적인 정관 무형성증일 경우 수술방법을 이용하여 부고환에서 직접 정자를 채취합니다. 이 방법은 남편의 입원이 필요 없으 며, 간단한 국소 마취로 시술이 가능하고, 운동성이 있는 정자를 충분히 얻는 경우에는 난자 내 정자 직접 주입술이나, 드물게 일반적인 체외수정 시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하고 남은 정자는 냉동보관 하였다가 임신 실패 시 다음 시술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수술을 받으시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습니다.
9. 고환 정자 추출술 (TESE)
부정소에서 조차 정자를 채취하지 못할 때 고환 조직을 일부 절제하여 세정관 내의 정자를 채취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경우 부고환 정자 흡입 술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정자량 보다 불충분하기 때문에 반드시 난자 내 정자직접 주입술(ICSI)을 병행하여야 하며, 고환의 정장 형성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일부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 또한 채취된 정자는 냉동 보관할 수 있습니다.
10. 보조 부화술 (Assited Hatching)
미세 조작기술을 응용한 것으로 체외수정이 이루어진 난자는 난자의 보호 막인 투명대가 단단해지면 자궁에 이식 후 착상을 방해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수정란의 착상을 보조해 주기 위해 미세 조작기 를 사용하여 투명대의 일부를 절개하는 방법으로서 일부 대상환자들에 보조 부화술을 시술하였을 경우 임신율이 약 10% 상승한다는 보고가 있습 니다.
- 보조 부화술 시술 대상자
1. 여성의 나이가 35세 이상일 경우
2. 혈중 난포 성장 호르몬 (FSH)의 수치가 높을 경우
3. 투명대의 두께가 정상의 것 보다 두꺼운 경우
4. 시험관 아기 시술에 3회 이상 실패하였을 경우
11. 수정란 동결 보존 (Embryo Cryo-preservation)
시험관 아기 시술 중 과배란 유도로 한꺼번에 다수의 난자가 채취되어 여러 개의 수정란이 얻어지는데, 이에 따른 다태임신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아 이식의 개수를 어느 정도 제한합니다. 이때 남는 수정란을 동결 보존 하여 그 이식주기에 임신하지 못하였을 때 다음 배란 주기에 맞추어 동결 보존된 수정란을 해동하여 이식함으로서 과배란을 유도하지 않고도 임신 을 시도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수정란의 동결 방법은, 항동해제가 첨가되 어 있는 배양액으로 처리한 수정란을 컴퓨터로 정교하게 프로그램 되어 있는 자동 세포동결기를 사용하여 냉동한 다음 영하 196℃의 초저온에서 반영구적으로 보관하게 됩니다. 이렇게 보관된 수정란은 환자가 원하는 시기에 녹여서 자궁에 이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결 보존된 수정란은 이를 녹이는 고정에서 수정란의 상태가 좋지 않아 이식이 불가능한 경우 도 있습니다
12. 정액의 동결 보존 (Semen Cryo-preservation)
불임 시술과정 중에서 남편의 정액이 필요한 날 정액채취가 불가능하거나, 질병으로 인하여 화학적 치료나 방사선 치료와 같은 유전적인 변이를 일으킬 수 있는 치료를 받기 전에 정액을 미리 채취하여 동결 보존하여 두면 이후 필요한 시기에 해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보존 방법입니다.
7. 난자의 세포질 내 정자 직접 주입술 (ICSI)
남성 불임 치료의 가장 획기적인 방법으로서, 남성측의 원인에 의하여 자연적인 체외수정이 불가능하거나, 수정율이 극히 저조한 환자의 경우에 도 정자직접 주입술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수정과 수정란을 확보할 수 있어서 임신 성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정자직접 주입술을 이용하였을 때 남성불임의 임신 가능성은 약 50% 정도를 보입니다.
- 정자직접 주입술 시술 대상자
1. 정자의 기능적 이상이 심할 경우 : 정자의 수, 운동선, 비정상 형태
2. 무정자증 환자 : 정소상체나 정소에서 정자채취 가능한 경우
3. 사정장애 환자 : 척추 장애 등
4. 이전 체외수정에서 수정에 실패하였거나, 수정율이 저조했을 때
5. 미성숙 난자의 체외성숙 후 수정할 때
6. 착상전 수정란의 유전적 진단 환자의 시험관 아기 시술 시
8. 부고환 정자 흡입술 (MESA, PESA)
정관이 막혔거나, 선천적인 정관 무형성증일 경우 수술방법을 이용하여 부고환에서 직접 정자를 채취합니다. 이 방법은 남편의 입원이 필요 없으 며, 간단한 국소 마취로 시술이 가능하고, 운동성이 있는 정자를 충분히 얻는 경우에는 난자 내 정자 직접 주입술이나, 드물게 일반적인 체외수정 시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하고 남은 정자는 냉동보관 하였다가 임신 실패 시 다음 시술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수술을 받으시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습니다.
9. 고환 정자 추출술 (TESE)
부정소에서 조차 정자를 채취하지 못할 때 고환 조직을 일부 절제하여 세정관 내의 정자를 채취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경우 부고환 정자 흡입 술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정자량 보다 불충분하기 때문에 반드시 난자 내 정자직접 주입술(ICSI)을 병행하여야 하며, 고환의 정장 형성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일부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 또한 채취된 정자는 냉동 보관할 수 있습니다.
10. 보조 부화술 (Assited Hatching)
미세 조작기술을 응용한 것으로 체외수정이 이루어진 난자는 난자의 보호 막인 투명대가 단단해지면 자궁에 이식 후 착상을 방해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수정란의 착상을 보조해 주기 위해 미세 조작기 를 사용하여 투명대의 일부를 절개하는 방법으로서 일부 대상환자들에 보조 부화술을 시술하였을 경우 임신율이 약 10% 상승한다는 보고가 있습 니다.
- 보조 부화술 시술 대상자
1. 여성의 나이가 35세 이상일 경우
2. 혈중 난포 성장 호르몬 (FSH)의 수치가 높을 경우
3. 투명대의 두께가 정상의 것 보다 두꺼운 경우
4. 시험관 아기 시술에 3회 이상 실패하였을 경우
11. 수정란 동결 보존 (Embryo Cryo-preservation)
시험관 아기 시술 중 과배란 유도로 한꺼번에 다수의 난자가 채취되어 여러 개의 수정란이 얻어지는데, 이에 따른 다태임신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아 이식의 개수를 어느 정도 제한합니다. 이때 남는 수정란을 동결 보존 하여 그 이식주기에 임신하지 못하였을 때 다음 배란 주기에 맞추어 동결 보존된 수정란을 해동하여 이식함으로서 과배란을 유도하지 않고도 임신 을 시도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수정란의 동결 방법은, 항동해제가 첨가되 어 있는 배양액으로 처리한 수정란을 컴퓨터로 정교하게 프로그램 되어 있는 자동 세포동결기를 사용하여 냉동한 다음 영하 196℃의 초저온에서 반영구적으로 보관하게 됩니다. 이렇게 보관된 수정란은 환자가 원하는 시기에 녹여서 자궁에 이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결 보존된 수정란은 이를 녹이는 고정에서 수정란의 상태가 좋지 않아 이식이 불가능한 경우 도 있습니다
12. 정액의 동결 보존 (Semen Cryo-preservation)
불임 시술과정 중에서 남편의 정액이 필요한 날 정액채취가 불가능하거나, 질병으로 인하여 화학적 치료나 방사선 치료와 같은 유전적인 변이를 일으킬 수 있는 치료를 받기 전에 정액을 미리 채취하여 동결 보존하여 두면 이후 필요한 시기에 해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보존 방법입니다.